아쿠아브레이크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포켓몬스터/기술/주요 기술

[include(틀:포켓몬 기술, 물=, 물리=,
파일=8세대 아쿠아브레이크 1.png, 파일2=8세대 아쿠아브레이크 2.png,
한칭=아쿠아브레이크, 일칭=アクアブレイク, 영칭=Liquidation,
위력=85, 명중=100, PP=10,
효과=물의 힘으로 상대에게 부딪쳐서 공격한다. 20% 확률로 상대의 방어를 1랭크 떨어뜨린다.,
성능=랭크, 성질=접촉)]

7세대에서 등장한 포켓몬스터의 물 타입 물리 기술. 8세대 기술레코드 98번, 9세대 기술머신 110번.

명중률이 100이면서 폭포오르기보다 높은 위력을 가진다. 같은 부가 효과를 지닌 셸블레이드보다 안정적이고 위력도 높지만, 방어 랭크 하락이 터질 확률은 낮다. 자력으로 배우는 건 더시마사리 계열, 깨비물거미 계열, 갑주무사로 끝이며, 유전기로 코산호늑골라가 배울 수 있다. 울트라썬문에서는 NPC기로 마릴리를 포함한 많은 물 타입에게 풀렸고, 8세대에서는 기술레코드로 풀렸다. 폭포오르기와는 위력 차이가 크지 않고 기술의 부가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차별화된 기술로 보아야 한다.

몇몇 포켓몬들에게는 매우 고마운 기술인데, 예를 들자면 폭포오르기를 아예 못 배워 물 타입 물리기 쪽이 부실했던 스완나, 두빅굴[1], 파르셀, 거북손데스[2], 그리고 볼케니온, 폭포오르기의 풀죽음 효과를 보기에는 너무 느린[3] 비버통고래왕, 우격다짐 특성 때문에 부가효과는 상관없고 위력이 높은 쪽이 좋은 킹크랩[4]장크로다일 등이 있다.

울트라썬문에서 NPC기로 풀렸음에도, 물의 힘으로 공격하는 설정 때문인지 배우는 포켓몬이 대부분 물 타입이다. 이 기술을 배우는 물 타입 이외의 포켓몬은 모든 기술을 배울 수 있는 와 플레이트에 따라 물 타입이 될 수 있는 아르세우스를 제외하면 7세대에서는 비나방아말도 뿐이었고, 8세대에서는 케오퍼스, 찌르성게, 칼라마네로, 툰베어, 산호르곤, 타타륜, 빙큐보도 배울 수 있다. 비나방은 진화 전 형태인 비구술이 물 타입이고, 아말도는 아노말로카리스가, 케오퍼스는 두족류가 모티브니 납득이 간다.

그러나 물 타입이라고 해서 다 배우는 건 절대 아닌데, 공격이 높은 대짱이갸라도스 등은 이 기술을 유용하게 쓸 수 있을 텐데도 여전히 배우지 못한다. 아마 둘 다 메가진화를 가지고 있어서 밸런스 차원에서 막았을 것이다.[5] 또한 7세대 기준으로 라프라스, 시라칸도 배울 수 없었다.

하지만 8세대의 포켓몬 홈 데이터마이닝으로 대짱이가 드디어 이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갸라도스는 여전히 못 배운다.

9세대에서는 트리토돈, 한카리아스, 모단단게, 저리더프, 드래캄, 그리고 9세대에서 새로 추가된 꼬이밍고, 우락고래, 토오도 배울 수 있다.

영칭인 'Liquidation'은 청산을 뜻하는 말인데, Liquid가 액체를 뜻하기도 한다는 것에서 나온 말장난으로 보인다.

애니에서는 구즈마의 갑주무사가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는데, 무사 컨셉이다 보니 팔에 물을 두르고 거대한 검을 만든 뒤 상대를 일도양단해 버리는 무시무시한 연출로 나왔다. 심지어 수련의 누리레느가 사용한 Z기술인 바다의심포니도 이거 한 방으로 갈라버리고 누리레느까지 일격으로 끝장냈을 정도. 포켓몬스터W에선 고우의 인텔리레온이 사용했다.

포켓몬 GO에서는 2023년 6월 2일 추가되었다. 위력 70에 pvp에서는 일정 확률로 상대 방어를 1랭크 감소시키는 기술. 쥬레곤, 갑주무사, 골덕, 파르셀 등이 배울 수 있게 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13:36:53에 나무위키 아쿠아브레이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8세대부터.[2] 셸블레이드가 있긴 하지만, 껍질깨기 파르셀/거북손데스는 방어 랭크 하락을 노리기보다는 깡화력으로 공격하는 게 더 좋다. 무엇보다 명중률도 이쪽이 높아서 안정적이다. 거북손데스의 경우에는 단단한발톱의 효과도 적용된다.[3] 트릭룸은 예외.[4] 우격다짐 아쿠아브레이크는 위력이 110.5로, 집게해머보다 위력과 명중률이 더 높다. 단, 집게해머는 급소율 보정이 있으니 완전한 하위호환은 아니다.[5] 아쿠아제트도 이와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