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문명/슬라브족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문명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

파일:title_stacked.png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
관련 문서
]]
[ 게임 관련 정보 ]
관련 정보
문명 · 지도 · 유닛 · 무금 유닛 · 영웅 · 건물 · 기술 · 도전`과제 · 방어 유형
파일:aoe2_de.png
시리즈
목록
에이지
오브 킹
]]

display:inline-block; margin:5px 0; width:4.5em"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포가튼|파일:aoe2_dlc1.png
display:inline-block; margin:5px 0; width:4.5em"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아프리카 왕국|파일:aoe2_dlc2.png
display:inline-block; margin:5px 0; width:4.5em"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라자의 부흥|파일:aoe2_dlc3.png
display:inline-block; margin:5px 0; width:4.5em"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s-5|파일:aoe2_dlc4.png
display:inline-block; margin:5px 0; width:4.5em"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s-6.1|파일:aoe2_dlc5.png
display:inline-block; margin:5px 0; width:4.5em"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s-6.2|파일:aoe2_dlc6.png
display:inline-block; margin:5px 0; width:4.5em"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s-6.3|파일:aoe2_dlc7.png
display:inline-block; margin:5px 0; width:4.5em"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로마의 귀환|파일:aoe2_dlc8.png
display:inline-block; margin:5px 0; width:4.5em"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s-6.5|파일:AoE2Icon-MountainRoyals.webp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0em; min-height:2em"
[ 캠페인 목록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0em; min-height:2em">
[ 문명 목록 ]
>





1. 개요
2. 배경 이야기
3. 문명 특성
4. 설명
5. 테크트리
5.1. 유닛
5.1.1. 궁사 양성소
5.1.2. 보병 양성소
5.1.3. 기병 양성소
5.1.4. 공성 무기 제조소
5.1.5. 항구
5.1.6. 성, 수도원
5.2. 특수 유닛 - 보야르
5.3. 기술
5.4. 특수 기술
6. 조합
7. 패치 노트
8. 여담


1. 개요[편집]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의 문명인 슬라브족에 대하여 서술한 문서.


2. 배경 이야기[편집]


훈족의 침입으로 발생한 5세기의 대이동은 북동 유럽에 정착할 지역을 만들었고, 대략 500년경부터 슬라브족이 그 지역의 주요 문명을 일으켰습니다. 고고학적인 증거가 그 이전 시기에도 이미 슬라브족이 오늘날 유럽에 속하는 우크라이나벨로루시라 불리는 곳에 정착했음을 밝혀냈으나, 비잔티움에서 쓰인 그들을 언급한 첫 번째 역사적인 기록은 다수의 슬라브족이 비잔티움의 국경을 넘어들어올 때부터 시작되고 있습니다. 정착한 후, 슬라브족들은 동유럽 전역에 몇몇 경쟁적인 나라들을 세웠으며, 비잔티움이나 신성 로마 제국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첫 번째 위대한 슬라브 국가는 불가리아 제국으로, 681년에 세워졌습니다. 이 나라는 동부 발칸 지역에 정착한 불가리아인이라 불리는 비 슬라브 계열의 종족에 의해 세워졌습니다. 하지만 불가리아 제국이 발칸 대부분으로 확장되면서 대부분 슬라브화 되어, 10세기에 이르면 철저하게 슬라브화가 이루어졌습니다. 불가리아 제국은 슬라브 문화가 확고해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혼성어인 그들의 언어를 동유럽의 기독교와 문학을 통해 퍼트렸습니다.

또 다른 중세 슬라브 국가로는 833년 중부 유럽에서 니트라와 모라비아의 공작들이 합쳐져서 세워진 대 모라비아 왕국이 있습니다. 비록 대 모라비아 왕국이 주요한 국가는 아니었으나, 프랑크 왕국과 불가리아 제국, 그리고 비잔티움의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대 모라비아의 왕인 라티슬라프가 비잔티움에 성경을 슬라브어로 번역하는데 도움을 요청하자, 비잔티움에선 수도사인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형제를 그 과업에 파견하여 863년에 성공적으로 첫 슬라브 문자를 개발하고 가장 오래된 슬라브 어문학을 짓게 했습니다.

아마도 중세 시대의 위대한 마지막 슬라브 국가는 882년 현재의 우크라이나 영토인 키예프 주변에 세워진 나라일 것입니다. 이 키예프 루시 왕국은 슬라브족이 거주민의 다수를 이루었음에도 루스라 불리는 북유럽인들에 의해 통치되었으며, 투르크계의 카자르 칸국을 패배시켜 패권을 잡았습니다. 몇몇 슬라브 도시들의 해방은 이들을 외국을 섬기는 대신 내부의 발전에 집중하도록 촉진하였습니다. 키예프 루시 왕국은 유럽과 아시아 사이 교역망과 비잔티움 및 페르시아와 인접한 지리적 특징에 힘입어 경제적인 번영을 누렸습니다. 현명왕 야로슬라프의 통치하에, 키예프 루시는 당대에 가장 거대한 국가는 아니었지만 가장 높은 문자 해독률을 기록했으며, 여성의 권리를 인정하고 사형을 제외한 형벌을 법률에 따라 시행했습니다. 그러나 야로슬로프의 사망은 나라를 차츰 붕괴시켜, 결국 1240년 몽골인에 의해 멸망하게 되었습니다.

중세 시대 동안 슬라브 국가들은 봉건 체제를 따랐으나, 결과적으로 다른 유럽 지역과는 달리 국왕의 권력이 보야르라 불리는 귀족들에 의해 제한되었습니다. 보야르들은 강력한 지주일 뿐만 아니라 군인이었으며 정부 관료였습니다. 이들 귀족들 간의 연합과 경쟁은 슬라브 국가들의 경제적 발전에 따른 결과였으며 그들의 영지는 부유해졌으나 중앙 정부는 약화되었습니다. 중세 말기에는 절대 왕정이 확립되어 보야르들이 몰락하게 되었습니다.


3. 문명 특성[편집]


문명 스타일
보병 및 공성 무기 문명
문명 특성
농부의 작업 속도 +15%
보급품, 갬비슨 업그레이드 무료
공성 무기 제조소 유닛 생산 비용 -15%
수도사 이동 속도 +20%
팀 보너스
군사 양성 건물이 인구 5를 지원
불가사의
키지 포고스트
인게임 언어
러시아어


4. 설명[편집]


[[파일:aoe2_slavs.png
width=100]]| 문양
결정판 슬라브 테마
보병 특화 문명이나 특수 유닛인 보야르는 튜턴족 기사의 기병 버전이며 기병 테크도 강력하므로 완전한 보병 특화문명은 아니다.

농부의 작업 속도가 15% 빠르고 제분소 테크가 윤작까지 지원되기 때문에 매우 빠른 속도로 식량을 찍어낸다. 덕분에 시대를 빨리 탈 수 있고 각종 러시에 유용하며 이렇게 강력한 식량 펌핑을 기반으로 풀업 보병과 공성 무기를 양산한다. 팀 보너스인 군사 건물 인구수 제공 효과도 상당히 좋은 보너스로 꼽힌다. 군사 건물을 지어서 인구수를 해결 할 수 있으니 집을 짓는데 드는 목재를 아낄 수 있는데다가 인구수가 막힐 염려도 없다는 소소한 장점도 있다.

보병 문명이다보니 당연히 보병은 풀업이다. 다만 보병 문명이면서 보병 관련 보너스는 보급품 무료 보너스 밖에 없다 보니 다른 보병 문명들과 비교하면 뭔가 아쉬운 느낌이 들 수 밖에 없다. 대신 왕정 시대 고유 기술인 근위대 연구로 이 단점을 어느정도 극복 할 수 있다. 근위대 연구는 슬라브 보병이 반경 0.5타일의 범위에 방어를 무시하는 공격력 5의 광역 피해를 주게 한다. 이는 풀업 보병을 찍어낼 수 있는 슬라브에게 엄청난 파괴력을 보장해준다. 보병끼리 싸울 경우에 지형만 잘 잡으면 공속이 빠른 일본 챔피언 부대도 이길 수 있으며, 미늘창병은 기병 부대를 순식간에 도륙내는데다 극후반 창병 미러전에서 압도적 우위를 점한다.

공성 무기 문명인 만큼 공성 무기의 성능도 좋다. 사석포를 제외한 모든 공성 무기를 사용 할 수 있으며, 공성 기술자 연구도 사용 할 수 있다. 여기에 공성 무기 제조소 유닛 할인 보너스 덕분에 비싼 공성 무기들을 비교적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켈트 처럼 상위권의 공성 무기 문명으로 꼽힌다. 같은 공성 무기 특화 문명인 켈트 등을 조합하면 빠른 속도로 저렴한 공성 무기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팀 플레이에서 좋다.

기병 테크도 괜찮은 수준이다. 혈통, 사육술은 물론이고 후사르까지 생산된다. 중기병 계열의 최강인 팔라딘은 뽑을 수 없지만 기병 관련 업그레이드는 모두 지원되므로 고급 기병으로도 충분히 게임을 풀어나갈 수 있으며, 팔라딘에 비교되는 강력한 중기병인 보야르도 있다.

특수 유닛 보야르는 팔라딘의 부재를 충당-하는 정도가 아니던데??-하는 유닛이다. 팔라딘의 총 업그레이드 가격은 식량 1,300에 금 750으로 비싸지만 보야르는 식량 1,000에 금 600 밖에 들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물론 보야르는 에서 나오는데다 금 80이 들므로 금 75먹는 팔라딘보다 장기적인 부담 요소가 있지만 근접전에서 만큼은 프랑크 팔라딘보다 강력하다. 그러나 제대로 모을 수 있는 타이밍이 늦으며[1], 원거리 유닛 상대로는 가성비가 나쁘기 때문에[2] 1대 1 게임에서 슬라브 플레이어는 기병이 필요하면 웬만해서는 그냥 후사르를 쓰지만 근방이 상향되면서 금이 남아 있을때는 1:1에서도 보야르를 꺼내는 게 가끔 보인다. 그래도 보야르는 장기전이나 팀전에서 그 가치를 발휘할 수 있는 유닛이며, 상대가 근접 보병이나 기병 위주라면 팔라딘 이상의 성능을 자랑한다. 슬라브는 후반에도 보병+공성무기 러시를 주요 전략으로 쓰긴 하지만, 보야르는 보병 문명인 슬라브족에게 중기병 옵션을 추가해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 외로 동방정교회가 러시아를 포함한 동슬라브권 및 발칸 반도에서 가장 강한 교세를 가졌다는 고증을 반영한 것인지, 수도원 테크도 의외로 괜찮은 편이다. 이단이 안되기는 하지만 이단 연구는 실전에서 잘 사용되지 않는 연구라는 것을 생각하면 딱히 큰 문제는 아니며, 핵심 기술인 구원과 목판 인쇄를 사용 할 수 있어서 특정 상황에서는 수도사 러시를 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수비력에서는 장단점이 명확하다. 팔 보호구가 없고 성채가 없어 탑의 성능은 별로 좋지 않다. 건축술도 없고 석공술 단 하나만 지원되어 건물의 내구력도 별로 좋지 않다. 대신 인도의 왕조들에서 추가 된 성주 시대 고유 기술인 탑과 의 석재 비용 40%를 목재로 대체하는 데티네츠로 인해 이 단점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 성을 프랑크나 잉카보다 더 싸게 건설 할 수 있어 맵 장악이 매우 쉽다.

단점이라면 공성 무기를 제외하면 원거리 유닛들의 성능이 별로 좋지 않다. 궁사는 철석궁병을 사용 할 수 없고 손가락 보호대, 팔 보호구가 빠져 성능이 별로며, 총통병을 사용 할 수 없다. 기마 궁사는 중형 기마 궁사를 사용 할 수 있지만 핵심 기술들이 전부 빠진 탓에 아무런 쓸모가 없다. 척후병도 방업은 전부 지원되나 팔 보호구의 부재로 인해 별로 성능이 좋지 않다.

항구도 대부분의 연구가 지원되나, 선박 건조비 절감 연구가 불가능해서 함선 자체는 우수하지만 좀 늦게 생산되고 숫자도 많이 나오기 힘들다. 게다가 팔 보호구가 없기 때문에 갤리온 스펙이 별로라 극후반전 해전에서는 약하다 보니 해전에서 딱히 슬라브를 고를 이유가 없다.

슬라브는 기병과 보병등 근접 유닛의 성능은 좋지만 원거리 유닛들의 성능이 좋지 않아 원거리 대응은 보통 공성 무기에 크게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몽골이나 타타르 처럼 기마 궁사 성능이 좋고 기동력이 좋은 문명 상대로 크게 고전한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파생된다. 특히 몽골 상대로는 몽골-타타르의 멍에를 반영하기라도 한건지(...) 초반에 승기를 확실히 따 놓지 않는다면 이기기가 너무 힘들다. 몽골이 다수의 만구다이를 확보 한다면 슬라브가 할 수 있는게 전혀 없다. 보병은 이속이 느려 만구다이의 훌륭한 밥이고, 척후병은 성능이 별로 좋지 않으며, 공성 무기는 오히려 공성 무기에 추가 피해를 주는 만구다이에게 되려 털려버린다. 그렇다고 기병으로 대응하자니 몽골도 기병 테크가 좋으며 중형 낙타도 사용할 수 있다보니 이마저도 힘들다.[3]

결론적으로, 보병과 기병이 성능이 좋고 공성 무기의 성능도 출중한 만큼 근접 유닛을 주로 사용하는 문명들 상대로는 강하지만, 몽골 처럼 기동력이 좋고 원거리 테크가 좋은 문명 상대로는 약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 때문에 삼림 지대 처럼 보병과 공성 무기가 활약하기 좋은 폐쇄맵에서는 강한 모습을 보여주나, 아라비아 처럼 기마 궁사 같은 기동력 좋은 유닛들이 활개 치기 좋은 개방맵에서는 별로 승률이 좋지 못한 편이다.

마운틴 로열스 패치로 농장 보너스가 +15%로 롤백되었는데, 이 상향을 집어먹자마자 아라비아 최상위 문명으로 등극했다.

5. 테크트리[편집]



5.1. 유닛[편집]



보병 양성소
궁사 양성소
기병 양성소
암흑
시대

파일:PR3-001.png








봉건
시대

파일:PR3-006.png
파일:PR3-002.png
파일:PR3-005.png

파일:PR3-007.png
파일:PR3-003.png

파일:PR3-004.png











성주
시대

파일:PR3-018.png
파일:PR3-010.png
파일:PR3-021.png

파일:PR3-019.png
파일:PR3-011.png
파일:PR3-023.png

파일:unique_berbers2.png
파일:PR3-012.png
파일:PR3-020.png
파일:PR3-022.png
파일:PR3-033.png
파일:PR3-034.png















왕정
시대

파일:PR3-045.png
파일:PR3-042.png
파일:PR3-044.png
파일:condottiero.png
파일:PR3-046.png
파일:aoe2_imperialskirmisher.png
파일:PR3-052.png
파일:PR3-056.png
파일:unique_berbers2.png
파일:PR3-043.png
파일:PR3-047.png
파일:PR3-055.png
파일:PR3-053.png
파일:PR3-054.png






파일:PR3-059.png



파일:PR3-060.png

파일:blank_red2.png 해당 색의 배경은 생산 불가능. / 파일:blank_pupple1.png 해당 색의 배경은 팀 보너스로 생산 가능.



수도원
공성 무기 제조소
항구
봉건
시대




파일:PR3-014.png
파일:PR3-009.png
파일:PR3-013.png









성주
시대

파일:PR5-057.png
파일:PR3-035.png
파일:PR3-031.png
파일:PR3-027.png
파일:PR3-028.png
파일:PR3-029.png
파일:PR3-030.png
파일:PR3-024.png
파일:PR3-026.png
파일:PR3-025.png













왕정
시대

파일:PR5-057.png
파일:PR3-051.png

파일:PR3-036.png
파일:PR3-038.png
파일:PR3-037.png
파일:PR3-058.png
파일:PR3-039.png
파일:PR3-041.png
파일:PR3-040.png
파일:PR3-057.png









파일:PR3-048.png
파일:PR3-049.png


파일:aoe2_elcannongalleon.png
파일:blank_red2.png 해당 색의 배경은 생산 불가능.



5.1.1. 궁사 양성소[편집]


  • 궁사 - 석궁병 : 그냥 버리자. 철석궁병, 팔 보호구, 손가락 보호대가 전부 없으므로 성능은 매우 좋지 않아 쓸 이유가 없다. 동일한 성능의 석궁병을 가진 튜턴과 달리 슬라브는 총통병도 없으므로 궁사 양성소 유닛은 그냥 버리는 게 낫다. 슬라브의 경제 보너스는 식량에만 연관되어 있으므로 석궁병 생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건 덤.

  • 척후병 - 정예 척후병 : 링 궁사 갑옷이 있어 탱킹에는 문제가 없지만 상기한 대로 팔 보호구가 없다. 척후병의 성능이 별로이기 때문에 슬라브는 후반에 궁사나 기마 궁사 문명 상대로 약한 편이다.

  • 기마 궁사 - 중형 기병 궁사 : 그냥 버리자 (2).슬라브는 손가락 보호대, 팔 보호구, 파르티안 병법이 없다. 그러므로 기마 궁사를 쓰지 않는다.


5.1.2. 보병 양성소[편집]


  • 시민군 - 무장병사 - 장검병 - 양손 검병 - 챔피언 : 보급품 포함 풀업이고 슬라브는 보급품도 무료라 농장 보너스와 함께 시너지를 내어 고트와 함께 봉건 보병 러시를 하기에 가장 좋은 문명 중 하나로 꼽힌다. 또한 고유 기술로 후반 범위 공격을 할 수 부여할 수 있어 후반 보병 힘싸움 포텐에서는 최강자이기도 하다[4]. 하지만 결국 보병은 보병이고 성주 시대까지는 특별한 보너스가 없기 때문에 슬라브는 중반까지는 혈통기사나 특수 기술 데티네츠를 통해 생산성이 좋아진 보야르를 사용하며, 어느정도 인프라를 구축한 후반에서나 등장한다. 그 밖에도 아레나(전투장)에서는 보병 가격이 싸고 공성 무기가 싼 것을 이용하여 공성탑으로 아레나에서 깜짝 전략을 시도하기도 한다. 인기 에오엠 게이머 바이퍼도 한번 선보인 적이 있다.

  • 창병 - 장창병 - 미늘창병 : 왕정시대까지 특별한 보너스는 없지만 풀업이고 무엇보다 검병과 마찬가지로 범위 공격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후반 포텐은 높다. 슬라브 창병의 전투력은 최상위권인데, 1:1이라면 다른 보병 문명에게 지겠지만 창병 싸움에서 5의 범위피해는 절대 적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창병과 창병 서로에게 가하는 공격력은 쌍방 풀업을 가정할 시 7밖에 되지 않는다.) 상당히 위협적이다. 때문에 무금 싸움에서도 우위를 점할 수 있다.


5.1.3. 기병 양성소[편집]


  • 정찰 기병 - 경기병 - 후사르 : 슬라브는 기병 관련 대장간 연구를 전부 지원하며, 후사르까지 사용할 수 있어 성능은 풀업이므로 무난한 경기병을 굴릴 수 있다. 슬라브에게는 후사르는 사라센처럼 없어선 안될 존재인데, 슬라브의 보병과 공성무기 모두 느리기 때문에 기동력을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병력이기도 하고, 식량만 먹으므로 농장 보너스로 크메르처럼 물량을 많이 뽑아낼 수 있기도 하고, 후반 궁사 문명 상대로 탱킹을 하고 게릴라를 할 병력은 후사르 뿐이기 때문이다.

  • 기사 - 고급 기병 : 풀업 고급 기병은 가능하지만 아쉽게도 팔라딘은 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슬라브 유저들은 금이 있을 때 보야르로 갈아타거나, 아니면 고급 기병으로 승급시킨다. 일반적으로 후자를 많이 선택했으나, 최근 보야르가 대폭 상향되고, 인도의 왕조들에서 추가된 특수 기술 데티네츠 덕분에 슬라브는 성을 390 석재로 프랑크보다도 더 싸게 지을 수 있게 될 수 있게 되어서 후반에는 보야르를 쓰는 게 더 좋다.

하지만 그건 왕정 시대 얘기이고, 성주 시대 기준으로는 무조건 기사가 메인 유닛이다. 해당 특수 기술 연구는 첫 성을 650 석재를 고스란히 소비하여 짓고 나서만 가능하고 보야르도 성에서 나오므로 성주 초중반에는 보야르를 쓰고 싶어도 쓸 수가 없다. 그렇다고 다른 유닛을 쓰자니 석궁병은 자체 성능이 형편없고, 보병은 성주에는 아무런 부가 특성이 없으므로 쓸 이유가 없어, 결국 남는 건 기사뿐이다. 남들보다 좋은 식량 펌핑을 바탕으로 주민 뽑는 데 쓸 식량을 기사에 투자하기 좋다는 이점도 있다.


5.1.4. 공성 무기 제조소[편집]


  • 공성추 - 보강된 공성추 - 특급 공성추 : 슬라브 유저들은 싼 값에 공성무기를 쓸 수 있으므로 자주 선택되는 선택지이다. 성능도 무난하게 풀업이라서 화살받이 용도로도 쓰기도 한다. 척후병 성능이 그다지 좋지도 않기도 하고.

  • 망고넬 - 아너저 - 공성 아너저 : 비싼 망고넬을 비교적 싼값에 굴리는 메리트는 상당하다. 용도는 다른 문명과 비슷하지만 무난하게 풀업이고 슬라브는 궁사가 좋지 않으므로서 왕정 시까지 원거리 화력으로 굴려 상대 궁사 물량을 처리하려고 시도한다. 후반 용도도 역시 궁사 대응력이 부실한 튜턴과 비슷한 편으로, 창병+아너저 조합으로 적의 기마궁사를 대응하여 상대방의 궁사가 쌓일 때 후사르로 상대 병력의 진격을 저지하면서 천천히 전진하여 압박하는게 슬라브의 전법.

  • 스콜피온 - 중형 스콜피온 : 다른 공성 무기와 마찬가지로 싼값에 쓸 수 있지만 스콜피온에게 가장 중요한 사거리같은 다른 보너스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성능은 그저 그래 망고넬에 밀려 많이 쓰지는 않는다.

  • 공성탑 : 일반적으로 거의 쓰이지 않지만 슬라브는 공성탑이 싸다는 것을 이용헤 아레나의 깜짝 전략으로 활용한다.


5.1.5. 항구[편집]


  • 갤리선 - 전투 갤리선 - 갤리온선
  • 화공 갤리선 - 화공선 - 고속 화공선
  • 철거 뗏목 - 파괴선
  • 대포 갤리온선

5.1.6. 성, 수도원[편집]


  • 트레뷰셋 : 용도는 타 문명과 다를 바 없이 상대방 성 등 주요 건물을 파괴하는 데 사용한다. 아쉽게도 트레뷰셋은 성 유닛이다보니 공성 무기 할인 보너스가 적용이 되지 않는다.

  • 수도사 : 용도는 타 문명과 다를바가 없이 기사 싸움에서 전향 + 아군 기사 치료, 유물 셔틀이다. 그 밖에도 수도사 업그레이드가 좋아서 구원으로 공성무기를 빼앗을 수도 있다. 패치로 인해 수도사 이동 속도가 빨라져서 수도사를 써먹기 더 좋아졌다.


5.2. 특수 유닛 - 보야르[편집]


파일:PR5-057.png

* HP: 100 → 130
* 공격력: 12 → 14
* 공격 속도: 1.9
* 근접 방어: 4 → 8 [5]
* 원거리 방어: 2 → 3 [6]
* 방어 유형: 특수, 기병
* 이동 속도: 1.3[7]
* 시야: 5
* 생산 비용: 파일: 에오엠2 식량.png 60 파일:에오엠2 금.png 70
* 정예 업그레이드 비용: 파일: 에오엠2 식량.png 1000 파일:에오엠2 금.png 600 60초
* 생산 시간: 15초
보야르
Boyar
정예 보야르
Elite Boyar

파일:attachment/boyar_1.jpg
파일:attachment/boyar_2.jpg
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AOF36_Boyar.jpg
차례대로 HD에서 처음 등장했을 때, 3.5 패치, 3.6 패치

성에서 생산하는 특수 유닛. 근접 방어력이 높은 것이 특징으로 튜턴족 기사의 기마 버전이라 할 수 있는 유닛이다. 아무래도 중기병 유닛인 만큼 팔라딘과 카타프락토이와 비교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근접 방어력만이 장점이 되는 아쉬운 유닛처럼 보이지만 보야르는 기병인 만큼 체력이 높고 이동속도가 빨라서 기본적으로 궁사와 공성 무기에 강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즉, 보야르는 상대 근거리 및 원거리 유닛 모두에게 강한 모습을 보이는 유닛이다. 카타프락토이나 팔라딘이랑 싸운다면 보야르가 이긴다. 심지어 그 상대가 프랑크 팔라딘이나 튜턴 팔라딘이라고 해도 이긴다. 그래도 어쨌든 기병이다보니 보너스 데미지를 크게 주는 창병과 낙타병에게 취약한 것은 어쩔 수 없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단점들 때문에 보야르는 실전에서 자주 사용되는 건 아니다. 첫째, 보야르의 원거리 방어력은 풀업하면 팔라딘과 동일한 원거리 방어력을 가지지만, 팔라딘보다 체력이 30이나 낮다 보니 철석궁병같은 원거리 유닛한테 가격 대비 성능이 좋지 않다. 둘째, 생산 속도가 느려서 대부분 상황에서 공성 무기 + 보병을 쓰거나 그냥 고급 기병을 쓰는 쪽이 병력 모으는 속도가 더 빠르다. 반대로 보야르는 그보다 더 늦은 타이밍에 제대로 쓸 수 있다. 실제로 멀티에서 슬라브 플레이어들은 대부분의 경우, 기병이 필요하면 그냥 고급 기병이나 후사르를 사용한다. 그래도 유닛의 성능 자체는 확실히 비싼 값을 하는데다, 성을 잘 지켜내기만 한다면 의외로 모으는 것이 어렵지 않기 때문에 보야르를 제대로 모을 상황만 갖춘다면 팔라딘보다 강력한 중기병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성능 자체는 좋지만 왕정 시대 후반까지 가야 제대로 사용이 가능한 유닛이다.

인도의 왕조들 DLC에선 어마어마한 간접 버프를 받았는데, 성주 시대 특수 기술인 데티네츠가 추가되면서 다른 문명들보다 훨씬 싼 석재로 많은 성을 지을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이 많이 향상되었다. 이제는 성주 시대에도 첫 성만 지을 수 있다면 주력 기병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

HD로 넘어오면서 모델이 바뀌었는데 판금갑옷을 장비한 전형적인 유럽 기사에서 사슬갑옷버디슈와 유사한 도끼로 무장하여 더 고증을 살린 모습이다. 무장이 상당히 아시아적인 분위기가 풍기는 이유는 실제로 중세 러시아가 서유럽의 봉건 제도보다 더 느슨한 체제였기에 동쪽 유목민, 남쪽 비잔틴 및 이슬람, 그리고 북쪽 바이킹 등의 문화를 모두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또한 HD 시절에는 "귀족 기사" 라는 이름으로 의역 되었지만 결정판이 출시되고 음역으로 변경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5.3. 기술[편집]



경제
생산 건물
마을 회관
제분소
제재목 캠프
채광 캠프
시장
보병 양성소
궁사 양성소
기병 양성소
항구
암흑
시대

파일:aoe2_loom.png


















파일:blank2.png
봉건
시대

파일:aoe2_townwatch.png
파일:aoe2_wheelbarrow.png
파일:aoe2_horsecollar.png
파일:aoe2_doublebitaxe.png
파일:aoe2_goldmining.png
파일:aoe2_stonemining.png


파일:aoe2_supplies.png


파일:aoe2_bloodlines.png














성주
시대

파일:aoe2_townpatrol.png
파일:aoe2_handcart.png
파일:aoe2_heavyplow.png
파일:aoe2_bowsaw.png
파일:aoe2_goldshaftmining.png
파일:aoe2_stoneshaftmining.png
파일:aoe2_caravan.png
파일:aoe2_coinage.png
파일:AoE2_Gambesons.webp
파일:aoe2_squires.png
파일:aoe2_arson.png
파일:aoe2_thumbring.png
파일:aoe2_husbandry.png
파일:aoe2_gillnets.png
파일:aoe2_careening.png














왕정
시대


파일:aoe2_croprotation.png
파일:aoe2_twomansaw.png

파일:aoe2_guilds.png
파일:aoe2_banking.png

파일:aoe2_parthiantactics.png


파일:aoe2_drydock.png
파일:aoe2_shipwright.png
파일:blank_red2.png 해당 색의 배경은 지원되지 않는 기술. / 파일:blank_indigo.png 해당 색의 배경은 무료로 지원되는 기술.


대장간
대학
봉건
시대

파일:aoe2_paddedarcherarmor.png
파일:aoe2_fletching.png
파일:aoe2_forging.png
파일:aoe2_scalebardingarmor.png
파일:aoe2_scalemailarmor.png








성주
시대

파일:aoe2_leatherarcherarmor.png
파일:aoe2_bodkinarrow.png
파일:aoe2_ironcasting.png
파일:aoe2_chainbardingarmor.png
파일:aoe2_chainmailarmor.png
파일:aoe2_masonry.png
파일:aoe2_fortifiedwall.png
파일:aoe2_ballistics.png
파일:aoe2_guardtower.png
파일:aoe2_heatedshot.png
파일:aoe2_murderholes.png
파일:aoe2_treadmillcrane.png










왕정
시대

파일:aoe2_ringarcherarmor.png
파일:aoe2_bracer.png
파일:aoe2_blastfurnace.png
파일:aoe2_platebardingarmor.png
파일:aoe2_platemailarmor.png
파일:aoe2_architecture.png
파일:aoe2_chemistry.png
파일:aoe2_siegeengineers.png
파일:aoe2_keep.png
파일:aoe2_arrowslits.png







파일:aoe2_bombardtowertech.png

파일:blank_red2.png 해당 색의 배경은 지원되지 않는 기술.


수도원

성주
시대

파일:aoe2_redemption.png
파일:aoe2_fervor.png
파일:AoE2_devotion.webp
파일:aoe2_sanctity.png
파일:aoe2_atonement.png
파일:aoe2_herbalmedicine.png
파일:aoe2_heresy.png
파일:aoe2_unique_tech_castle.png



왕정
시대

파일:aoe2_blockprinting.png
파일:aoe2_illumination.png
파일:aoe2_faith.png
파일:aoe2_theocracy.png

파일:aoe2_unique_tech_imperial.png
파일:aoe2_hoardings.png
파일:aoe2_sappers.png
파일:aoe2_conscription.png
파일:aoe2_spiestreason.png
파일:blank_red2.png 해당 색의 배경은 지원되지 않는 기술. / 파일:blank_teal.png 해당 색의 배경은 문명 보너스로 상쇄되는 기술.


5.4. 특수 기술[편집]


기술 이름
내용
연구 비용
데티네트
(Detinets)

성과 탑의 파일:에오엠2 석재.png 비용의 40%가 파일:에오엠2 목재.png로 대체됨.
파일:에오엠2 식량.png 200 파일:에오엠2 금.png 300
근위대
(Druzhina)

보병이 범위 피해(+5)를 가함.
파일:에오엠2 식량.png 900 파일:에오엠2 금.png 500


6. 조합[편집]


  • 고급 기병 or 보야르 + 특급 공성추

  • (근위대) 미늘창병 + 공성 아너저 + 특급 공성추

  • (근위대) 미늘창병 & 챔피언 + 특급 공성추


7. 패치 노트[편집]


확장팩
패치 및 변경점
포가튼
-
보야르 이동 속도 1.35.
아프리카 왕국
4.8
활 발사구 연구 삭제.
보야르 이동 속도 1.4로 상향.
라자의 부흥
-
농부 작업 속도 보너스가 외바퀴 수레, 손수레 연구 이후에도 정상 적용됨.
5.8
농부 작업 보너스가 15%에 가까이 맞춰지도록 약간 감소됨.
결정판
출시 직후
신앙 연구 가능.
보급품 연구 무료.
(기존 추적술 무료를 계승 받음.)
농부 작업 속도 +10%로 감소.
보야르 생산 시간이 15초로 감소.
36906
보야르 이동 속도 1.3으로 감소, 원거리 방어력 1 추가.
44725
기중기 삭제.
50292
정예 보야르 근거리 방어력 6 → 8.
인도의 왕조
61321
특수 기술 교체 : 동방정교회[8]데티네트.

8. 여담[편집]


  • 문명의 전반적인 모티브는 슬라브 계열 중에서 가장 메이저하고 인지도가 높은 러시아에서 따온 듯 하다. 다만 이나 성벽의 경우는 폴란드에서 많이 따 왔다. 그런데 후속 확장팩 및 DLC에서 남슬라브나 서슬라브계 문명들이 독자적인 문명으로 분리되면서 슬라브족의 입지가 좀 애매해졌다. 이 때문에 그냥 차라리 문명 이름을 루스인으로 개명하는게 어떻겠냐는 말이 나올 정도. 공교롭게도, 슬라브족이 사용하는 문명 아이콘도 키예프 루스국이 사용했던 국장이기도 하다. 유닛들의 대사도 러시아어와 비슷한 대사들이 나온다. 사실, 포가튼 때만 해도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러시아 문명의 대사를 그대로 갖다가 썼다. 마침 인도 DLC에서 인도가 힌두스탄으로 리워크됐으니 슬라브도 리워크가 되지 않을까 하는 의견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2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7.5;"
, 7.5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2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7.5;"
, 7.5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7:20:44에 나무위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문명/슬라브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는 팔라딘과 공유하는 단점이기도 하다.[2] 팔라딘과 원거리 방어력은 같지만 HP가 낮다.[3] 이 상성 관계를 제대로 보여주는 Hera와 Heartt의 경기가 있었는데, Hera가 계속되는 만구다이 견제+후사르, 낙타로 이루어진 전열 상대로 어떻게든 후사르 대부대와 공성 아너저 10기를 모으는 데에 성공했으나, Heartt가 만구다이 대신 후사르로 우회기동하면서 공성 아너저를 계속 잘라먹자 결국 만구다이에게 가기도 전에 후사르+낙타의 전열에 막혀 GG.[4] 백부장 버프가 없는 로마 군단병에게 승리한다![5] 50292 패치 이전 4 → 6.[6] 결정판 업데이트 36906 이전 1 → 2[7] 4.8 패치 이전 1.35, 결정판 업데이트 36906 이전 1.4[8] 수도사 방어력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