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조 건축

덤프버전 : (♥ 0)


王朝建築

1. 개요
2. 상세
3. 목록


1. 개요[편집]


군주제 국가에서 지어지는 궁전이나 관청 등의 건축물, 군주조정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궁전이나 관청 등의 건축물에 적용하는 건축 양식, 또는 그러한 건축물이 돋보이도록 공간을 배치하는 도시 계획을 말한다.

2. 상세[편집]


군주제 국가에서 군주가 사용하는 건물이나, 관료들이 사용하는 건물은 모두 왕조 건축에 해당된다. 대표적으로 궁전관청이 있으며, 종묘·사직·왕릉·영묘 등이 모두 이에 해당한다. 고대 제정일치 사회에서는 신전도 군주의 권위를 상징하는 건물이었기에 왕조 건축에 포함되었으며, 제정이 어느 정도 분리된 후인 고려시대에도 왕명에 의해 사찰궁궐에 못지 않게 지어지곤 하였다.

이러한 건축물들은 매우 크고 화려하게 꾸며졌으며, 일정한 격식이 있었다. 동아시아의 궁궐은 주례(周禮)에 따라 전각(殿閣)과 행각(行閣), 등을 배치하였는데, 일례로 황제국의 궁궐은 오문삼조(五門三朝)라 하여 정전(正殿)에 이르기까지 5개의 문을 지나게 하고, 궁궐을 3개의 권역으로 나누었으며, 제후국의 궁궐은 삼문삼조(三門三朝)라 하여 정전에 이르기까지 3개의 문을 지나게 하고, 마찬가지로 3개의 권역으로 공간을 나누었다. 황제국 궁궐의 격식에 맞게 지어진 자금성은 오문오조, 제후국 궁궐의 격식에 맞게 지어진 경복궁은 삼문삼조 구조이다.

조선시대에는 검이불루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라 하여 왕조 건축의 사치를 어느 정도 제한한 만큼, 과거 왕조들에 비해 왕조 건축도 소박해진 면이 있으나, 민가는 99칸 규모를 넘지 못 하게 하고, 민가에서는 단청을 쓰지 못 하게 하는 식으로 제도를 정하여 민권을 억제하는 식으로 군주의 권위를 높였다.

도시 계획에서도 군주의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여러 장치를 적용하였는데, 대개 궁궐이나 관청 앞에는 일직선으로 쭉 뻗은 대로(大路)나 광장을 배치하곤 하였다. 이 공간은 국가 행사를 열거나, 퍼레이드를 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서울세종대로도 그런 설계의 일환으로, 서울시청 앞에서부터 웅장한 광화문이 떡하니 버티고 서 있는 풍경을 보노라면, 조선왕조가 사라진 지금이라도 왕의 권위에 압도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현대에는 대부분 국가에서 왕조가 무너지고 공화정이 세워졌지만, 왕조 건축은 이름만 바꿔 관제 건축으로 계승되었다. 관제 건축은 독재 정권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장치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아무래도 미관이 근사하다 보니, 독재 정권이 물러난 후에도 공공 건축의 설계에 많이 반영되고 있다.

3. 목록[편집]


  • 궁전·궁궐
  • 사당
  • 제단(祭壇)
    • 사직단·천단(환구단)[1]·기곡단·선농단·선잠단
  • 관청
  • 왕릉
  • 사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9 16:15:57에 나무위키 왕조 건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황제국에서만 지을 수 있었으며, 제후국은 함부로 짓지 못 하였다. 제후들에 비하여 황제의 권위를 드높이는 장치였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