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목록

덤프버전 : (♥ 0)

||



1. 개요
1.1. Windows
1.2. Unix-like
1.2.1. 유닉스
1.2.2. 리눅스
1.2.2.1. 데비안
1.2.2.2. Red Hat
1.2.2.3. 기타 리눅스
1.2.3. 기타 Unix-like 운영 체제
1.4. 기타 운영 체제



1. 개요[편집]


현존하는 다양한 운영체제를 목록화한 문서.

모바일 운영 체제인 경우 ☆을 표시한다.


1.1. Windows[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 Windows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미지:Windows 11.png 제품군
[ 펼치기 · 접기 ]

2000년대 이전
출시 시기DOSNTMobile/Embedded
1980년대1.x
2.x
1990~19953.x
95
NT 3.1
NT 3.5
NT 3.51
CE 1.0
1996~2000Nashville
98
Me
NT 4.0
2000
Neptune
CE 2.0
CE 3.0
Pocket PC 2000
2000년대 이후
NT 버전Desktop[1]ServerMobile/Embedded[2]
5.x
(2001~2006)
XPServer 2003
Server 2003 R2
Home Server
Pocket PC 2002
CE 4.x(Mobile 2003, 2003 SE)
CE 5.0(Mobile 2005)
6.x
(2007~2014)
Vista
7
8
8.1
Server 2008
Server 2008 R2
Home Server 2011
Server 2012
Server 2012 R2
CE 6.0
Mobile(6, 6.1, 6.5)
Embedded Compact 7
Phone(7, 8, 8.1)
Embedded Compact 2013
10.x
(2015~현재)
10
10X
11
Server 2016(반기 채널)
Hyper-V Server
Server 2019
Server 2022
10 Mobile
10 IoT
11.x
(개발중)
Windows Core OS
[ 각주 펼치기 · 접기 ]
[각주]

[1] Laptop 및 Tablet도 포함된다.[2] 편의상 이렇게 분류 되어 있을뿐 일부 제품군(Phone 8, Phone 8.1, 10 Mobile)를 제외하면 NT커널을 사용하는건 아니다.




1.2. Unix-like[편집]



1.2.1. 유닉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UNIX/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UNIX
[ 펼치기 · 접기 ]






1.2.2. 리눅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Linux/배포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1.2.2.1. 데비안[편집]



1.2.2.2. Red Hat[편집]



1.2.2.3. 기타 리눅스[편집]



1.2.3. 기타 Unix-like 운영 체제[편집]




1.3. 모바일 운영 체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모바일 운영 체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4. 기타 운영 체제[편집]


유니코드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한자의 이체자(異體字) 처리가 너무 조악하여 일본에서 태클이 굉장히 많다. 일본에서는 TRON 프로젝트라는 독자 RTOS 규격이 존재하는데 그 산하에 TRON 코드라고 한자의 세밀한 이체자마다 일일이 코드 번호를 부여한 문자 코드가 있다. 초한자는 이 규격에 맞게 만들어진 일본 독자의 운영체제이다.[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운영 체제 문서의 r708
, 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운영 체제 문서의 r70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5:52:09에 나무위키 운영체제/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무슨 규칙에 근거한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줄여서 #!이라고 표기한다.[2] The Amnesic Incognito Live System의 줄임말. amnesic은 '건망증의'(...)라는 뜻이고, incognito는 '가명으로', '자기 신분을 감추고'라는 뜻이다.[3] 다만 이 운영체제를 PC에 호스트 OS로 쓰는 경우가 잘 없는 탓인지 결국 최신판인 초한자 V(로마 숫자 5)부터는 호스트 OS가 아니라 Windows용 VMware Player(또는 VMware Workstation) 위에서 돌아가는, 가상화를 전제로 한 운영체제로 제작되기 시작했다. 이 운영체제에 대해 좋게 평가하면 일본의 장인 정신이 엿보이는 제품이지만, 나쁘게 평가하면 일본 IT 업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갈라파고스화의 절정을 보여 주는 제품이라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