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시내버스/목록/강화군

덤프버전 : r20190312 (♥ 0)




#redirect 틀:강화군내버스
파일:강화52(1).jpg
강화군 농어촌버스의 운행 모습
1. 개요
2. 노선 목록
2.1. 2016년 7월 30일에 폐선된 노선
2.2. 마을버스
2.3. 섬 지역 마을버스



1. 개요[편집]


강화군 내부 구간을 운행하는 농어촌버스 노선에 대해 서술하였다. 인천광역시 산하의 행정 구역인 강화군이지만 인천광역시청 건설교통국에서 관할하는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와는 다르게 강화군청 경제교통과에서 관할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차이 때문에 한때는 인천 BIS에서 노선 정보 및 도착시간 안내를 제공하지 않았지만, 추후에 강화군 농어촌버스 노선 및 공영버스까지 추가되면서 이러한 불편 사항은 해결되었다.

모든 농어촌버스 노선은 강화선진버스에서 운행하고, 간선버스 요금을 징수한다.[1]하지만 강화선진버스 노선 중에서 60-2번, 60-5번, 70번, 700-1번, 800번은 인천광역시청 건설교통국에서 관할하는 노선이다.

강화군청 문화관광 페이지의 '교통정보'에 노선 시간표가 나와있고, 대부분 노선들의 출발지인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에 시간표가 있으니 방문 시 참고할 수 있다.

초행길에 농어촌버스를 이용한다면 노선도를 보기를 권한다. 노선번호가 달라도 출발지와 종점이 같은 경우가 많은데 이걸 보고 탔다가 목적지에서 하차를 못하고 나중에 길을 잃는 경우가 있다.[2]2016년 7월 30일 내륙 지역과 동시에 노선 개편이 진행되었다.

차량 안내방송은 민기획을 쓰는 내륙 노선들과 달리 EB 안내방송을 사용한다.


2. 노선 목록[편집]


노선 중 01번부터 06번은 강화해안관광순환버스라는 명칭으로 부여받았다. 강화도의 주요 관광지를 경유하면서 강화도 일대를 크게 순환하는 노선으로 정규적으로 투입되는 차량 색깔도 다르다.[3]

여담으로 민통선이 걸치는 강화군이기는 하지만 민통선을 통과하는 노선에 대해서 별도의 검문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교동대교를 건너는 18번의 경우에는 교동대교를 건너기 전 외부인 출입증 발급 때문에 검문소에서 대기하는 시각이 긴 관계로 이용에 참고.

번호기점종점경유지운행회수[4]
01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고인돌▷평화전망대▷양사면▷외포리▷안양대9회[5]
02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안양대▷외포리▷양사면▷평화전망대▷고인돌9회[6]
03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선원면▷불은면▷온수리▷동막해변▷선수▷화도▷안양대4회[7]
04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안양대▷화도▷선수▷동막해변▷온수리▷불은면▷선원면4회[8]
05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안양대▷외포리▷화도▷동막해변▷온수리▷광성보10회[9]
06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광성보▷온수리▷동막해변▷화도▷외포리▷안양대10회[10]
07A강화터미널온수리선원면▷불은면▷동막해변▷선수▷화도▷덕포리1회[11]
07B온수리강화터미널동막해변▷선수▷화도▷온수리▷불은면▷선원면1회[12]
08A강화터미널온수리선원면▷온수리▷덕포리▷화도▷선수▷동막해변1회[13]
08B온수리강화터미널덕포리▷화도▷선수▷동막해변▷온수리▷선원면1회[14]
10강화터미널대산리축협ㆍ경찰서ㆍ강화중ㆍ강화산단ㆍ월곳리13회[15]
11강화터미널용구물강화병원ㆍ갑룡초교ㆍ용성리12회[16]
17강화터미널금월리창리ㆍ선원면ㆍ연리입구7회
18[17]강화터미널월선포고인돌ㆍ신봉리ㆍ인화리ㆍ봉소리ㆍ대룡리11회
23강화터미널양오리축협ㆍ송해파출소ㆍ고인돌ㆍ장정2리ㆍ석조여래입상입구2회
24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축협▷당산리▷양사면사무소▷인화리▷신봉리7회[18]
25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축협▷신봉리▷인화리▷양사면사무소▷당산리7회[19]
30강화터미널외포리축협ㆍ송해파출소ㆍ외포리ㆍ강서중ㆍ내가시장16회[20]
31A강화터미널석모도안양대ㆍ인산저수지ㆍ고인돌ㆍ황청리ㆍ석모리4회[21]
31B강화터미널석모도안양대ㆍ인산저수지ㆍ고인돌ㆍ황청리ㆍ석포리6회[22]
32강화터미널창후리축협ㆍ송해파출소ㆍ고인돌ㆍ하점면사무소ㆍ강서중11회
33강화터미널망월리축협ㆍ송해파출소ㆍ부근삼거리ㆍ신삼리ㆍ명신초교10회
34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축협▷송해파출소▷신삼리▷창후입구▷하점면사무소3회[23]
36강화터미널외포리서문ㆍ송해삼거리ㆍ부근삼거리ㆍ신삼리ㆍ내가면사무소4회
37강화터미널황청리세광아파트ㆍ안양대ㆍ비선삼거리ㆍ외포리ㆍ오상리ㆍ구하리10회
38A강화터미널석모도서문ㆍ국화저수지ㆍ내가면ㆍ구하리ㆍ석포리4회[24]
38B강화터미널석모도서문ㆍ국화저수지ㆍ내가면ㆍ구하리ㆍ석모리2회[25]
40강화터미널화도터미널세광아파트ㆍ안양대ㆍ비선삼거리ㆍ양도시장12회
41강화터미널정수사입구세광아파트ㆍ안양대ㆍ비선삼거리ㆍ상방리ㆍ함허동천7회
42강화터미널화도터미널세광아파트ㆍ선원초교ㆍ불은면사무소ㆍ온수리ㆍ덕포리6회
43강화터미널화도터미널세광아파트ㆍ불은초교ㆍ오두리ㆍ마그네ㆍ온수리ㆍ도장리11회
44강화터미널화도터미널세광아파트ㆍ선원초교ㆍ불은면사무소ㆍ온수리ㆍ가톨릭대ㆍ조산초교5회
45강화터미널산문ㆍ건평안양대ㆍ인산저수지9회
48강화터미널양도면사무소선원면ㆍ불은면사무소ㆍ도장2리ㆍ조산초교11회
49강화터미널화도터미널서문ㆍ국화저수지ㆍ고천리ㆍ내가면ㆍ외포리ㆍ양도면사무소7회
50강화터미널온수리선원면ㆍ불은면2회
51강화터미널동검리선원면ㆍ불은면ㆍ온수리ㆍ전등사ㆍ선두4리9회
52강화터미널온수리선원면ㆍ불은면ㆍ호국교육원ㆍ길직리6회
53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갑곶돈대▷초지진▷황산도입구▷장안말▷온수리▷덕진진3회[26]
54강화터미널고능리안양대ㆍ불은면ㆍ고잔마을8회
55강화터미널온수리선원면ㆍ불은면ㆍ오두리ㆍ신현리ㆍ덕진사거리8회
55강화터미널장안말선원면ㆍ불은면ㆍ온수리ㆍ초지삼거리4회
58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선원면▷불은면▷온수리▷선두리▷동검리▷장흥리▷전등사4회[27]
59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선원면▷불은면▷온수리▷장흥리▷동검리▷장흥리▷전등사4회[28]
61A강화터미널외포리선원면ㆍ불은면ㆍ온수리ㆍ조산초교ㆍ인산삼거리3회
61B강화터미널온수리조산초교▷인산삼거리▷외포리▷온수리▷불은면▷선원면1회[29]


2.1. 2016년 7월 30일에 폐선된 노선[편집]




2.2. 마을버스[편집]


번호기점종점경유지운행회수
1-1(연지마을)강화슈퍼연리·지산리강화군청ㆍ강화터미널ㆍ세광아파트ㆍ선원면사무소ㆍ남산뒤11회
1-2(대산마을)강화슈퍼대룡리강화군청ㆍ강화경기장9회[30]


2.3. 섬 지역 마을버스[편집]


번호기점종점운행회수
교동대룡리대룡리8회
석모보문사보문사12회


[1] 농어촌버스에 포함되지 않는 마을버스 노선들은 강화선진버스에서 관리하지 않는다.[2] 농어촌버스의 기점은 모두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이다.[3] 다른 노선들이 청색 도색을 하고 있는데 비해 이 노선은 적색으로 도색된 차량을 투입한다. 다만 시간표 순회에 따라 파란 도색이 투입되는 경우도 있으며 빨간 도색이 기타 강화 노선에 투입되는 등 항상 고정된 것은 아니다.[4] 평일 기준[5] 시계반대방향 순환[6] 시계방향 순환[7] 시계방향 순환[8] 시계반대방향 순환[9] 시계반대방향 순환[10] 시계방향 순환[11] 시계방향 순환[12] 시계방향 순환[13] 시계반대방향 순환[14] 시계반대방향 순환[15] 2회 강화서문 경유[16] 2회 강화서문 경유[17] 구 70번. 유일한 교동도 행으로 강화 농어촌버스 중에서는 보기 드문 대형버스 투입차량이다. 60-5번 출신 차량을 2대 투입하여 운행중.[18] 시계반대방향 순환[19] 시계방향 순환[20] 1회 외포리→강화 직행[21] 석모도 시계반대방향 순환, 시간표참조[22] 석모도 시계방향 순환, 시간표참조[23] 시계방향 순환[24] 석모도 시계방향 순환, 시간표참조[25] 석모도 시계반대방향 순환, 시간표참조[26] 1회 강화서문 경유[27] 시계반대방향 순환[28] 시계방향 순환[29] 편도운행[30] 2회 월곳리 경유, 2회 돌머루 연장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