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도둑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릭 라이어던의 판타지 소설에 대한 내용은 번개 도둑 문서
번개 도둑번 문단을
번개 도둑#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설명
3. 일본의 사례
4. 기타


1. 개요[편집]


,[1] Electricity theft

전기를 훔치는 도둑 또는 그러한 행위.


2. 설명[편집]


본인의 소유가 아닌 전기를 사용하거나 훔치는 것을 말한다. 작게는 남의 집, 지하철 역, 가게, 사업체의 전원콘센트스마트폰 충전기를 꼽아 충전하는 것부터 크게는 국가 전력망에 손을 대 발전소급 단위의 대용량 전력을 훔치는 것도 이론상으론 가능하다.[2] 전기 또한 다른 유형물과 마찬가지로 엄연히 법의 보호를 받는 재물이며 이를 멋대로 훔치면 절도죄에 해당한다.실제 사례

규모가 작고 일상적인 경우라서 암묵적으로 전기를 사용하도록 인정을 받는 경우에는 넘어갈 수도 있으나[3], 규모가 커지고 적극적으로 전기를 훔치려는 행위는 처벌을 당할 수 있다.[4] 특히 본인의 전기요금을 아끼려고 몰래 남의 집 콘센트를 몰래 사용한다던가 전봇대에서 전력을 끌어오는 등의 행위가 의외로 자주 발생하고, 또 적발된다.

최근에는 전기자동차를 비롯한 전기자전거, 전동 킥보드 등 고용량 배터리를 사용하는 일렉트릭 모빌리티가 많아지면서 이를 충전하기 위해 전기 도둑질을 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본인이 사는 아파트 주차장이라 해도 거주인들의 관리비로 유지되는 공용 전기를 사용하면 전기도둑 행위가 된다. 또 스마트폰 충전 정도라면 모를까 전동 킥보드 또는 전기자전거 충전을 위해 회사의 전기를 쓰는 것 또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전기도둑은 개인 뿐만 아니라 규모가 있는 단체들에게도 상당히 자주 일어나는 범죄 중 하나다. 중간에 모범을 보여야 할 대기업은 물론 군부대나 공공기관도 허가받지 않은 전기를 사용해서 수십 억 단위의 위약금을 무는 경우가 많고 심지어 모범을 보여야 할 한국전력공사 직원들이 적발된 경우까지 있으니 결코 가볍게 볼 일이 아니다.

자기가 직접 남의 건물에서 전선을 연결하지 않고 전기기사에게 맡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특수절도죄로 의뢰인과 전기업자 모두 처벌받을 수 있다.


3. 일본의 사례[편집]


일본의 카페음식점은 한국과는 달리 손님이 자유롭게 충전할 수 있도록 콘센트를 개방하지 않는 곳이 많고, 만약 벽이나 바닥에 콘센트가 있다고 하더라도 점주나 직원의 허락 없이 코드를 꽂아 쓰는 것을 큰 민폐 행위로 여긴다. 와이파이 무선 네트워크 역시 손님에게는 개방하지 않는 가게도 허다하다. 특히 소규모 자영업 가게일수록 이러한 경우가 많은데, 일본의 동네 카페는 한국처럼 라운지형 공간보다는 음료와 함께 음식을 제공하는 경양식당이나 다방으로 운영되는 곳이 많기 때문에 더욱 까다롭다. 이런 곳에서는 카공족 역시 오래 자리를 점유할 때 따가운 눈총을 받는다.

또 일본은 일본은 밑반찬도 다 제 값을 받을 정도로 정해진 것 이상의 서비스 제공에 엄격한 문화가 있다. 그러므로 일본 여행을 할 계획이 있다면 보조 배터리를 기본으로 챙겨가도록 하자.#

반면에 스타벅스도토루처럼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나 패스트푸드 체인점, 푸드코트일수록 충전이 가능한 가게가 많다. 충전이 긴급할 경우엔 어디서 충전 가능한지 가게주인이나 직원에게 일단 물어보도록 하자. 가게에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라도 유료 보조배터리 대여 서비스나 충전이 가능한 곳을 알려줄 것이다. 일본은 한국과 달리 충전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편의점을 포함한 각종 장소에 충전 서비스가 매우 많다. 공항이나 공공기관의 충전 데스크 시설, N’EX,신칸센 등의 열차 지정석, 리무진 버스, 호텔 등에선 무료로 충전 가능하다.

또 회사에서 직원이 개인 휴대폰을 충전하는 행위를 매너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한국보다 흔하다.# 다만 일본의 사회 풍조상 기성세대에서 그런 시선도 있다는 것일 뿐, 실제로는 대부분의 일본 회사에서도 휴대폰 충전 정도는 일상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임직원의 전화나 노트북 충전을 막으면 업무수행에 차질이 생기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며, 일본에서도 권위적인 기업 이미지를 개선하고 서양의 근로모델을 참고하여 복리후생을 늘이려는 시도가 있어 특히 IT기업이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 벤처기업으로 갈수록 회사 문화가 너그럽다. 지나치게 직원의 충전을 제한하는 회사는 일본 내에서도 블랙기업 또는 비용 절감에 매우 깐깐한 곳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내부인이 아니라 회사를 방문한 외부인이 사측의 허락없이 자의로 전원 콘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연히 민폐로 여긴다.


4. 기타[편집]


  • 단순한 콘센트 연결 수준이 아니라, 직접 선을 따서 전선을 연결할 경우 전기공사기술자가 아닌 경우 전기사업법 위반으로 추가적인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 몰래 전선에 손댈 경우 고의성이 다분한데다 감전사고나 화재 또는 정전 등의 대형사고 위험도 있으므로 적용하는 처벌수위가 달라진다.

  •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도 대기전력 소모가 커서 전기요금 상승의 주범이 되는 셋톱박스전기밥솥 등을 전기도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맛있는 반찬을 밥도둑이라고 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지만 밥도둑은 도둑의 본래 뜻과 다르게 긍정적인 뉘앙스를 내포하고 전기도둑은 그렇지 않다.

  • 2020년대에 들어 암호화폐의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이를 채굴하려고 도전 행위를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가격이 싼 산업용 또는 농업용 전기로 사용을 신고하고 채굴 사업장을 운영하거나 채굴기를 공공기관의 콘센트를 연결하여 이용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상가나 일반건물 등에서도 몰래 채굴하는 경우들이 늘었는데, 예를 들면 용산전자상가 등에 가보면 아예 채굴금지 경고문이 붙어있을 정도이다.

  • 최근 무인 매장이많이 늘어나면서 매장에 아무도 없다는 점을 이용해 콘센트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전기도둑이 등장했다. 한 남성이 음료를 주문하지 않은 채 대용량 배터리를 충전하며 전기를 훔쳐 쓴 사연이 전해졌다. 변호사에 따르면 "우리 법에는 동력도 재물로 본다. 전기도 재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절도죄가 성립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한다. #

  • 대한민국의 경우 원래는 상술의 문단에도 있듯이 일본의 특수한 사례로 여겨지며 '일본에는 전기도둑이라는 말도 있다'더라며 반쯤은 조롱하는 분위기가 있었지만, 카공족 같은 진상 손님 문제와 충전가전 및 충전식 이동수단 활용이 늘어나면서 한국에서도 조금씩 받아들이는 개념이 되고 있다. 다만 기본적으로 "손님이 왕이다"이라는 선입관과 겹쳐져, 무인가게에서 몰래 전기도둑 행위를 한다거나 하는 식으로 명확하게 행위 자체가 도둑질로 보일만한 경우가 아닌 이상 카페 주인이나 아르바이트생의 일시적인 허락을 맡고[5] 전기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제지할 만한 도덕적 근거가 사회적으로 마련되는 분위기는 아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21:59:50에 나무위키 전기도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도전. 도둑 도, 번개 전을 쓴다. 보통 도전이라고 하면 다른 동음이의어를 연상하기 때문에 '도전 행위'라고 늘려 부르는 경우가 많다.[2] 삼면이 바다인 한국과는 달리 육로로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사고파는 유럽, 국가 인프라가 열악한 동남아나 남아메리카 등지에선 실제로 벌어진다고 한다.[3] 지인의 집이나 학교(다만 개인적인 전기 사용을 금지하는 학교도 있긴 하다. 이럴 경우 보조배터리를 가져온다.), 회사, 개인 사업용 가게, 관공서, 공공기관 등지에서 공개적으로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4] 에코플로우 델타와 같이 kw급 파워뱅크를 무단 충전하는 경우.[5] 엄밀히 따지면 대부분은 전기 이용시간 및 전기 이용 수준을 속이는 식으로 전기도둑질을 하는 '속임수'를 사용이기 때문에 단순히 논리적으로만 따져서는 주인이 나서서 질타를 하거나 주변의 공분을 살 만한 행위에 충분히 포함되지만, 현실적으로는 무인가게에서 비슷한 행위를 하거나 주인에게 묻지 않고 전기를 쓰는 경우와 달리 카페 주인 입에서 허락 비슷한거라도 떨어진 경우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리는 수준 이상의 공감을 사회 전체적으로 사기는 어렵다. 더군다나 주인이 상주하는 경우가 아닌 아르바이트생의 허락을 맡은 경우에는 더욱 따지기 복잡하다. 기본적으로 지역사회에 기반해 장사를 하고 있는 입장이기 때문에 현실은 대충 허락 맞는척 한 다음에 전기차를 충전해도 공개적으로 진상 취급하기가 애매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