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네거리

덤프버전 : r (♥ 0)



중앙네거리
中央十字路口 | Jungang (4)Jct
파일:Cityroad_kor_50.svg 국채보상로
파일:Cityroad_kor_61.svg 중앙대로파일:Cityroad_kor_50.svg 국채보상로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사일동, 포정동, 남일동 일대[상세]
교차 도로명
중앙대로 (남북)
국채보상로 (동서)
연계 철도
파일:Daegu1.svg 중앙로
교통 통제
중앙대로
(전 방향)
좌회전 금지
중앙대로
(북편 진입차량)[1]
직진 금지[대중교통전용지구]
국채보상로
(서편 진입차량)[2]
좌회전 금지
우회전 금지[대중교통전용지구]
국채보상로
(동편 진입차량)[3]
좌회전 금지[대중교통전용지구]
교차로 거리 표
이현동 방면
서성네거리
← 0.6 ㎞
국채보상로
중앙네거리
만촌동 방면
공평네거리
0.5 ㎞→
앞산 방면
반월당네거리
← 0.5 ㎞
중앙대로
중앙네거리
도청 방면
대구역네거리
0.4 ㎞→

1. 개요
2. 상세
3. 교통 통제
3.1. 동편 진입
3.2. 서편 진입
3.3. 남편 진입
3.4. 북편 진입
4. 주변 시설



1.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중구 사일동, 포정동, 남일동 일대에 위치한 교차로.


2. 상세[편집]


반월당네거리 지하에 환승역이 생기기 이전까지 대구에서 가장 번화했던 장소들 중 한 곳으로, 극장, 서점, 학원가 등이 이 근방에 산재해 있다.

조선시대에 도청 역할을 했던 경상감영이 300m 근처에 위치해 있고, 이 근처에 경북도청(現 경상감영공원)[4], 대구경찰서(現 대구중부경찰서), 대구우체국 등 근대시설들이 위치했던 것으로 볼 때 대구의 중세~근현대 역사 무대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한편, 일제강점기로 들어서며 그 명성이 점차 일본인 거주지인 동편으로 옮겨가며 한 풀 꺾이고, 이후 도청 이전, 반월당역 환승역 신설 등으로 인해 현재는 다소 빛이 바랬다.

이 교차로를 기준으로 남쪽은 유동인구가 많고 북쪽은 유동인구가 적은데, 이는 과거의 번화가는 북성로를 위시한 향촌동 일대였기 때문이다. 오늘날에는 남쪽은 학원가의 양상을 띄며 젊은 층이 많이 찾고, 북쪽은 구제가게 등 다소 연령층이 높은 이들을 타겟으로 하는 점포들이 주를 이루며, 당연히 중장년층이 많이 찾는다.


3. 교통 통제[편집]


교차로명 간의 화살표는 차량의 진행방향임

3.1. 동편 진입[편집]


중앙네거리 ← 공평네거리
파일:좌회전 금지.png
일반 차량 좌회전 금지
(반월당네거리 방면)


3.2. 서편 진입[편집]


서성네거리 → 중앙네거리
파일:좌회전 금지.png 파일:우회전금지.png
일반 차량 좌회전 금지(노선 버스 허용)
(대구역네거리 방면)

일반 차량 우회전 금지[대중교통전용지구]
(반월당네거리 방면)


3.3. 남편 진입[편집]


반월당네거리 → 중앙네거리
파일:좌회전 금지.png
전 차량 좌회전 금지
(서성네거리 방면)


3.4. 북편 진입[편집]


대구역네거리 → 중앙네거리
파일:좌회전 금지.png 파일:직진금지.png
전 차량 좌회전 금지
(공평네거리 방면)

일반 차량 직진 금지[대중교통전용지구]
(반월당네거리 방면)


4. 주변 시설[편집]



[상세] 사일동 15-7, 17-7, 17-8, 17-15, 85
포정동 58-12
남일동 20-1, 34-3, 38-23
[1] 대구역네거리→중앙네거리[대중교통전용지구] A B C D E 노선버스, 택시(21:00~익일 10:00), 이륜차 허용[2] 서성네거리→중앙네거리[3] 중앙네거리←공평네거리[4] 1964년 산격동으로 이전하기 이전까지 경상감영 자리에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02 05:09:12에 나무위키 중앙네거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