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당(지명)

덤프버전 : r (♥ 0)




1호 광장
반월당네거리
半月堂十字路口 | Banwoldang (4)Jct
파일:Cityroad_kor_40.svg 달구벌대로
파일:Cityroad_kor_61.svg 중앙대로파일:Cityroad_kor_40.svg 달구벌대로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덕산동, 남산동 일대[상세]
교차 도로명
중앙대로 (남북)
달구벌대로 (동서)
연계 철도
파일:Daegu1.svg [[파일:Daegu2.svg
교통 통제
중앙대로
(남편 진입차량)[1]
직진 금지[대중교통전용지구]
달구벌대로
(전 방향)
3.6톤 이상 화물차, 위험물/고압가스적재차량 진입금지[구간]
달구벌대로
(서편 진입차량)[2]
좌회전 금지[대중교통전용지구]
달구벌대로
(동편 진입차량)[3]
우회전 금지[대중교통전용지구]
교차로 거리 표
하빈 방면
계산오거리
← 0.6 ㎞
달구벌대로
반월당네거리
사월동 방면
봉산육거리
0.6 ㎞→
앞산 방면
남문시장네거리
← 0.6 ㎞
중앙대로
반월당네거리
도청 방면
중앙네거리
0.6 ㎞→

파일:대구 반월당 과거 사진.png
반월당네거리의 과거 모습
파일:external/chulsa.kr/3ee67456e677f74edc32fdf7daec1e6b.jpg
반월당네거리의 모습(2018)[4]
1. 개요
2. 상세
3. 교통
4. 여담
5. 외부 링크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중구 반월당네거리가 위치한 남산동, 덕산동, 봉산동, 동성로3가, 계산동2가 일대를 가리키는 지명. 소위 말하는 넓은 개념의 동성로 상권 구역으로 쉽게 말해 도심이다. 대구 도시철도 최초의 환승역인 반월당역이 위치해있다.


2. 상세[편집]


대구광역시의 중심지로 과거엔 1호광장이란 명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사실 반월당이란 이름은 따로 법정동명에 쓰이진 않았지만, 시간이 흐르며 관습적인 지명으로 자리잡았다. 이곳에 위치한 반월당네거리란 지명이나 '○○○ 반월당점' 같은 가게 명칭 등, 이 지역을 가리키는 의미로 법적인 동명인 덕산동, 남산동보다도 '반월당'이란 명칭이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반월당'이란 지명의 유래를 두고 이런 속설이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군과 싸우다가 패배했을 때 반월당 지역까지 왔는데, 때마침 하늘에 반달(半月)이 떠 있었으므로 '반월당'이란 지명이 생겼다는 것이다. 그러나 927년 공산 전투 때 왕건은 오늘날의 대구 동구의 북부에 있는 파군재 일대에서 후백제견훤과 싸워 패배한 뒤, 남쪽의 안심과 반야월 지역을 지나 수성구와 남구 일대에 있는 사찰들을 거쳐 칠곡 방면으로 도주했으리라 추정한다. 관련논문 대구 중심지에 위치한 반월당 쪽이 아니라 오히려 외곽 지역으로 갔다는 것이다. 비슷하게 왕건이 도주하던 중에 한밤중(半夜)에 도착하자 달(月)이 떠 있었다 하여 붙은 반야월(半夜月)이란 지명이 있다. 사람들이 '반야월'과 '반월당'의 '반월'을 비슷하다고 여겨서 왕건과 엮는 이런 속설이 생긴 모양이다.

정확한 유래는 이러하다. 일제강점기 시절인 1936년 조선인 차병곤이 목조 2층 건물 백화점을 세웠는데, 그 백화점의 상호가 바로 '반월당(半月堂)'이었다. 당시 반월당은 여학생들이 좋아할 만한 물품들을 주로 팔았다고 한다. 비록 반월당은 주인과 상호가 바뀌다가 결국 폐업하고 건물마저 헐려서 사라졌지만, 예전 상호가 그 지역을 가리키는 지명으로 정착한 것이다. 대구광역시 지명유래

대구 최대 번화가 지역에 포함되는 구역답게, 유통 상권으로는 더현대 대구[5][6]동아백화점 쇼핑점[7]이 있으며, 반월당 지하상가라는 대규모 지하상가도 있다. 2020년 반월당 삼성생명빌딩에 반달스퀘어라는 상업공간도 생겼다.

대구에서 범어네거리 다음가는 고층 빌딩 밀집 지구이다. 다만 범어네거리는 고층 아파트 위주, 반월당 근처는 오피스 빌딩이 많다는 차이는 있다. 다만 생각외로 주거시설도 꽤 있는데, 신성미소시티 아파트, 반월당삼정그린코아, 반월당SK허브스카이, 반월당효성해링턴플레이스, 클래시아 1,2차 오피스텔 등이 있다.[8] 대구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대구초등학교 등 교육기관도 있다. 숙박시설로는 시티뷰로 유명한 엘디스리젠트호텔이 있다.


3. 교통[편집]


대구 도시철도 최초의 환승역이자 유일의 지하 환승역인 반월당역이 있다.[9][10] 달구벌대로, 중앙대로를 지나는 모든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경산시 시내버스가 정차한다.


4. 여담[편집]


주변 관광지로 약령시, 계산성당, 대구 관덕정 천주교 순교 기념관이 있다.

반월당역의 경우 지하철 입구가 무려 23개인데, 이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갯수다. 게다가 실제로는 더 많다. 번호가 붙는 도시철도 입구만 23개이고, 반월당 지하상가로 들어가는 번호 없는 출입구가 20개 더 있다. 즉, 실질적으로는 43개이다. 그래도 달구벌대로를 따라 길쭉한 형태로 건설되어있기 때문에, 부평역 등과 같이 미로 수준으로 복잡하진 않아 길 찾기는 훨씬 쉬운 편이다.


5. 외부 링크[편집]




6. 관련 문서[편집]




7. 둘러보기[편집]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광장계획
[ 최초 14개 광장 ]
[ 그외 광장 ]

[상세] 덕산동 68-2, 87-2, 88, 94-1, 96-23, 107, 127-36, 131-2, 155-1, 297-24, 307, 308
남산동 910-3, 910-4, 910-39, 926-1, 924-10, 924-18, 926-6, 926-19, 927
[1] 남문시장네거리→반월당네거리[대중교통전용지구] A B C 노선버스, 택시(21:00~익일 10:00), 이륜차[구간] 1차 순환선 내(달구벌대로 신남네거리~삼덕네거리 구간)[2] 계산오거리→반월당네거리[3] 봉산육거리→반월당네거리[4] 2020년에는 반월당 삼성생명빌딩 저층부가 반달스퀘어로 리모델링하면서 외관이 좀 변화하였다.[5] 개점 당시 현대백화점 대구점이었으나 2022년 리뉴얼하면서 12월 16일 더현대 대구로 점포명이 바뀌었다. 더현대 서울 이후 처음으로 더현대라는 브랜드가 붙는 백화점이자 기존 현대백화점에서 더현대로 변경된 첫번째 백화점, 비수도권 최초의 더현대 백화점이다.[6] 대구신세계에 다음으로 대구지역 매출 2위 백화점이자 비수도권 현대백화점 매출 1위 백화점이기도 하다. 대구신세계 개점 전에는 대구 지역 매출 1위였다.[7] 본점이 2020년 3월 폐점하면서 실질적 본점 역할을 한다. 사실 이전에도 말만 본점이지 2002년부턴 아울렛으로 운영되어서, 플래그십은 쇼핑점이었다.[8] 구역이 조금 다른 편이라 구분된다. 상권 및 오피스가 있는 곳은 달구벌대로 쪽이고, 주거 및 오피스텔은 반월당 남쪽에 있다. 게다가 평지인 달구벌대로 측과 달리 반월당 남쪽은 언덕이다.[9] 비수도권에선 부산의 서면역 다음가는 이용객 수를 가지고 있다.[10] 지상 환승역은 3호선과 환승하는 1호선 명덕역2호선 청라언덕역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반월당 문서의 r7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반월당 문서의 r7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5 22:09:05에 나무위키 반월당(지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