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질량 항성

최근 편집일시 :

<RoyalBlue> 항성은하천문학·우주론
Stellar & Galactic Astronomy · Cosmology


[ 펼치기 · 접기 ]
항성천문학
항성 ()
광도 · 별의 등급 · 색등급도 · 여키스 분류법 · 하버드 분류법 · 별의 종족 · 다중성계(쌍성) · 변광성(세페이드 변광성 · 밝은 청색 변광성 · 황새치자리 감마형 변광성) · 성단(산개성단의 분류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
항성 진화
보크 구상체 · 진스 불안정성 · 하야시 경로 · 갈색왜성 · 황소자리 T형 별 · 주계열성 · 준거성 · 적색거성 · 헬륨 섬광 · 점근거성가지 · 적색초거성 · 볼프–레이에별 · 행성상성운 · 초신성(중력붕괴 · 좀비별 · 감마선 폭발)
밀집성
백색왜성(신성 · 찬드라세카르 한계) · 중성자별(뉴트로늄 · 기묘체) · 블랙홀(에딩턴 광도)
성간물질
성운(전리수소영역 · 통합 플럭스 성운) · 패러데이 회전
은하천문학
기본 개념
은하(분류) · 활동은하핵(퀘이사) · 위성은하 · 원시은하(허블 딥 필드) · 툴리-피셔 관계 · 페이버-잭슨 관계 · 헤일로(암흑 헤일로)
우주 거대 구조
은하군 · 은하단 · 머리털자리 은하단 ·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페르세우스자리 은하단) · 섀플리 초은하단 · 슬론 장성 · 헤르쿨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
우리 은하
은하수 · 페르미 거품 · 국부 은하군(안드로메다은하 · 삼각형자리 은하 · 마젤란은하(대마젤란 은하 · 소마젤란 은하) · 밀코메다) · 처녀자리 초은하단(처녀자리 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화로자리 은하단 ·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 · 센타우루스자리 은하단 · 거대 인력체) · 물고기자리-고래자리 복합 초은하단
우주론
기본 개념
허블-르메트르 법칙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시뮬레이션 우주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와 미래
우주 달력 · 플랑크 시대 · 우주배경복사(악의 축) · 재이온화
틀:천문학 ·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천문학 관련 정보




1. 개요
2. 상세
3. 나무위키에 있는 초대질량 항성


1. 개요[편집]




초대질량 항성에 대한 설명(4:33~5:52)[1]
초대질량 항성(Supermassive Star, SMS)는 우주 초기 금속 함량이 매우 낮은 조건에서 형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가설 상의 천체이다. 가스의 직접 붕괴에 의한 초대질량 블랙홀의 형성 과정에서 초기 단계의 일부 기간동안은 이러한 초대질량 항성이 탄생하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그 질량은 태양 질량의 1만 ~ 100만 배에 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2. 상세[편집]


보통 여러 항성이 합쳐져서 만들어지며, 보통 항성보다 밀도가 큰 경우가 많다.
광도가 크며 수명이 짧다.


2.1. lll형 항성[편집]


이는 우주 초기에 형성된 항성을 의미하며, 최대 태양 질량의 500배 정도나 된다. 이들은 블랙홀, 퀘이사, 은하 등의 형성을 촉진하였고, 이로서 은하가 형성된 것이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O형 주계열성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1. 쿼시 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쿼시 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잔해[편집]



2.2.1. 성운[편집]



2.2.1.1. 괴물 항성(일명)[편집]

파일:IMG_0892344.jpg
초대질량 항성의 잔해(성운)

현재까지 관측된 가장 큰 별이 태양 질량의 300배 정도지만 이 항성은 약 5천~1만 배에 달한다고 한다.[추정]

이 가설은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에 모여 공 모양의 구상성단을 형성하고 있는 100만개에 가까운 별들이 비슷한 환경에서 만들어졌지만, 다양한 화학 성분을 가져 수십년간 미스터리가 돼온 점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렇게 가설로만 존재해온 '괴물 천체'의 존재를 입증하는 화학적 신호가 처음으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에 포착된 것으로 발표돼 관심을 받고있다.

18일 스위스 제네바대학교와 AFP통신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천체물리학 교수 코린 샤르보넬 박사가 이끄는 유럽 연구팀은 초기 은하의 구상성단을 웹 망원경으로 관측해 얻은 결과를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Astronomy and Astrophysics)에 발표했다.

샤르보넬 박사팀은 앞서 2018년 처음으로 초대질량 항성 가설을 제시했다.

비슷한 시기, 같은 가스 구름에서 형성된 구상성단의 항성이 어떻게 다른 화학적 구성을 갖는지를 초대질량 항성의 존재로 설명했다.

태양과 같은 별은 중심 온도가 약 1천500만~2천만℃에 그치는데, 7천만℃에 달하는 온도가 필요한 알루미늄과 같은 원소를 가진 별들이 많은 것은 중심온도가 7천500만℃까지 오르는 초대질량 항성이 이를 만들어 줬기에 가능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별이 빽빽하게 몰려있는 구상성단 안에서 다른 별과 연쇄적으로 충돌하며 '씨앗 별'이 돼 주변 물질을 흡수했다가 다시 분출함으로써 새로 형성되는 별의 재료를 제공해 화학적으로 다양한 성분을 갖게 된 것으로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를 약133억광년 밖 초기 은하인 GN-z11에서 찾아냈다.

이 은하는 지난 2015년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처음 관측돼 한때 가장 오래된 은하 기록을 갖고 있기도 했다.

연구팀은 웹 망원경 관측을 통해 GN-z11 은하 내 구상성단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별이 모여있는 밀도를 갖고있고, 질소도 많다는 점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질소를 만들려면 초고온에서 수소가 연소돼야 하고, 이런 초고온은 초대질량 항성의 핵에서만 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질소를 초대질량 항성의 존재를 나타내는 화학신호르 해석했다.

샤르보넬 교수는 초대질량 항성을 '괴물 천체'라고 부르면서 "웹 망원경이 수집한 자료 덕분에 이런 비상한 항성의 존재에 대한 첫 단서를 발견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초대질량 항성 가설이 '발자국'이라면 이번 관측 결과는 뼈를 찾아낸 것과 같다고 비유했다.

하지만 초대질량 항성을 직접 관측할 수 있을 가능성은 많지 않은 것으로 제시됐다.

초대질량 항성의 수명이 약 200만년 정도로 우주의 시간 단위로 따지면 찰나만 존재하고 사라진 것으로 추정돼 간접적 흔적은 발견할 수 있어도 관측하는 것은 어렵다고 했다.

-동아사이언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N-z11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2. 극대질량 블랙홀, 초대질량 블랙홀[편집]


보통 쿼시 별에서 형성되었다고 보고 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블랙홀/종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볼프-레이에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볼프 레이에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현재 R136a1이 이곳에 속한다. 질량이 큰 것 치고는 크기가 그리 크지 않다.[2]

3. 나무위키에 있는 초대질량 항성[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16 20:10:05에 나무위키 초대질량 항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쿠르츠게작트의 영상.[추정] [2] 밀도가 높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