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수부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온조왕
다루왕
기루왕
개루왕
다루의 모후
기루의 모후
개루의 모후
초고, 고이의 모후
초고왕
구수왕
고이왕
책계왕
구수의 모후
사반의 모후
책계의 모후
보과부인
분서왕
비류왕
근초고왕
근구수왕
계의 모후
차비
왕후 진씨
아이부인
침류왕
진사왕
아신왕
전지왕
왕후 진씨
진손의 모후
왕후 해씨
팔수부인
구이신왕
비유왕
개로왕
문주왕
왕후
개로의 모후
대후
왕후 해씨
삼근왕
동성왕
무령왕
성왕
왕후 진씨
비지의 딸
왕대비
창의 모후
위덕왕
혜왕
법왕
무왕
아좌의 모후
선의 모후
왕후
왕후 사택씨
무왕
의자왕
풍왕
선화공주
은고부인
왕후 오오씨






백제 제18대 왕후
八須夫人 | 팔수부인

출생
(음력)

390년대 추정[1]
백제
사망
(음력)

미상
백제
능묘
미상
재위기간
제18대 어륙
405년 9월 ~ 420년 3월 (14년 6개월)

[ 펼치기 · 접기 ]

팔수(八須)
주군
전지왕
자녀
구이신왕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백제 제 18대 국왕 전지왕의 처.


2. 생애[편집]


아이부인 진씨와 달리 팔수부인의 출자는 확실치 않은데, 이에 대해서는 해씨(解氏) 설[2]과 일본 귀족 여성이라는 설[3]이 제기되었다.

25년에 백제의 직지왕이 죽었다[薨]. 이에 아들 구이신(久爾辛)이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왕이 어려 야마토(大倭)의 목만치(木滿致)가 국정을 잡았다. 아울러 왕모(王母)와 밀통하여 무례한 행위를 많이 저질렀다. 천황은 이를 듣고 소환하였다【《백제기》에서는 “목만치는 목라근자가 신라를 정벌할 때 그 나라 부인을 얻어서 낳은 자식이다. 아버지의 공적으로 임나에서 전횡을 하다가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귀국(貴國)과 왕래하였다. 천조(天朝)의 명령을 받아서 우리나라의 정사를 장악하고 권세를 세상에 떨쳤다. 그러나 천조가 그 포악함을 듣고서 소환하였다.”라고 한다.】.

일본서기 오진천황 25년.


일본서기에서도 간접적으로 언급되는데, 414년[4] 전지왕이 사망한 후 구이신왕이 즉위한 후[5] 왕이 어려 목만치가 국정을 잡았다고 한다. 목만치는 구이신왕의 어머니와 서로 정을 통하고 왕에게 무례한 행동들을 했다가 이를 보다못한 오진 덴노이 목만치를 일본으로 소환시켰다는 기록이 있다.[6] 이후의 행적은 불명.

[1] 아신왕의 출생연대를 역산하면 전지왕은 390년대생이 되는데 이를 바탕으로 한 추정.[2] 전지왕 시기에 해씨들이 대거 기용되었는데, 이 때 기용된 해수(解須)와 해구(解丘)가 왕의 친적이라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전해진다.[3] 한일 관계사를 연구한 김현구 교수의 주장이다.[4] 원문은 294년으로 되어있다. 이주갑인상으로 올린 연도다.[5] 삼국사기에 기록된 전지왕의 사망 / 구이신왕의 즉위년도(420년)과 6년이나 차이난다.[6] 천황의 부름을 받고 일본으로 소환했다는 내용은 일본서기의 윤색으로 보인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3:46:06에 나무위키 팔수부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