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리

최근 편집일시 : (♥ 0)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엔트리(동음이의어) 문서
엔트리(동음이의어)번 문단을
엔트리(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파일:엔트리 아이콘.svg 엔트리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서비스
[ 펼치기 · 접기 ]

파일:네이버 아이콘.svg
네이버
파일:네이버 메일 아이콘.svg
네이버 메일
파일:naver-cafe-icon-2023.webp
네이버 카페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네이버 블로그
파일:네이버쇼핑 아이콘.png
네이버쇼핑
파일:external/s.pstatic.net/mobile_140556488635.png
네이버 뉴스
파일:네이버 부동산 아이콘.svg
네이버 부동산
파일:Naver Map.png
네이버 지도
파일:네이버 웹툰 로고.svg
네이버 웹툰
파일:네이버 게임 아이콘.svg
네이버 게임
파일:네이버페이 앱 아이콘.png
네이버페이
파일:네이버 밴드 아이콘.svg
네이버 밴드
파일:네이버 사전 아이콘.svg
네이버 사전
파일:네이버 쇼핑라이브 아이콘.png
네이버 쇼핑라이브
파일:네이버 스포츠 아이콘.png
네이버 스포츠
파일:네이버 시리즈 로고.png
네이버 시리즈
파일:네이버 웹소설 로고.png
네이버 웹소설
파일:네이버 지식iN 아이콘.svg
네이버 지식iN
파일:네이버 캘린더 아이콘.svg
네이버 캘린더
파일:external/s.pstatic.net/mobile_141242632467.png
해피빈
파일:naver_mybox.png
네이버 MYBOX
파일:네이버 VIBE 아이콘.svg
네이버 VIBE
파일:SmartPlace.jpg
네이버 플레이스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치지직
파일:external/s.pstatic.net/mobile_141010702661.png
네이버 뿜
파일:external/s.pstatic.net/mobile_140820357159.png
네이버캐스트
파일:오디오클립 아이콘.svg
오디오클립
파일:네이버 메모 아이콘.svg
네이버 메모
파일:클로바 아이콘.svg
네이버 클로바
파일:external/s.pstatic.net/mobile_14484896655.png
네이버 톡톡
파일:파파고 아이콘.svg
파파고
파일:네이버 클라우드 플렛폼 아이콘.png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파일:네이버 스마트에디터 아이콘.png
스마트에디터
파일:snowcorp.png
스노우 SNOW
파일:원스토어 아이콘.svg
원스토어
파일:워크플레이스 아이콘.webp
워크플레이스
파일:네이버플러스 멤버십 로고(좌우형).svg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파일:navertalk.png
네이버톡
파일:리멤버 아이콘.webp
리멤버
파일:엔트리 아이콘.svg
엔트리
파일:라인게임즈 로고.svg
라인게임즈
파일:라인스튜디오 로고.png
라인스튜디오
파일:네이버 지식백과 아이콘.png
네이버 지식백과
파일:네이버 데이터랩 로고.png
네이버 데이터랩
파일:IPX_corporation.jpg
IPX
파일:ZEPETO 로고.svg
ZEPETO
파일:네이버 스마트보드 아이콘.png
네이버 스마트보드
파일:JUNIVER SCHOOL_App Icon.png
쥬니버스쿨
파일:네이버 오픈톡 아이콘.png
네이버 오픈톡
파일:네이버 인플루언서 아이콘.jpg
네이버 인플루언서
파일:프리즘 라이브 로고.png
PRISM Live Studio
파일:쥬니어네이버 아이콘.png
쥬니어네이버
파일:네이버 스마트스토어.webp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파일:네이버예약.png
네이버 예약
파일:그라폴리오 아이콘.svg
그라폴리오
파일:네이버 웨일 앱 아이콘.svg
네이버 웨일
파일:네이버 나우 아이콘.svg
네이버 나우
파일:네이버 금융 아이콘.png
네이버 금융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네이버 포스트
파일:네이버 인증서-네이버 자격증 아이콘.png
네이버 자격증
나눔글꼴파일:serieson_favicon_192.png
네이버 시리즈온
파일:NAVER_WORKS.png
네이버웍스
파일:네이버 프리미엄 서비스 아이콘.png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파일:네이버 쪽지 아이콘.png
네이버 쪽지
파일:차이나랩 아이콘.jpg
차이나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파일:네이버 주문 로고.png
네이버 주문
파일:네이버 사전(구) 아이콘.svg
네이버 단어장
파일:네이버 모두 아이콘.png
모두 Modoo!
파일:네이버 오픈사전PRO.png
네이버 오픈사전PRO
파일:네이버 엑스아이 로고.jpg
네이버 엑스아이
파일:cue_logo.webp
Cue:
파일:clovax.jpg
CLOVA X
문서가 없는 서비스 · 종료된 서비스



파일:네이버 커넥트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영유아교육쥬니버 | 쥬니버스쿨
초중등 SW교육엔트리 | 소프트웨어야 놀자
성인 SW교육부스트캠프 | 부스트코스
열린강좌edwith | Khan Academy
컨퍼런스SEF




파일:엔트리 아이콘.svg엔트리
Entry
||
사이트 종류소프트웨어 교육 플랫폼
개발ㆍ운영네이버 커넥트
영리 여부비영리
사이트
개설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년 (11주년)
파일:일본 국기.svg

2019년 10월 31일
서비스
종료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3월 31일[1]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한국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일본[지원종료]
SNS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2]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GitHub 아이콘.svg[[파일:GitHub 아이콘 화이트.svg

1. 개요
2. 주요 메뉴
3. 문제점
4. 논란 및 사건 사고
5. 스크래치와의 차이점
6. 용어
7. 기타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23 브랜드필름

우리는 무엇이든 될 수 있어요.
엔트리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미래를 꿈꾸고 함께 성장하는 창작 플랫폼입니다.

엔트리는 네이버 커넥트재단에서 개발하고 운영하는 비영리 소프트웨어 교육 플랫폼이다. 약 200만 명 이상의 유저들이 이용 중이다. 2018년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엔트리가 교육용 코딩 언어로 채택되어, 전국의 초·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작했다.

기존의 텍스트 코딩과 달리 블록을 끼우는 방식으로 코딩할 수 있는 그래픽 기반 프로그램으로, 나중에 텍스트 코딩을 할 수 있는 엔트리파이썬이라는 시스템도 생겨났다.[3][4]

학교에서의 코딩 교육 플랫폼으로 개발되어 EBS의 '소프트웨어야 놀자'와 같은 국내의 많은 코딩 교육 프로그램들이 스크래치와 함께 엔트리를 사용한다. 주로 초등학교의 실과, 컴퓨터 시간, 중학교의 정보 과목에서 상당한 분량을 차지한다. 또한, 대학교에서도 주로 신입생들 컴퓨팅 사고 교양필수 강좌에서도 다수 활용되고 있다.[5]


2. 주요 메뉴[편집]










3. 문제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엔트리/문제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엔트리/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스크래치와의 차이점[편집]


엔트리는 블록형 프로그래밍을 채택한 점과 자유로운 커뮤니티 위주의 사이트라는 점에서 '한국판 스크래치'라는 평가가 존재한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파고든다면 다른 점이 꽤 많다.


2015년 이후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모두 엔트리로 바뀌었기 때문에, 한국 한정 스크래치의 활용도가 이전에 비해 많이 낮아졌다. 단, 스크래치만이 가지고 있는 기능들이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하여 방과후 교육, 동아리 활동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6. 용어[편집]



7. 기타[편집]






소프트웨어 교육의 시작점 엔트리

이 곳에 당도한 것을 환영하오. 낯선이여.
이 곳은 누구나 깨우칠 수 있는 엔트리요.
부디 배움을 익혀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시오.
파일:둣교만우절.png















파일:이상한엔트리코드.png[47]







8.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8:04:53에 나무위키 엔트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날짜가 바뀌고 제반의 사정으로 사이트를 종료한다고 밝혔다.[지원종료] [2] 지원 종료[3] 엔트리파이썬은 파이썬과 문법이 다수 비슷하나, 파이썬에 있는 모든 문법을 지원하지는 않는다.[4] 확장, 데이터분석, 인공지능 블록이 조립된 경우, 엔트리파이썬 모드로 변경할 수 없다.[5] 예시로 부산대가 이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을 교양필수로 의무 수강하도록 하고 있다.[6] 엔트리(교육 플랫폼)/만들기 문서 참조.[7] 줄여서 '묻답'이라고 부른다.[8] 줄여서 '노팁'이라고 부른다.[9] 줄여서 '엔이'라고 부른다.[10] 재밌게도 다른 교육 플랫폼인 스크래치에서도 같은 이름의 기능이 있다[11] 제안 및 건의 게시판이 업데이트되면서 답변 대기 상태가 아니어도 운영자가 답변을 할 수 있다.[12] 줄여서 '제건'이라고 부른다.[13] 앞글자를 따와서 '스선'으로 줄여 불리기도 한다.[14] '인작'으로 불리기도 한다.[15] 인기 작품이 되면 운영자가 대체로 스태프 선정 작품으로 선정을 잘 해주지 않는다. 다만, 가끔씩 인기 작품에 간 작품도 선정을 해 주는 듯하다.[16] 스크래치도 교육 중심적인 기능이 존재는 하지만, 엔트리에 비해 부실하다.[17] 변수의 서식(글꼴, 크기, 색깔)을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품의 퀄리티를 한층 높일 수 있다.[18] 최근 스크래치 업데이트 예고에 따라 조만간 스크래치에도 추가될 듯.[19] 사실 스크래치의 초창기 버전에는 장면 기능이 존재했지만 이후 삭제되었다.[20] 번역, 비디오 감지, 오디오 감지, 읽어주기[21] 작품을 정지하고 페이지를 닫아야 저장이 된다. 동시 접속자가 있을 때는 저장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22] 가끔씩 목록이 삭제된다.[23] 화면을 각 블록이 진행될 때마다 일일이 캐스팅하지 않기에 연산량을 극도로 줄일 수 있는 기능이다. 엔트리에서는 스크래치처럼 간편하지는 않지만 재귀함수로 구현은 가능하다. 다만 이마저도 최대 호출 깊이를 넘기면 튕겨버린다.[24] 과거에는 영어베트남어,일본어도 지원했다. 참고로 일본어를 선택하면 라인 엔트리로 이동됐었다.[25] 엔트리는 480x270, 스크래치는 480x360[26] 가끔 장난식으로 엔트리 접속합니다 라고 사용된다.[27] 엔트리의 영어명인 entry를 한영전환을 하지 않고 치면 나오는 단어. 일부 유저들 사이에서도 자주 쓰이는 편이다.[28] 다음 날 해당 부분이 삭제되었다.[29] 조롱이떡이 엔트리봇의 옷을 입고있다.[30] 여기서 엔트리를 접는 것은 종이접기할 때의 접는 것을 말하는 말장난이다.[31] HTML를 악용해 악성코드를 올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일 듯.[32] DELETE 요청을 받으면 인증 없이 삭제되는 허점을 노린 것. 다만 현재는 먹히지 않는다.[33] 현재는 심각한 버그가 존재하지 않아서 큰 문제는 없다.[34] 캡처를 위한 기능이라는 의견이 있다.[35] 파일:리뉴얼엔트리.png [36] 행과 열의 제목이 영문과 숫자로 대체되었으며, 그에따라 제목이었던 셀이 밀려났다.[37] 또한 테이블에서 바꾼 데이터가 없어도 경고창이 뜬다.[38] 작품 만들기 기능은 바뀌지 않았다. 다만 업데이트로 디자인이 조금 바뀌긴 했다.[39] 기존 엔트리 이야기 게시판에서는, 글의 내용과 제목이 따로 구분되어 있었고, 이를 이용해 낚시 글, 홍보 글 등을 올릴 수 있었다.(즉, 게시글 목록 페이지와 글 페이지가 따로 있는 형태.) 하지만 엔트리가 리뉴얼 되면서 글의 제목 따위는 없고 글의 내용만 적을 수 있게 되었다. 대신 답글 기능이 생기긴 했다.[40] 재미있는 점은 몇몇 유저들이 이런 시스템을 마음에 들지 않아, 이미지 업로드 할 수 있는 코드를 개발해 공공연히 쓰였다. GIF도 가능하지만, 최근 엔트리 업데이트로 1MB로 제한하여 고품질의 이미지, GIF 업로드가 어렵게 되었다. 대신 이미지의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사이트를 이용하면 용량이 큰 사진도 압축해서 올릴 수 있지만 엔트리 4월 업데이트 이후 이미지를 보는 기능을 비활성화하여 현재는 불가능하다. 공식으로 시용할수 없어서 waffle이라 부르는 확장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점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링크를 이미지로 띄우는 프로그램이다보니, 적용하지 않으면 Upload 형식의 링크가 간간히 보이는 것이 그 이유.[41] 작품을 자동으로 계속 수정하여 작품 공유하기 1페이지에 노출시키는 기능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또 '손크로'라는 용어도 생겨났는데, '손+매크로'라는 뜻이다. 매크로를 수동으로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쉽다.[42] 제건 답변을 보면 '작품이 인기있어지는 것보다 자신이 그 작품을 만드는데 쓴 피땀눈물이 더 중요하다'고 되어있다. 그러나 그 답변대로면 인기작품과 스태프선정이 있을 이유가 없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작품을 보지 못하면 피땀눈물이 소용이 없어져 작품을 공유하는게 의미없어지게 된다.[43] 리뉴얼 후 생긴 문제점이 리뉴얼 전에 있었던 문제점보다 더 많기 때문.[44] 학급 오류, 마이페이지 오류, 저장이 안 되는[45] 좋아진 점으로는 알림 기능이 생긴 점, 댓글에 답글 기능이 생긴 점 등이 있다.[46] 엔트리(교육 플랫폼)/문제점 문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답변에는 '노력해보겠다'는 답변이 대부분이고 제안이 여러개면 답변을 회피한다.[47] 판단값과 문자/숫자값을 반대로 끼워 넣은 것이다.[48] 엔트리의 10주년이다.[49] 그밖에도 접속자수도 100만명이 넘는다.[사진] 파일:엔트리 이용자수.jpg[50] 누구나 수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위키라고 보기는 어렵다.[51] 많이 알려진 사이트로는 https://imgbb.com/가 있으며, 엔트리 내부 링크인 https://playentry.org/uploads/(아이디)도 작성이 불가능하다. 다만, 후자의 경우 /uploads를 //uploads로 바꾸고 링크 앞에 있는 https://를 지우는 식으로 우회 가능하다.[마이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