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시(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당진시 문서
당진시번 문단을
당진시# 부분을
, 당진시 정치 일반에 대한 내용은 당진시/정치 문서
당진시/정치번 문단을
#s-번 문단을
당진시/정치#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당진시>
당진시 일원
唐津市
Dangjin
파일:국회선거구 당진시.svg
선거인 수166,381명 (2020)
상위 행정구역충청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당진시 전역
당진1동, 당진2동, 당진3동, 합덕읍, 송악읍, 고대면, 석문면, 정미면, 면천면, 순성면, 우강면, 신평면, 송산면, 대호지면
신설년도2012년
이전 선거구당진군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어기구



1. 개요[편집]


소선거구제 체제에서 단 한 번도 통합이나 분구 없이 지금까지 선거구가 유지돼오고 있다.[1][2] 19대 총선 전에 당진이 로 승격하면서 선거구명이 당진군에서 당진시로 바뀌었으며, 전체적인 정치 성향은 공단지대에 거주하는 노동자들의 표심으로 인해 민주당세가 강하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어기구 의원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제13대김현욱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당진군
제14대송영진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제15대김현욱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송영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김낙성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
[[자유선진당|
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김동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당진시
제20대어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2020년 5월 30일 ~

2.1. 당진군 (13~18대)[편집]



2.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당진군
당진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현욱(金顯煜)31,744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47.92%당선
2박준호(朴俊鎬)2,4634위
[include(틀:통일민주당)]3.71%낙선
3송영진(宋榮珍)29,0892위
[include(틀:신민주공화당)]43.91%낙선
4고영석(高永晳)2,9473위

파일:제3세대당.png
4.44%낙선
선거인 수83,752투표율
80.07%
투표 수67,063
무효표 수820

2.1.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당진군
당진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현욱(金顯煜)23,008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7.19%낙선
2백종길(白鍾吉)7,4673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2.07%낙선
3송영진(宋榮珍)24,7091위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39.94%당선
4류제연(柳濟然)4,6674위

[[신정치개혁당|
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
7.54%낙선
5고영석(高永晳)1,2815위

[[무소속|
무소속
]]
2.07%낙선
6이세윤(李世奫)7296위

[[무소속|
무소속
]]
1.17%낙선
선거인 수81,144투표율
77.11%
투표수62,568
무효표수707

2.1.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당진군
당진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송영진(宋榮珍)16,5352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8.35%낙선
2백종길(白鍾吉)7,2353위
12.40%낙선
3정석래(鄭石來)2,6744위
4.58%낙선
4김현욱(金顯煜)29,8971위
51.27%당선
5고영석(高永晳)1,9635위
3.36%낙선
선거인 수85,938투표율
69.69%
투표 수59,891
무효표 수1,587

2.1.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당진군
당진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석래(鄭石來)5,3733위
9.38%낙선
2송영진(宋榮珍)26,5041위
46.26%당선
3김현욱(金顯煜)23,5892위
41.17%낙선
4최무웅(崔茂雄)1,8334위
3.20%낙선
선거인 수90,003투표율
64.56%
투표수58,109
무효표수810
13대부터 이어진 김현욱송영진의 네 번째 맞대결로, 약 3000표차로 송영진이 당선되었다.

2.1.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당진군
당진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석래(鄭石來)6,9183위
14.56%낙선
2한만석(韓萬錫)2,0134위
4.24%낙선
3박기억(朴基億)17,7022위
37.26%낙선
4김낙성(金洛聖)17,7111위
37.28%당선
5고영석(高永晳)9346위
1.97%낙선
6임성대(林成大)1,7405위
3.66%낙선
7신현영(申鉉永)4877위
1.03%낙선
선거인 수87,728투표율
54.84%
투표 수48,111
무효표 수606

17대 총선 당시 가장 표차가 적었던 지역구다. 표차는 단 9표차였다.

2.1.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당진군
당진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정덕구(鄭德龜)16,7022위
33.24%낙선
3김낙성(金洛聖)29,2751위
58.26%당선
6고영석(高永晳)2,0373위
4.05%낙선
7임성대(林成大)1,6174위
3.22%낙선
8이한재(李韓在)6155위
1.22%낙선
선거인 수106,887투표율
47.65%
투표수50,931
무효표수685

2.2. 당진시 (19대~)[편집]



2.2.1.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당진시
당진시 일원[당진]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동완(金東完)26,8701위
44.20%당선
2어기구(魚基龜)13,3913위
22.03%낙선
3김낙성(金洛聖)15,1242위
24.88%낙선
4김희봉(金羲奉)1,9894위
3.27%낙선
6김창기(金昌起)2368위
0.38%낙선
7김건(金建)1,7823위
2.93%낙선
8손창원(孫昌源)8676위
1.42%낙선
9박찬일(朴贊一)5207위
0.85%낙선
선거인 수119,868투표율
51.19%
투표 수61,358
무효표 수579
2012년 1월부터 당진군이 당진시로 승격되면서 선거구 이름이 당진시로 바뀌게 되었다.

2.2.2.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당진시
당진시 일원[당진]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동완(金東完)27,3502위
38.76%낙선
2어기구(魚基龜)28,5301위
40.44%당선
3송노섭(宋魯燮)12,8003위
18.14%낙선
5고영석(高永晳)1,3764위
1.95%낙선
6전병창(全炳彰)4925위
0.69%낙선
선거인 수132,562투표율
53.94%
투표 수71,506
무효표 수958
이번 선거의 최대 이변 중 하나이다. 당진에 젊은 인구가 늘어나며 선거 연령층의 변화도 한 원인이다. 김동완 후보는 보수가 새누리당과 자유선진당으로 분열된 채로 치렀던 19대 총선에서 득표율 44.2%로 당선되었으나, 이번에는 거꾸로 민주당이 분열된 상황에서 보수 단일 후보로 나갔음에도 오히려 하락한 38.8%의 득표율을 얻었다. 또한 친반통합, 기독자유당 후보의 표 분산의 영향도 있었다.

2.2.3.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당진시
당진시 일원[당진]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어기구(魚基龜)38,5351위
47.66%당선
2김동완(金東完)24,4572위
30.25%낙선
7전병창(全炳彰)4266위
0.52%낙선
8김진숙(金珍淑)1,5774위
1.95%낙선
9박경재(朴耿材)5205위
0.64%낙선
10정용선(鄭龍仙)15,3333위
18.96%낙선
선거인 수137,609투표율
59.5%
투표 수81,858
무효표 수1,010

21대 총선 충남 당진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어기구김동완정용선
득표수
(득표율)
38,535
(47.66%)
24,457
(30.25%)
15,333
(18.96%)
+ 14,078
(△17.41)
81,858
(59.48%)
당진1동49.22%24.33%23.20%△24.8955.19
당진2동49.60%25.07%21.99%△24.5359.06
당진3동51.96%24.61%20.02%△27.3563.84
합덕읍39.47%42.28%15.87%▼2.8158.21
송악읍[3]54.25%29.96%12.52%△24.3054.65
고대면40.13%31.56%25.31%△8.5762.42
석문면46.74%29.13%20.51%△17.6154.33
대호지면38.27%37.20%21.69%△1.0760.57
정미면37.08%37.02%22.97%△0.0559.06
면천면32.55%25.77%39.32%▼6.7862.24
순성면36.11%29.34%32.01%△4.1060.52
우강면[4]33.62%47.85%15.71%▼14.2360.35
신평면45.85%34.26%17.15%△11.5956.22
송산면51.39%29.01%15.89%△22.3855.75
후보어기구김동완정용선격차
거소·선상투표48.12%26.31%16.54%△21.80
관외사전투표54.12%34.51%8.64%△19.61
재외투표60.52%31.57%5.26%△28.95
현역 어기구 의원은 경선 끝에 공천을 받으면서 재선에 도전한다.

미래통합당에서는 김동완 전 국회의원, 박서영 법무사, 정석래 전 당협위원장, 정용선 전 경기남부지방경찰청장[5]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는데 경선 끝에 김동완이 공천을 받았다.

결국 어기구가 넉넉한 격차로 당선되었다. 보수 분열에 따른 어부지리라는 말도 있으나, 김동완은 20대 총선에 비해서 오히려 표가 더 적어졌고, 소지역주의의 영향상 자신의 동네 후보를 밀어주는 경향[6]을 감안해야 함과 동시에 보통 무소속 후보의 경우 민주당 지지층의 표도 어느정도 잠식하므로 보수 후보간 단일화를 하더라도 결과가 바뀌었을 가능성은 낮다. [7]

참고로 당진시의 비례대표 득표 현황은 다음 표와 같았다.
비례대표
정당
득표율2.21%33.44%32.25%9.41%6.81%4.70%
미래한국당이 더불어시민당보다 표를 약간 더 받았으나 정의당 등을 합치면 범진보세가 약간 더 우세했다.[8]


2.2.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당진시
당진시 일원[당진]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1] 다만, 중선거구제 이전인 4대 총선5대 총선 당시에는 갑과 을로 분구가 되었다. 이유는 당시 서산군(현 서산시)에서 편입해 온 대호지면과 정미면으로 인해서이다. 아산시 선거구가 인구 증가로 20대 총선부터 갑과 을로 분구되면서 현재 기준으로 충청남도의 전체 선거구 중 유일하게 단일 선거구가 되었다.[2] 17대 총선부터 군단위 동네들은 단독 선거구를 구성하지 못하고 인근의 가까운 지역과 합구하게 되었는데, 당진만큼은 예외적으로 어느 지역과도 합구하지 않고 시로 승격하는 날까지 쭉 단일 선거구를 유지했다.[당진] A B C D 당진1동, 당진2동, 당진3동, 합덕읍, 송악읍, 고대면, 석문면, 정미면, 면천면, 순성면, 우강면, 신평면, 송산면, 대호지면.[3] 어기구 후보의 고향.[4] 김동완 후보의 고향[5] 공천 반발로 탈당[6] 3위를 한 정용선 후보가 면천면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타 몇몇 읍면동에서 미래통합당 후보를 누르고 2위를 하기도 했다.[7] 같은 선거에서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존재했다.[8] 국민의당의 경우는 출구조사에서 민주당 후보 48%, 미래통합당 후보 52%를 투표했다는 결과가 나왔기에 범보수세로 분류하기엔 무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