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렛 M82A1M

덤프버전 :

M82A1M
Barrett M82A1M
파일:m82a1m_profile 0.jpg
종류대물 저격소총
원산지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펼치기 · 접기】
이력
역사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파일:미합중국 해병대 마크.svg파일: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마크.svg
2002년~현재
개발바렛 파이어암즈 매뉴팩처링
생산
사용국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기종
원형M82
파생형M82A3 SASR
M107 LRSR
제원
탄약12.7×99mm NATO
급탄10발들이 박스탄창
작동방식단주퇴 반동작용식
노리쇠 회전식
총열길이736mm
전장1,447mm
중량12.9kg
유효사거리1,800m
1. 개요
2. 상세
2.1. 역사
2.2. 특징
3. 종류
3.1. M82A1M
3.2. M82A3 SASR
4. 출처
5. 등장매체
5.3. 만화 및 애니메이션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M82A1M은 미군의 제식 저격소총이다.


2. 상세[편집]



2.1. 역사[편집]


파일:m82a1m_usa 0.jpg

1996년 미 육군은 기존의 M82 계열을 대체할 CFSR(50구경 저격소총, Caliber .50 Sniper Rifle) 사업을 실시하여 EDM 암즈 사의 윈드러너(Windrunner) M96과의 경합에서 우위를 나타낸 바렛 사의 M95를 1999년에 잠정 채택하고 XM107의 시험 제식명을 부여하였다.

하지만 2002년에는 성능 부족을 이유로 들어 그 결정이 번복됨에 따라 동사의 M82A1을 기반으로 하는 M82A1M이 M107의 정식 제식명으로 지정되었는데, 이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미 해병대에서도 약간의 수정을 가한 동일 기종을 M82A3의 정식 제식명으로 채택하기도 했다.


2.2. 특징[편집]


파일:m82a1m_backup-sights.jpg
보조 가늠쇠 및 가늠자

파일:m82a3_usmc 1.jpg

단순히 윗총몸의 상단이 피카티니 레일로 대체된 점 이외에도 미 육군의 요구 사항 중 하나였던 경량화에 중점이 맞추어졌기 때문에 여러 부분에서 설계와 소재가 대폭 변경되었으며, 또한 이는 Mk.211 Mod.0 다목적 고폭소이철갑(HEIAP) 탄약 사용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다.


3. 종류[편집]


파일:m82a1m_sheet 0.jpg파일:m82a3_sheet 0.jpg파일:m107_sheet 1.jpg
제식명M82A1M
XM107
M82A3M107
운용처USAUSSOCOM
USMC
USSOCOM
USA
USAF
USN
USMC
USCG
연도2000년~불명2000년~현재2002년~현재
재고번호1005-01-561-09951005-01-471-17741005-01-469-2133
가늠쇠통합형통합형매립 통합형
가늠자통합형없음통합형
부착대PR 저배치형PR 고배치형PR 저배치형


3.1. M82A1M[편집]


파일:xm107_usa 0.jpg

2000년과 2001년 사이에 XM107 LRSR(장거리 저격소총, Long Range Sniper Rifle)의 시험 제식명으로 미 육군에 채택된 초기형으로, 윗총몸에 피카티니 레일이 적용되는 동시에 단각대(Monopod) 부착대가 개머리판에 추가되거나 본체 중량이 기존의 M82A1과 비교하여 약 1.1kg이 감소하였다.


3.2. M82A3 SASR[편집]


파일:m82a3_usmc 0.jpg

M82A1의 또다른 주 운용처였던 미 해병대에 M82A3 SASR(특수임무용 저격소총, Special Applications Scoped Rifle)의 정식 제식명으로 별도 채택된 양산형으로, 전고가 낮은 M8541 망원조준경 부착대 때문에 높게 배치된 윗총몸의 피카티니 레일과 제거된 가늠자 등을 제외하면 M82A1M과 동일하다.


3.3. M107 LRSR[편집]


파일:m107_usmc 0.jpg

2003년에 M107의 정식 제식명 획득과 생산 승인이 이루어진 다음 2005년부터 미군 전체에 조달된 양산형으로, 제원 상의 특징이 원형인 M82A1M과 다를 바 없지만 보다 연장된 윗총몸의 피카티니 레일과 간략해진 매립형 가늠쇠 등의 소소한 부분에서 차이점이 있다.


4. 출처[편집]



4.1. 웹사이트[편집]




4.2. PDF[편집]




5. 등장매체[편집]


  • 바렛 M82/대중매체 문서에 M82A1M, M107 등 전반적인 M82 계열 모델들이 혼재되어 기술되어 있으므로 참고 바람.


5.1. 영화[편집]


  • 더블 타겟(2007) - 밥 리 스웨거(마크 월버그 분)가 적 헬기를 향해 M82A1M를 사용하는데, 주변의 먼지로 인해 발생한 오작동 때문에 장전 손잡이를 일일이 잡아당기면서 장전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5.2. 게임[편집]



  • AVA - M82A1M의 외형을 하고 있지만 M82A3 명칭으로 등장한다.

  • 배터리 - M82A1M의 외형을 하고 있지만 M82A1 명칭으로 등장한다.

  • 서바리움 - M82A1M의 외형을 하고 있지만 M82 명칭으로 등장한다.


5.3. 만화 및 애니메이션[편집]


  • 소녀종말여행 - 27화(애니메이션 10화)에서 물구덩이 근처에 버려진 채로 등장한다.


6. 관련 문서[편집]




7. 둘러보기[편집]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 미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현대의 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돌격소총M4, M4A1, XM7, M16A2, M16A3, M16A4, M27, M231, GUU-5/P, XM29, XM8
지정사수소총M14, M21, M21A5, M38, M39, M110, M110A1, M110A2, Mk.11, Mk.12, Mk.14, SAM-R, SDM-R, SIG716, MSG90
저격소총M24, M40, M82A1, M82A1M, M82A3, M107, M2010, Mk.13, RC-50, XM109
산탄총M26, M500, M590, M870, M870 MCS, M1014, M1200, AA-12
기관단총M3A1, MP5A3, MP5A5, MP5K, MPX, M635, APC9K, P90 TR
권총리볼버M15, GS32N
자동권총M9, M9A1, M11, M17, M18, M007, P229R DAK, KP95D, SP2022
지원화기기관총경기관총M249, XM250, LSAT
다목적기관총M60, M134, M240
중기관총M2HB, M2A1, M85, GAU-19, XM312, XM806
유탄발사기M32, M203, M320, Mk.19, EX-41, XM25, XM307
로켓발사기M72, M141, M202, Mk.153, Mk.777, RAW
미사일발사기BGM-71, FGM-77, FGM-148, FGM-172, FIM-43, FIM-92, SB LMAMS
무반동총M3, M67, M136
박격포M120, M224, M252, M327, Mk.2, Mk.4, XM905
곡사포M102, M119, M198, M777
특수전 화기소총돌격소총M723, M727, M733, M4A1 URG-I, Mk.16, Mk.17, Mk.18, HK416, MCX, SG552, SR-47
지정사수소총M14 DMR, Mk.1, Mk.20, HK417, OBR, RECCE, SR-25
저격소총M25, M91, Mk.15, Mk.21, Mk.22, LRP-07, RPR, TAC-338
기관단총MP5-N, MP7A1, UMP45
권총M1911, M45, M45A1, M66, M686, Mk.2, Mk.23, Mk.24, Mk.25, Mk.27, G22, HDM, P9S-N, P11, P239, PPK/S, OHWS, USP45CT
기관총Mk.43, Mk.44, Mk.46, Mk.48, HK21, HK23E, LAMG, Ultimax 100, MG338
유탄발사기M79, Mk.13, Mk.14, Mk.47, XM148
폭발물수류탄살상탄M67, Mk.3, Mk.21, ET-MP
섬광탄M84, M7290, Mk.13, Mk.20, Mk.141
화학탄M7A3, M8, M14, M18, M25A2, M34, M83
총류탄M100
지뢰M4A1, M7, M15, M18A1, M19, M86, MM-1
폭약M1, M1A2, M1A3, M2A4, M3A1, M039, M112, M118, M183, M303, Mk.7, TNT
냉병기총검M1, M6, M7, M9, M1905, OKC-3S
단검M11, Mk.3 Mod.0, AFSK, ASEK, KA-BAR, Mark II, MPK-Ti, SEAL-2000, SMF
예도M1840, M1852, M1859, M1860, M1902
도끼R&D Hawk, Shrike, VTAC
비치사성무기M5, M37, M39, M104, M234, FN 303, X26, 532P-M, LA-9/P
의장용 화기M1903, M1917, M1, M14, M16A1, M16A2, M16A3, M16A4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1:39:03에 나무위키 바렛 M82A1M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