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4호선/역 목록 (r21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수도권 전철 4호선



1. 설명
2. 목록



1. 설명[편집]


파란 칸은 지상역임을 표시하는 것.

일러두기(역 등급)
관리역보통역
배치간이역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을종승차권발매소
신호장신호소

  • 급행 정차역은 빨간 글자로, 급행 통과역은 회색 글자로 표기하였다.

* 횡단 기호 설명
  • ○: 승강장에서 반대편 선로의 승강장으로 횡단 가능
  • △: 대합실 또는 환승통로를 이용하여 반대편 선로의 승강장으로 횡단 가능
  • ×: 어디에서도 횡단 불가능
1. 설명
2. 목록



2. 목록[편집]


구간전압역번역명승강장등급급행[1]환승노선소재지
형태횡단




1
5
0
0
V
4040.0진접광릉숲진접광릉숲(지하 2층)




4051.0진 접榛 接■││■ (지하 2층)
4062.1오 남梧 南■││■ (지하 3층)
4074.7풍 양豊 壤■││■ (지상 2층)파일:Seoulmetro9_icon.svg 9호선
4089.8별내별가람別內別가람■││■ (지하 3층)파일:Seoulmetro8_icon.svg 8호선





4

40914.2당고개堂고개■││■ (지상 3층)×





41015.4상 계上 溪■││■ (지상 3층) 동북선[2]
41116.4노 원蘆 原■││■ (지상 3층)파일:Seoulmetro7_icon.svg 7호선
41217.8창 동倉 洞■││■ (지상 3층)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41319.1쌍 문雙 門■││■ (지하 2층)
41420.6수유(강북구청)水踰(江北區廳)■││■ (지하 2층)×

41522.0미아
(서울사이버대학)
彌阿(서울사이버大學)■││■ (지하 2층)×
41623.5미아사거리彌阿四거리■││■ (지하 2층)× 동북선[착공]
41724.8길 음吉 音│■│ (지하 2층)

41826.2성신여대입구(돈암)誠信女大入口(敦岩)■││■ (지하 2층)파일:UiLine_icon.svg 우이신설선
41927.2한성대입구(삼선교)漢城大入口(三仙橋)│■│ (지하 2층)
42028.1혜화(서울대학교병원)惠 化■││■ (지하 2층)×

42129.6동대문東大門│■│ (지하 4층)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42230.3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東大門
歷史文化公園
│■│ (지하 3층)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중구
42331.6충무로忠武路■││■ (지하 3층)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42432.3명동(정화예술대)明 洞│■│ (지하 4층)
42533.0회현(남대문시장)會賢(南大門市場)│■│ (지하 4층)
42633.7서울역서울驛│■│ (지하 2층)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AREX_icon.svg 공항철도
GTX-A노선


42734.9숙대입구(갈월)淑大入口(葛月)■││■ (지하 2층)×
42836.1삼각지三角地■││■ (지하 2층)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42936.8신용산(아모레퍼시픽)新龍山■││■ (지하 2층)×
43038.1이촌
(국립중앙박물관)
二村(國立中央博物館)■││■ (지하 2층)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43140.8동작(현충원)銅雀(顯忠院)■││■ (지상 3층)파일:Seoulmetro9_icon.svg 9호선

43242.6총신대입구(이수)總神大入口 (梨水)■││■ (지하 2층)[3]파일:Seoulmetro7_icon.svg 7호선
43343.7사당(대항병원)舍 堂│■│ (지하 3층)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43445.3남태령南泰嶺│■│ (지하 3층)





2
5
0
0
0
V
43547.3선바위■││■ (지하 2층)×



43648.3경마공원競馬公園■││■ (지하 2층)
43749.2대공원大公園■││■ (지하 2층)
43850.2과 천果 川■││■ (지하 2층)
43951.2정부과천청사政府果川廳舍■││■ (지하 2층)
44053.1과천지식정보단지果川知識情報團地(지하 2층)
44154.2인덕원仁德院■││■ (지하 2층)파일:GyeonggangLine_icon.svg 경강선




44255.8평촌(한림대성심병원)坪 村■││■ (지하 3층)
44357.1범 계■││■ (지하 2층)×


44459.7금 정衿 井│■││││■│■│ (지상 1층)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44562.0산본(원광대산본병원)山 本│■││■│ (지상 4층)[4]
44663.1수리산修理山■││■ (지상 1층)
44765.7대야미大夜味■││■ (지상 2층)
44867.7반 월半 月■││■ (지상 1층)




44971.4상록수常綠樹│■││■│ (지상 2층)
45072.9한대앞漢大앞││■││■ ││ (지상 1층)파일:SBLine_icon.svg


·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45174.5중 앙中 央■││■[5](지상 2층)파일:SinansanLine_icon.svg 신안산선




45275.9고 잔古 棧■││■ (지상 2층)
45377.4초 지草 芝■││■ (지상 2층)파일:SeohaeLine_icon.svg 서해선
45479.2안 산安 山│■││■│ (지상 1층)
45581.4신길온천新吉溫泉│■││■│ (지상 1층)
45684.3정 왕正 往■││■ (지상 2층)

45785.7오이도烏耳島│■││■│ (지상 1층)[6]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07 23:36:21에 나무위키 수도권 전철 4호선/역 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급행열차는 출퇴근 시간대만 운행한다.[2] 착공 2025년 상반기 개통 예정[착공] 2025년 상반기 개통 예정.[3] 사당역 방면 계단으로는 횡단할 수 없다.[4] 1번 출구 방향에 있는 개찰구 쪽에서는 횡단이 가능하나, 2번 출구 방향에 있는 개찰구 쪽에서는 횡단이 불가능하다.[5] 대피선 부지가 마련되어 있다.[6] 이 역에서 출·퇴근시간대 한정 통근급행열차가 출발/도착한다. 평일 한정이며, 평일에도 아침 출근시간대 오이도 방면 급행열차와 저녁 퇴근시간대 당고개 방면 급행열차는 운영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