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걸

덤프버전 :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문하시중

[ 펼치기 · 접기 ]
고려 초기
(918~981)

광평시중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문벌귀족기
(981~1170)

문하시중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무신정권
(1170~1270)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원 간섭기
(1270~1356)

김방경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여말선초
(1356~1392)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김일봉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대한민국 국무총리





1. 개요
2. 생애
3. 가족관계

朴成傑
(? ~ ?)

1. 개요[편집]


고려의 인물.


2. 생애[편집]


제2차 여요전쟁 때 남행하던 현종을 호종했다. 정종 5년(1039) 도병마부사를 지내다 동로(東路) 정변진(靜邊鎭)에 성을 쌓을 것을 아뢨다.

문종 4년(1050)에는 동북로병마부사로서 전공을 세운 군인들에게 포상을 내릴지 여부를 조정에 아뢨다. 문종 3년(1049) 10월 여진족 해적들이 진명(鎭溟, 원산)에서 군선 2척을 나포해갔는데, 병마녹사 문양렬과 원흥도부서판관 송제한 두 군인이 해적의 본거지에 침입해 20여명의 목을 베어 돌아왔다. 박성걸은 문종의 명에 따라 둘에게 포상을 지급했다.

문종 7년(1053) 김정준과 함께 참지정사에 임명됐다. 문종 8년(1054)에는 왕훈의 왕태자 책봉례가 있었는데, 박성걸은 왕총지와 함께 문종이 보내는 책봉사로서 책봉례에 참여했다. 왕총지는 정사, 박성걸은 부사였고, 당시 박성걸은 사도 상서우복야 관직을 겸했다. 문종 9년(1055) 내사시랑평장사 상주국으로 승진했다. 이즈음 왕명을 받고 칠장사(漆長寺)로 떠나는 혜소국사를 전송했다.

문종 17년(1063) 검교태위 문하시중이 더해지고 임종일과 함께 은퇴했다. 사후 선종 원년(1084)에 현종을 호종한 점이 조명돼 삼한후벽상공신 양규 등의 녹권에 공신으로 함께 기록됐다.


3. 가족관계[편집]


  • 아들: 박양단
    • 손자: 박경온
      • 증손자: 박황

아들 박양단은 형부상서 중추원사를, 손자 박경온은 금오위장사를 지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0:06:10에 나무위키 박성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