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림(고려)

덤프버전 :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문하시중

[ 펼치기 · 접기 ]
고려 초기
(918~981)

광평시중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문벌귀족기
(981~1170)

문하시중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무신정권
(1170~1270)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원 간섭기
(1270~1356)

김방경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여말선초
(1356~1392)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김일봉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대한민국 국무총리




이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고려 문하시중
철성부원군 이림
鐵城府院君 李琳

이름
림(琳)
출생
생년 미상
사망
1391년(공양왕 3)
고려 양광도 국원경
(現 대한민국 충청북도 충주시)
봉호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
본관
고성 이씨
가족
아버지 이교(李嶠)
어머니 성주 이씨
배우자 남양 홍씨
3녀 근비 이씨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고려 말의 관리.


2. 생애[편집]


공민왕 때에 여러 관직을 거쳐서 밀직부사에 이르렀다. 1376년(우왕 2)에 왜구가 고려의 2개의 섬에 침입하자, 왜구를 격퇴하였고, 이듬해 4월 판개성부사로서 그의 딸인 근비 이씨우왕의 제1비로 책봉됨으로써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이림은 이인임의 고종사촌으로, 이림의 딸이 우왕과 혼인한 것은 당시 권력을 쥐고 있던 이인임의 의향이 반영된 것이다.

1389년(창왕 즉위년)에 조준, 이성계 등이 전제개혁을 주장하자 이를 반대하였다. 이듬해 7월 문하시중이 되었지만 이성계의 암살 미수 사건인 김저정득후의 옥사에 연루되었고, 창왕의 외할아버지라는 이유로 극형까지는 면하고 1390년(공양왕 2) 4월 철원에 유배되었다.

1390년 5월 윤이·이초의 옥사가 일어나자 이성계 일당의 모함으로 충주로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5월경 탄핵을 받아 충주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11:26:20에 나무위키 이림(고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