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버스 900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
시내>
이인, 계룡
탄천
>

계룡, 반포
대전
310

의당, 세종>
정안, 의당>

유구, 우성
사곡, 신풍
700~706

유구, 신풍
정산
청양


파일:공주900(1).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공주시 CI_White.svg 공주시 시내버스 900번
기점충청남도 공주시 산성동(공주시내버스터미널)종점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정산정류소)
종점행첫차06:40기점행첫차07:20
막차19:40막차20:20
운수사명공주교통배차간격1일 8회
노선공주시내버스터미널 - 옥룡동주민센터 - 공주종합버스터미널 - 공주생명과학고 - 상서리 - 우성 - 방흥리 - 용봉리 - 안심정류장(목면) - 지곡리 - 정산정류소

2. 개요[편집]


공주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

3. 역사[편집]


  • 본래 이 노선뿐만 아니라 정산정류소를 기점으로 하여 청양군 지역(정산면, 청남면, 장평면)을 운행하는 910번~960번도 있었다.[1] 그래서 이 지역의 시내버스 운행을 예전부터 공주교통에서 담당해 오고 있었다. 하지만 공주교통의 경영 악화에 따른 노선 구조조정으로 2014년 1월 1일에 폐선되었다. 공주교통의 노선 폐선에 따라 청양교통에서는 레스타를 투입하여 이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도모하기로 결정하였다.

  • 901번(터미널 - 상서 - 우성 - 공수원 - 안심 - 본의 - 신흥 - 대평 - 지곡 - 백곡 - 정산, 터미널 0620, 정산 1900, 공휴운휴)과 902번(터미널 - 상서 - 우성 - 공수원 - 모덕사 - 봉현 - 해남 - 송학 - 정산, 터미널 0630, 정산 1900)도 있었으나 폐선되었다.

  • 예전에는 900번 중 산성동에서 10시 10분과 15시 30분에 출발하는 차량은 평일 한정으로 신흥을 경유했다. (시기 미상)

  • 2019년 5월 1일 개편 때 1일 15회에서 1일 14회로 감회되어 첫/막차가 조정되었다.
    • 산성동 첫차: 06:20 → 06:40
    • 서정리 첫차: 변동없음(07:20)
    • 산성동 막차: 21:00 → 19:40
    • 서정리 막차: 21:50 → 20:20

  • 2021년 12월 1일 개편 때 1일 8회로 감회되었으며 시간표가 부분변동 되었다.

4. 특징[편집]


  • 공주시청양군을 잇는 몇 안 되는 노선이다. 다른 노선은 890/891번.

  • 공수원(공주시 우성면 용봉리와 청양군 목면 안심리에 걸쳐 있는 지역)을 기준으로 시계외요금이 부과 되었으나 2020년 7월 1일 부로 시계외요금이 폐지되어 기본요금만 내면 된다.

  • 시외버스 승차권으로 이 노선을 탑승을 시도하려는 사람들이 많은 것인지 차내에 시외버스 승차권으로는 탑승이 안된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4.1. 시간표[편집]


주말감차나 별 다른 지선운행 없이 딱 이렇게만 운행한다. 막차 시간을 제외하면 배차간격이 상당히 일정한 편.

공주 버스 900번 운행시간표
2021년 12월 1일 기준 / 출처
횟수산성동정산정류소
106:4007:20
208:3009:30
310:4012:00
412:3013:30
515:0016:00
617:0018:00
718:2019:20
819:4020:20

5. 연계 철도역[편집]


없음.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14:12:04에 나무위키 공주 버스 90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래 정산면, 청남면, 장평면 지역은 청양군 관내이므로 청양군 농어촌버스를 운행해야 했지만, 청양교통의 재정 상태가 열악하여 운행이 쉽지 않았다. 게다가 이 세 면 지역은 칠갑산에 막혀서 청양읍과의 왕래가 원래 불편하거나 애매한 지역이기도 하다. 현재도 청양읍으로 나가는 버스편보다 정산면 또는 부여군으로 나가는 버스편이 더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