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제스틱급 항공모함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항공모함의 계보 파일:영국 해군기.svg
[ 펼치기 · 접기 ]

정규항공모함
최초 평갑판 항공모함

아거스급 항공모함

 
최초 항모 설계

허미즈급 항공모함

 
전함 → 항공모함
아일랜드형 함교 도입

이글급 항공모함

 
순양함 → 항공모함

커레이저스급 항공모함

 
갑판 일체화 설계

아크로열급 항공모함

 

 

 
경사 비행갑판
증기식 캐터펄트 도입

오데이셔스급 항공모함

 
1943년 계획, 취소

몰타급 항공모함

 
1963년 계획, 취소

CVA-01급 항공모함

 
호위항공모함 경항공모함
호위항공모함
노획상선 개조

오더시티

 

 

 

 

 

 
승계함정 없음

룰러급 항공모함
경항공모함
기타
유니콘급 항공모함 · 빈딕티브 · 아크로열급 수상기모함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해군 해상 병기의 계보 틀 : 항공모함 | 원자력 잠수함




1. 개요
2. 제원
3. 동형함 목록
4. 수출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영국 해군항공모함. 건조 당시 영국에겐 본래라면 콜로서스급 항공모함이 되었어야 할 함체 6개가 남아있었다. 이러한 함체에 더 빠르고 무거운 항공기를 운용하기 위한 설비를 추가하고 갑판을 보강한 것이 마제스틱급 항공모함이다.

2차 대전이 끝나기 전에 5척이 완공되었고 종전 이후 1척이 추가로 취역한다.


2. 제원[편집]


마제스틱급 항공모함
Majestic class Aircraft carrier
기준배수량15,750톤
만재배수량19,500톤
길이 (비행갑판)210m
길이 (선체)212m
전폭24m
흘수선5.94m
장갑주장갑 4인치
주 갑판 4인치
격벽 2 ~ 4인치
추진방식2축 프로펠러
기관 출력보일러 4기, 40,000 shp
속도25노트
항속거리14노트 순항 시 12,000해리
승무원1,050명
무장2파운드 4연장포 6기, 20mm 2연장 오리콘 기관포 16기[1]
보포스 40mm 기관포 30문[2]
탑재 함재기52대 이상

3. 동형함 목록[편집]


영국 왕립해군
함명기공일진수일취역일상태
1HMS 마제스틱 (Majestic)1943년 4월 15일1945년 2월 28일1955년 10월 28일1985년 중국에서 스크랩 처분
2HMS 테러블 (Terrible)1943년 4월 19일1944년 9월 30일1948년 12월 16일1975년 대한민국에서 스크랩 처분
3HMS 매그니피센트 (Magnificent)1943년 7월 29일1944년 11월 16일1948년 3월 21일1965년 스코틀랜드에서 스크랩 처분
4HMS 허큘리스 (Hercules)1943년 10월 14일1945년 9월 22일1961년 4월 4일2014-2015년 인도에서 스크랩 처분
5HMS 레비아탄 (Leviathan)1943년 10월 18일1945년 6월 7일-완공 전 1968년 스크랩 처분
6HMS 파워풀 (Powerful)1943년 11월 27일1945년 2월 27일1957년 1월 17일1971년 대만에서 스크랩 처분


4. 수출[편집]



4.1. 호주[편집]


호주 해군에 총 2척이 매각되었다. 2번함이었던 테러블이 1947년 매각되어 1948년에 시드니라는 함명으로 호주의 첫 항공모함이 되었다. 이후 1번함 마제스틱도 도입하여 맬버른이라는 함명으로 운용하였다.[3] 현재는 2척 모두 퇴역했으며, 1번함인 시드니는 1970년대에 대한민국에 고철(스크랩)로 매각되었고, 2번함인 맬버른은 중국에 고철로 매각되었다.[4]

4.2. 캐나다[편집]


캐나다 해군에 총 2척이 매각되었다. 3번함 매그니피센트와 6번함 파워풀을 도입하여 운용하였다. 현재는 2척 모두 퇴역.


4.3. 인도[편집]


인도 해군이 4번함 허큘리스를 도입하여 비크란트급이라고 명명하고 운용하였다. 현재는 퇴역 후 동명의 후계 항공모함 건조 중.


5. 둘러보기[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현대의 캐나다 해군 군함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오베론급R, 빅토리아급
경비정오르카급
초계함플라워급R, 캐슬급R, 킹스턴급, 해리 드울프급
호위함리버급R, 알골킨급R, 로크 아크나쉰급R, 핼리팩스급, {CSC}
구축함A급R, C급R, D급R, E급R, F급R, G급R, H급R, V급R, 윅스급R, 클렘슨급R, 타운급R, 트라이벌급R, 생 로랑급R, 레스티구치급R, 매켄지급R, 아나폴리스급R, 이로쿼이급R
순양함온타리오급R, 우간다급R, 프린스급R
항공모함매그니피센트R, 보나벤처R
소해함레이크급R, 뱅거급R, 알제린급R, 펀디급R, 르웰린급R
군수지원함프로텍터급초대R, 아스테릭스급, {프로텍터급2대}
※ 윗첨자R : 퇴역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파일:호주 국기.svg 현대의 호주 왕립해군 함선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재래식옥슬리급R, 콜린스급, 어택급
SSN{버지니아급}, {SSN-AUKUS}
경비함/정ABF오셔닉 바이킹ABF/R, 오션 프로텍터ABF, 오션 쉴드ABF, 리버급ABF, 케이프급ABF
초계정어택급R, 프리맨틀급R, 아미데일급
초계함{아라푸라급}
호위함호위함리버급M/R, 리버급(추가 개조형)M/R 쿼드런트급R
방공호위함애들레이드급R, 앤잭급, {헌터급}
구축함구축함앤잭급R, 보이저급M/R
방공구축함퍼스급M/R, 호바트급
상륙정LCVP, LCH 발릭파판급, LCM-8, {LCM-1E}
상륙함LHD캔버라급
LPD출스
LSH토브룩R
LST카님블라급M/R
소해함컬류급R, 러쉬커터급R, 휴온급
군수지원함석세스R, 시리우스급
정보수집/연구함리윈급, 팔루마급
경항공모함벤전스L/R, 시드니급M/R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었거나, 취소된 함선
※ 윗첨자L: 리스한 함선
※ 윗첨자ABF: 오스트레일리아 국경 경비대(Australian Border Force) 소속 함선




⚓️ 해상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1] 이후 모든 대공화기기 40mm 보포스 기관포로 대체됨.[2] 2연장포 6+단장포 18[3] 즉 영국 해군 시절 2번함이었던 함선이 호주 해군의 1번함으로, 영국군 시절 1번함이었던 함선은 호주 해군의 2번함이 된 것이다. 가끔씩 관련 글을 읽다가 헷갈릴 수도 있으니 유의하자.[4] 이후 두 국가 모두 함선을 자국 내에서 스크랩하면서 기초적인 항공모함 설계를 터득했다고도 전해지는데, 이는 길게 보면 한국과 중국의 항공모함 기술의 기반이 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문서의 r3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문서의 r3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3:28:54에 나무위키 마제스틱급 항공모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