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현국

덤프버전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육군 >>{{{#!wiki style="margin: -3px 0px;"
육군3사관학교장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2.gif ||
||<width=20%> 초대
정봉욱 ||<width=20%> 2대
이근양 ||<width=20%> 3대
육장균 ||<width=20%> 4대
황영시 ||<width=20%> 5대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3.gif
김영선 ||
|| 6대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3.gif
정형택 || 7대
전제현 || 8대
정순현 || 9대
권병식 || 10대
김진영 ||
|| 11대
이정린 || 12대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3.gif
김정헌 || 13대
김택수 || 14대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3.gif
표순배 || 15대
오형근 ||
|| 16대
손수태 || 17대
강종필 || 18대
이종간 || 19대
김충배 || 20대
송영근 ||
|| 21대
박장규 || 22대
박종달 || 23대
김주원 || 24대
김일생 || 25대
김윤석 ||
|| 26대
손무현 || 27대
김현기 || 28대
김길영 || 29대
원홍규 || 30대
금용백 ||
|| 31대
서정열 || 32대
황대일 || 33대
장달수 || 34대
여운태 || 35대
장광선 ||
|| ||
||<-5><bgcolor=#1c63b7> ※ 초대~현임 : 소장 (5대, 6대, 12대, 14대 : 중장) ||
||<-5><bgcolor=#1c63b7>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대한민국 제38대 육군3사관학교장
배현국
Bae Hyunkook
파일:배교장.jpg
복무대한민국 육군
1988년 ~ 2023년
임관육군3사관학교 (25기)
최종 계급소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육군3사관학교장
주요 보직제1군단 부군단장
제55보병사단
제6포병여단
제3야전군사령부 통합화력운용과장
한미연합군사령부 화력계획과장
육군본부 화력전력기획과장
제5군단 화력참모
제5포병여단 제5포병단
제5포병여단 작전참모
제26기계화보병사단 제231포병대대장

1. 개요
2. 학력
3. 주요 직위
4.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의 현역 장성. 현재 계급은 소장, 육군3사관학교장을 역임했다. 병과는 포병이다.


2. 학력[편집]




3. 주요 직위[편집]


  • 중령
    • 제26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31포병대대장
    • 제5포병여단 작전참모[1]
    •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 종심작전계획담당장교
  • 대령
  • 준장 2018년 11월 3차 진급
    • 제6포병여단(2018.11 ~ 2020.05)[2]
  • 소장 2020년 5월 4차 진급
    • 제55보병사단(2020.05 ~ 2022.12)[3]
    • 제1군단 부군단장 (2022.12 ~ 2023.04)[4]
    • 육군3사관학교장 (2023.04 ~ 2023.11)[5]
  • 전역 2023년 11월


4. 여담[편집]


  • 3사 25기 동기로 장광선 예) 중장이 있다.
  • 3사 출신 중에서는 합동참모본부, 육군본부, 한미연합군사령부, 제3야전군사령부를 비롯하여 자력이 뛰어난 축에 속하지만, 55사단장 시절 휘하 장병들에게 부조리를 자행하였다[6].
  • 이러한 업보로 동기 장광선 장군, 1기수 후배 고창준 장군과의 진급 경쟁에서 탈락하였다. 고창준 장군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2023년 10월 대장 진급까지 성공하여 제2작전사령관이 됨으로써 3사 최초의 전 계급 1차 진급자라는 타이틀까지 달았다.
  • 애초 윤석열 정부의 방침부터가 공직과 민간기업을 막론하고 진급 속도가 너무 느린 고위 보직자들을 정리하는 것이다. 배 장군 본인은 소장 4차 진급을 포함하여 진급 속도가 너무 느렸기 때문에 후배 장군들과의 진급 경쟁에서도 유리하지 않은 상황이었으며, 국방부의 방침 또한 진급 경쟁에서 너무 많이 탈락한 장군들을 사회로 내보내는 것이므로 중장으로 진급할 기회 자체가 없었다.
  • 결국 2023년 11월 이용환 장군에게 3사 교장직을 물려주고 전역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6:44:24에 나무위키 배현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후임자 방성대[2] 전임자 방성대, 후임자 이문석[3] 전임자 김재석, 후임자 김진익[4] 전임자 유기종, 후임자 김권[5] 전임자 방성대, 후임자 이용환[6] 부사관에 대한 괴롭힘, 전문하사의 초과근무수당 강제 회수, 당직비 미지급이 일상이었다는 용사와 간부들의 증언이 있다. 특히 직장 내 괴롭힘은 사회에서는 능력에 관계없이 징계해고의 대상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