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신소년/저승거래소 영혼/코어 (r1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사신소년/저승거래소 영혼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코어(사신소년)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등장 목록
2.2. 웨이 리오[A]
2.22. 파우사니아스[1]
2.23. 이소협[A]
2.27. 오오가미 마유[A]
2.40. 조프루아 5세[2]
2.41. 모모치 이즈모노카미[A]
2.47. 정체 미상의 코어들
2.47.1. (미상1)
2.47.2. (미상2)
2.47.3. (미상3)
2.47.4. (미상4)
2.47.5. (미상5)
2.47.6. (미상6)
3. 회수한 코어
3.1. 이신이 회수한 코어
3.1.2. (정체 미상)
3.2. 이경호가 회수한 코어
3.2.1. 파우사니아스[3]
4. 여담


1. 개요[편집]


웹툰 《사신소년》의 저승거래소에 등재된 영혼들코어의 형태로 사용된 영혼들의 목록을 정리한 문서.


2. 등장 목록[편집]



2.1. 시라소니[편집]


'''{{{#ffffff {{{+2 조선 최고의 싸움꾼
시라소니
1916~1983}}}}}}'''
파일:시라소니 코어.jpg
사용자??? → 이신벨처[4]
코어 집중[미사용]

10년 전, 이신이 뱀에게서 회수하고 사용했던 코어이다.[5]


2.2. 웨이 리오[A][편집]


'''{{{#ffffff {{{+2 비운의 천재 무술가
웨이 리오
1524~1538}}}}}}'''
파일:사소 웨이 리오.jpg
사용자하진
코어 집중동체기록 및 강화[6]


2.3. 김두한[편집]


'''{{{#ffffff {{{+2 조선 최고의 주먹
김두한
1918~1972}}}}}}'''
파일:사소 김두한.jpg
사용자산호
코어 집중한점 지르기


2.4. 허저[편집]


'''{{{#ffffff {{{+2 무위장군
허저
???~???}}}}}}'''
파일:허저 코어.jpg
사용자자라리카
코어 집중호교우참


2.5. 조자룡(조운)[편집]


'''{{{#ffffff {{{+2 진군장군
조자룡
???~229}}}}}}'''
파일:사소 조자룡.jpg
사용자백예린
코어 속성혈류가속계
코어 집중{{{#000000 상산용격
와룡격
1형- 벽쇄룡
2형(반격형)- 반교룡
0형- 용아승천섬

5형- 용아일천}}}


2.6. 하산 에 사바흐[편집]


'''{{{#ffffff {{{+2 페르시아 아사신 초대 수장
하산 에 사바흐
1050~1124}}}}}}'''
파일:사소 하산 에 사바흐.jpg
사용자스노클
코어 집중사 볼리덴 (참수)


2.7. 미야모토 무사시[편집]


'''{{{#ffffff {{{+2 이도류의 달인
미야모토 무사시
1582~1645}}}}}}'''
파일:미야모토 무사시 코어.png
사용자화사
코어 집중[미사용]


2.8. 사사키 코지로[편집]


'''{{{#ffffff {{{+2 장도의 달인
사사키 코지로
1585~1612}}}}}}'''
파일:사사키 코지로 코어.png
사용자반시
코어 속성불명
코어 집중츠바메가에시

최초로 유산[7]을 사용한 코어이다.


2.9. 오키타 소지[편집]


'''{{{#ffffff {{{+2 신센구미 일번대 대장
오키타 소지
1842~1868}}}}}}'''
파일:무타 코어.jpg
사용자무타
코어 집중천연이심류 - 일연참


2.10. 이서문[편집]


'''{{{#ffffff {{{+2 팔극권 달인
이서문
1862~1934}}}}}}'''
파일:사소 이서문.jpg
사용자사마르
코어 집중팔극권 - 삼점발

코어 지배를 최초로 사용하였다.


2.11. 김유신[편집]


'''{{{#ffffff {{{+2 신라 명장
김유신
595~673}}}}}}'''
파일:카펫 코어.jpg
사용자카펫
코어 집중진천호참


2.12. 시시도 바이켄[편집]


'''{{{#ffffff {{{+2 사슬낫의 달인
시시도 바이켄
???~???[8]}}}}}}'''
파일:시시도 바이켄.jpg
사용자퍼프애더
코어 집중요참선


2.13. 전위[편집]


'''{{{#ffffff {{{+2 교위장군, 악래
전위
???~197}}}}}}'''
파일:전위 코어.jpg
사용자수마트라
코어 집중[B]

여기서는 쌍철극이 아닌 철퇴를 사용한다.


2.14. 칸니쿠스[편집]


'''{{{#ffffff {{{+2 역란의 검투사
칸니쿠스
???~???[9]}}}}}}'''
파일:사신소년칸니쿠스.jpg
사용자러셀
코어 집중[B]


2.15. 장비[편집]


'''{{{#ffffff {{{+2 만인지적
장비
165~221}}}}}}'''
파일:사소 장비.jpg
사용자칠점사
코어 속성불명
권능[B]
코어 집중청난참
청사척침
청사독수
일만독사

최초로 완전 코어 개방으로 사용되며 등장한 코어이다.


2.16. 악비[편집]


'''{{{#ffffff {{{+2 악충무왕
악비
1103~1141}}}}}}'''
파일:사소 악비.jpg
사용자블랙맘바
코어 속성근육강화계
권능태위패천왕
(太威霸天王)
코어 집중무왕천격(武王天擊) -
도깨비 그림자[권능]


2.17. 사이토 하지메[편집]


'''{{{#ffffff {{{+2 신센구미 3번대 조장
사이토 하지메
1844~1915}}}}}}'''
파일:사소 사이토 하지메.jpg
사용자버미즈
코어 집중[B]


2.18. 아서 팬 드래곤[편집]


'''{{{#ffffff {{{+2 아서왕
아서 팬 드래곤
???~???}}}}}}'''
파일:사신소년 아서.jpg
사용자유우진
코어 속성불명
권능[미사용]
코어 집중클라렌스
(Clarence)

영혼과 코어를 통틀어서 사신소년 최초로 등장한 역사 속 위인이 아닌 전설 속의 인물이다.[10]


2.19. 하라다 사노스케[편집]


'''{{{#ffffff {{{+2 신센구미 10번대 조장
하라다 사노스케
1840~1868}}}}}}'''
파일:사소 하라다 사노스케.jpg
사용자코모도
코어 집중타네다류 창술 - 교룡참(嘄龍 斬)


2.20. 척준경[편집]


'''{{{#ffffff {{{+2 검성
척준경
???~1144}}}}}}'''
파일:애더코어.jpg
사용자데스애더이경호
코어 속성근육강화계
코어 집중철전격


2.21. 장삼봉[편집]


'''{{{#ffffff {{{+2 태극권 창시자
(무당파 개파조사)
장삼봉
1247~???}}}}}}'''
파일:장삼봉 코어.jpg
사용자이원용
코어 속성신경조작계
권능오행검진
(五行劍陣)
코어 집중태극요지유검
(太極繞指柔劍)
태극혜검[권능]
구혼탈백검[권능]
(勾魂奪魄劍)


2.22. 파우사니아스[11][편집]


'''{{{#ffffff {{{+2 고대 스파르타 장군
파우사니아스
???~???}}}}}}'''
파일:파우사니아스 코어.jpg
사용자모틀리이경호
코어 속성근육강화계
코어 집중아기스의 현[12]
(Xορδές του Άγη)

이경호가 사신의 낫을 얻은 후 최초로 회수한 코어가 되었다.


2.23. 이소협[A][편집]


'''{{{#ffffff {{{+2 천무도 창시자
이소협
1758~1844}}}}}}'''
파일:코어 이소협.jpg
사용자최범
코어 집중[미사용]


2.24. 칼라운[편집]


'''{{{#ffffff {{{+2 맘루크 왕조의 7대 술탄
칼라운
1222~1290}}}}}}'''
파일:칼라운 코어.jpg
사용자링넥
코어 속성혈류가속계
코어 집중[미사용]


2.25. 바솔로뮤 로버츠[편집]


'''{{{#ffffff {{{+2 웨일즈 블랙바트
바솔로뮤 로버츠
1682~1722}}}}}}'''
파일:바솔로뮤 로버츠 1.jpg
사용자케냐
코어 속성혈류가속계
코어 집중[미사용]

대규모 난전과 과격한 근접전 위주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실제 해상 커틀러스 검술보다는 거리를 두고 치고 빠지는 식의 현대 세이버 검술에 가까운 전투를 보여준다.


2.26. 얀 지슈카[편집]


'''{{{#ffffff {{{+2 후스전쟁의 영웅
얀 지슈카
1360~1424}}}}}}'''
파일:얀 지슈카 코어(수정).jpg
사용자카이만
코어 속성신경조작계
코어 집중[미사용]


2.27. 오오가미 마유[A][편집]


'''{{{#ffffff {{{+2 이가류 닌술의 후계자
오오가미 마유
1582~1615}}}}}}'''
파일:오오가미마유 코어.jpg
사용자미첼리
코어 속성혈류가속계
코어 집중[B]


2.28. 한신[편집]


'''{{{#ffffff {{{+2 전한의 장군
국사무쌍
한신
???~BC 196}}}}}}'''
파일:한신 코어.jpg
사용자차수혁
코어 속성신경조작계
코어 집중초왕 연환격

해당 장면에 기원전 196년 사망한 한신의 생몰년도가 기원전 106년으로 표기되어있는 오류가 있다.[13]


2.29. 테오게네스[편집]


'''{{{#ffffff {{{+2 판크라티온 고대 레슬러
테오게네스
???~???}}}}}}'''
파일:테오게네스 코어.jpg
사용자???[C]이경호
코어 속성근육강화계
코어 집중[B]


2.30. 카와카미 겐사이[편집]


'''{{{#ffffff {{{+2 막부말 4대 무사
존왕파의 암살자
카와카미 겐사이
1834~1872}}}}}}'''
파일:코어 겐사이.jpg
사용자???[C]
코어 집중[B]


2.31. 감녕[편집]


'''{{{#ffffff {{{+2 절충장군
감녕
???~215}}}}}}'''
파일:코어 감녕.jpg
사용자리녹이경호
코어 속성신경조작계
코어 집중절충절편

사슬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진삼국무쌍 시리즈의 설정을 차용한듯하다.


2.32. 로버트 브루스[편집]


'''{{{#ffffff {{{+2 스코틀랜드 독립전쟁 영웅
로버트 브루스
1274~1329}}}}}}'''
파일:코어 로버트 브루스.jpg
사용자???[C]
코어 집중[B]


2.33. 최영[편집]


'''{{{#ffffff {{{+2 백색의 명장
최영
1316~1388}}}}}}'''
파일:0313 최영.jpg
사용자고유한
코어 속성혈류가속계
권능백화연무
백색의 폭풍
코어 집중삭풍 가르기
역풍의 바람
고유한류 검술[권능]
태풍의 춤[권능]

흔히 최영이라고 하면 떠올리는 노익장의 이미지와는 달리 비교적 젊은 모습으로 등장했다.

특이하게도 사용자인 고유한은 최영 코어의 특징과 맞지 않는 이도류를 사용한다. 이는 사용자인 고유한이 방위조장을 카운터치기 위해 더 많은 횟수의 공격을 할 수 있는 이도류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2.34. 츠카하라 보쿠덴[편집]


'''{{{#ffffff {{{+2 가시마신토류 창시자
(검성)
츠카하라 보쿠덴
1489~1571}}}}}}'''
파일:0314 츠카하라 보쿠덴.jpg
사용자야마카가시
코어 속성신경조작계
권능가시마신토류[14]
(鹿島新當流)
코어 집중칼날의 비[권능]
(刀锋之雨)


2.35. 테미스토클레스[편집]


'''{{{#ffffff {{{+2 아테네의 전설
테미스토클레스
BC 524~BC 459}}}}}}'''
파일:코어집중 테미스토클레스.jpg
사용자석형
코어 속성혈류가속계
코어 집중아르테미시온의 폭풍
(Θύελλα Αρτεμισίωνα)


2.36. 야마모토 간스케[편집]


'''{{{#ffffff {{{+2 독안의 사무라이
야마모토 간스케
1493~1561}}}}}}'''
파일:0321 야마모토 간스케.jpg
사용자겐타
코어 속성불명[15]
코어 집중독 안개 베기
(毒霧斬り)


2.37. 다케다 신겐[편집]


'''{{{#ffffff {{{+2 카이의 호랑이
(甲斐の虎)
다케다 신겐
1521~1573}}}}}}'''
파일:0329 다케다신겐.jpg
사용자서시혁
코어 속성불명
권능[미사용]
코어 집중반화섬[16]


2.38. 암바가이 칸[편집]


'''{{{#ffffff {{{+2 카마그 몽골의 2대 칸
암바가이 칸
1091~1156}}}}}}'''
파일:0331 암바가이 칸.jpg
사용자능사
코어 속성신경조작계
권능부이르호 살인늪
(Буйр нуурын аллагын намаг)
코어 집중혈무의 못[권능]


2.39. 시마 사콘[편집]


'''{{{#ffffff {{{+2 일본 전국시대 무장
시마 사콘
1540~1600[17]}}}}}}'''
파일:0333 시마 사콘.jpg
사용자오지호
코어 속성불명
코어 집중마른 우뢰
(乾いた雨雷)


2.40. 조프루아 5세[18][편집]


'''{{{#ffffff {{{+2 플랜태저넷 왕가의 시조
조프루아 5세
1113~1151}}}}}}'''
파일:0335 조프루아 5세..jpg
사용자에마토스
코어 속성근육강화계
권능절대 성벽 앙주백작 보호령
코어 집중금작화 만개[권능]
금낙화[권능]


2.41. 모모치 이즈모노카미[A][편집]


'''{{{#ffffff {{{+2 카마쿠라 시대 전설의 닌자
모모치 이즈모노카미
???~???}}}}}}'''
파일:0343 모모치 이즈모노카미.jpg
사용자고유라
코어 속성혈류가속계
권능야타노카가미
(八咫鏡)
코어 집중츠나미키리[권능]
(津波斬り)

모치즈키 이즈모노카미모모치 산다유를 합쳐 만든 이름으로 보인다.[19]


2.42. 자크 드 몰레이[편집]


'''{{{#ffffff {{{+2 성전 기사단의 마지막 단장
자크 드 몰레이
1250~1314}}}}}}'''
파일:0354 자크 드 몰레이.jpg
사용자아놀리드
코어 속성근육강화계
권능[B]
코어 집중성전의 침묵[권능]
(silence dans le temple)


2.43. 티몰레온[편집]


'''{{{#ffffff {{{+2 시라쿠사의 참주
티몰레온
BC 411~BC 337}}}}}}'''
사용자???[C]
코어 속성불명
코어 집중[B]


2.44. 롤랑[편집]


'''{{{#ffffff {{{+2 명검 듀렌달의 주인
롤랑
???~???}}}}}}'''
사용자오르가누스
코어 속성근육강화계
권능페라구스 거석상
(Peragus Megalithic Statua)
샤를마뉴의 12기사
(Twelve Paladins of Charlemagne)
코어 집중광란의 오를란도
(Orlandus Furor)
오를란도의 검[권능]
(Orlandi Gladius)
페라구스의 기개[권능]
(Ferragus 'spiritus)


2.45. 하랄드 하르드라다[편집]


'''{{{#ffffff {{{+2 최후의 바이킹 군주
하랄드 하르드라다
1015~1066}}}}}}'''
사용자방위조장
코어 속성근육강화계
권능심해의 군주
(Lord of the Deep Sea)
피의 단두대
코어 집중군주의 강타[권능]
식탐의 단두대[권능]
군주의 손아귀[권능]
낙원 파쇄[권능]


2.46. 부주르구미드[편집]


'''{{{#ffffff {{{+2 페르시아 아사신의 제 2대 수장
부주르구미드
???~1138}}}}}}'''
사용자레베티나
코어 속성신경조작계
권능[미사용]
코어 집중[B]


2.47. 정체 미상의 코어들[편집]


실루엣만 등장하고 정체가 밝혀지지 않은 코어들의 목록이다.


2.47.1. (미상1)[편집]


'''{{{#ffffff {{{+2
???
???~???}}}}}}'''
파일:0154 영혼.jpg
사용자???
코어 집중[미사용]


2.47.2. (미상2)[편집]


'''{{{#ffffff {{{+2
???
???~???}}}}}}'''
파일:0196 영혼.jpg
사용자???
코어 집중[B]


2.47.3. (미상3)[편집]


'''{{{#ffffff {{{+2
???
???~???}}}}}}'''
파일:0212 영혼.jpg
사용자누비아
코어 집중[미사용]


2.47.4. (미상4)[편집]


'''{{{#ffffff {{{+2
???
???~???}}}}}}'''
파일:1000007386.jpg
사용자호그노즈
코어 집중[미사용]


2.47.5. (미상5)[편집]


'''{{{#ffffff {{{+2
???
???~???}}}}}}'''
파일:0237 영혼.jpg
사용자하정원
코어 집중[미사용]


2.47.6. (미상6)[편집]


'''{{{#ffffff {{{+2
???
???~???}}}}}}'''
파일:0238 영혼.jpg
사용자곽진우
코어 집중[미사용]


3. 회수한 코어[편집]



3.1. 이신이 회수한 코어[편집]


작중 사용한 코어는 시라소니와 정체미상의 검사. 물론 제대로 등장한게 이것뿐인거지 실제로 회수한 코어는 훨씬 많을것이다.


3.1.1. 시라소니[편집]


'''{{{#ffffff {{{+2 조선 최고의 싸움꾼
시라소니
1916~1983}}}}}}'''
파일:이신시라소니.jpg
사용자??? → 이신벨처[20]
코어 집중[미사용]

이신의 사망 이후 시라소니의 코어가 저승거래소로 다시 환수되었고, 추후 이를 벨처가 얻게된 것으로 보인다.


3.1.2. (정체 미상)[편집]


'''{{{#ffffff {{{+2
???
???~???}}}}}}'''
파일:미상 코어.jpg
사용자??? → 이신
코어 집중[B]


3.2. 이경호가 회수한 코어[편집]



3.2.1. 파우사니아스[21][편집]


'''{{{#ffffff {{{+2 고대 스파르타 장군
파우사니아스
???~???}}}}}}'''
파일:사소 파우사니아스 회수.jpg
사용자모틀리이경호
코어 속성근육강화계
코어 집중아기스의 현
(Xορδές του Άγη)

이경호가 최초로 회수한 코어이다.


3.2.2. 척준경[편집]


'''{{{#ffffff {{{+2 검성
척준경
???~1144}}}}}}'''
파일:코어집중 척준경.jpg
사용자데스애더이경호
코어 속성근육강화계
코어 집중곡산 철전격


3.2.3. 감녕[편집]


'''{{{#ffffff {{{+2 절충장군
감녕
???~215}}}}}}'''
파일:코어집중 난섬무.jpg
사용자리녹이경호
코어 속성신경조작계
코어 집중난섬무

이경호가 최초로 얻은 신경조작계 코어이다.


3.2.4. 테오게네스[편집]


'''{{{#ffffff {{{+2 판크라티온 고대 레슬러
테오게네스
???~???}}}}}}'''
파일:0322 테오게네스.jpg
사용자???[C]이경호
코어 속성근육강화계
코어 집중[미사용]


3.2.5. 마흐무드[편집]


'''{{{#ffffff {{{+2 가즈나비 왕조의 술탄
마흐무드
972~1030}}}}}}'''
파일:0324 마흐무드.jpg
사용자??? → 이경호
코어 속성혈류가속계
코어 집중[미사용]

이경호가 최초로 얻은 혈류가속계 코어이다. 이로서 이경호는 세 가지 속성에 해당하는 코어들을 전부 가지게 되었다.

이전까지 등장하지 않았던 코어이기에 크루즈에 난입한 수많은 뱀들 중 한 명의 코어일 것으로 추정된다.


3.2.6. 괴유[편집]


'''{{{#ffffff {{{+2 부여왕의 참수자
괴유
???~22}}}}}}'''
파일:0348 괴유.jpg
사용자??? → 이경호
코어 속성근육강화계
코어 집중[미사용]

마흐무드와 마찬가지로 크루즈의 뱀들 중 하나의 코어였던 것으로 보인다.


4. 여담[편집]


  • 코어 사용자가 사망하면 해당 코어가 저승거래소로 환수되는 듯하다.

  • 권능이 역사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기술이라는 점을 통해 각 권능들의 모티브가 된 역사들을 조사해 정리해놓은 글이 있다.[22]

[A] A B C D E F G H 작가가 만든 가공의 인물로 보인다.[1] 파우사니아스[2] 조프루아 5세[3] 파우사니아스[4] 다만 이신과 벨처 사이 누군가 사용자가 더 있을 수도 있다.[미사용]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5] 이후 이신이 사망하며 저승거래소로 환수되었고, 몇년 후 벨처가 이를 습득한듯.[6] 하진은 현재 동체기록만 가능하고 이경호에 의해 강화 능력까지 있단 것이 확인됐지만 강화 능력을 정작 본인은 사용하지 못한다. 그도 그럴 것이, 하진은 코어를 각성한 시점이 첫 등장 시점으로부터 2개월 전인 뉴비이기 때문이다. 영혼동기화와 완전코어개방이 거의 같은 개념인 걸 고려해 볼 때, 이경호가 동기화 상태에서 강화 능력을 사용했으므로 하진도 완전코어개방 시 강화된 능력을 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7] 모노호시자오[8] 센고쿠 시대의 인물임은 확실하니 1467년 ~ 1573년 사이는 확실하다.[B] A B C D E F G H I J K L M 기술명이 나오지 않았다.[9] 스파르타쿠스와 함께 싸웠다는 언급이 있으니 기원전 100년대 즈음의 인물로 추정.[권능]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권능을 동반하여 쓰는 기술이다.[10] 작가가 임의로 만든 가공의 인물이나 실존 인물에 창작물의 요소가 일부 가미된 인물들은 있었지만 순수 외부 창작물의 캐릭터로는 최초이다.[11] 파우사니아스[12] 모틀리 본인이 썼을 때는 기술명이 나오지 않았고 이경호가 회수한 뒤 밝혀졌다.[13] 아마 숫자 9가 옆에 있는 0으로 오타가 난듯하다. 보통 작화 오류 등이 발견되면 늦어도 해당 회차가 무료로 풀릴때까지는 수정이 되는 편이었는데 이 경우는 아직까지도 그대로이다.[C] A B C D E 코드네임 불명[14] 츠카하라 보쿠덴과 관련된 이야기들 중 호랑이와 관련된 것을 전혀 찾을 수 없어서 이게 권능이 맞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좀 갈리는 편이다. 이후 한 추측글에 의하면 호랑이가 아닌 표범으로 보이며, 권능일 가능성이 높다.#.[15] 은서하에게 코어집중을 썼을 때 이펙트 색이 상당히 애매하다. 강화계나 신경계 중 하나이다.[16] 시전하려다 기습 공격을 받아 사용을 중지했다.[17] 사실 시마 사콘의 생몰년도는 확실히 기록으로 남은 것이 없어서 여기 적힌 것은 대충 이때쯤에 태어나서 이때쯤에 죽었겠다고 추정되는 연도이다.[18] 조프루아 5세[19] 앞의 두 인물은 모두 일본 전국시대 닌자이며 여기 나온 인물은 가마쿠라 시대 인물이라는 설정이다.[20] 다만 이신과 벨처 사이 누군가 사용자가 더 있을 수도 있다.[21] 파우사니아스[22] #1#2#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코어(사신소년) 문서의 r5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코어(사신소년) 문서의 r5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7:47:45에 나무위키 사신소년/저승거래소 영혼/코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