샐러맨그레이트 (r3판)

편집일시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ㄱ]
파일:가가가매지션.jpg
가가가]]
[[가디언(유희왕)|>

파일:가디언 에아토스.jpg
가디언]]

[[가스타|

파일:가스타의 윈다.jpg
가스타]]

[[가제트(유희왕)|

파일:기동요새 스트롱홀드.jpg
가제트]]

[[강귀|

파일:강귀 더 파워로드 오우거.jpg
강귀]]

[[개구리(유희왕)|

파일:도깨비 개구리.png
개구리]]

[[갤럭시(유희왕)|

파일:갤아포.png
갤럭시]]

[[거대전함|

파일:거대전함 블래스트캐논 코어.png
거대전함]]

[[검투수|

파일:검투수 테이머 에디토르.jpg
검투수]]

[[게이트 가디언(유희왕/카드군)|

파일:게이트 가디언즈.png
게이트 가디언]]

[[고고고|

파일:고고고골렘.jpg
고고고]]

[[고블린(유희왕)|

파일:GoblinAttackForce-TF04-JP-VG.jpg
고블린]]

[[고블린라이더|

파일:고블린라이더 임시.jpg
고블린라이더]]

[[고스트릭|

파일:고스트릭타천사.jpg
고스트릭]]

[[고요우|

파일:고요우 가디언.jpg
고요우]]

[[고티스|

파일:Ghoti of the Deep Beyond.png
고티스]]

[[공아단|

파일:공아단의 대의 폴고.jpg
공아단]]

[[군관(유희왕)|

파일:초노급군관.png
군관]]

[[그레이돌|

파일:그레이돌 슬라임.png
그레이돌]]

[[그림자 여섯 무사|

파일:그림자 여섯 무사 후우마.jpg
그림자 여섯 무사]]

[[극성(유희왕)|

파일:극성천 굴베이그.png
극성]]

[[금지된|

파일:금지된 일적.jpg
금지된]]

[[기괴(유희왕)|

파일:세탁기괴 런드리드래곤.png
기괴]]

[[기교(유희왕)|

파일:기교사 오로치트론.jpg
기교]]

[[기믹 퍼핏|

파일:기믹 퍼핏 자이언트킬러.jpg
기믹 퍼핏]]

[[기아기아|

파일:기아기아노 mk3.jpg
기아기아]]

[[열차(유희왕)|

파일:저거너트리베.jpg
기차]]

[[기황|

파일:기황제 와이젤.jpg
기황]]
>
[ㄴ]
파일:나츄르 카멜리아.png
나츄르]]
[[낙서괴물|>

파일:낙서수 스테고.png
낙서괴물]]

[[낙인(유희왕)|

파일:낙인융합.png
낙인]]

[[날개 크리보|

파일:날개크리보.jpg
날개 크리보]]

[[네메시스(유희왕)|

파일:네메시스 코리도.jpg
네메시스]]

[[네무렐리아|

파일:쳐 자는 네무렐리아.png
네무렐리아]]

[[네오 스페이시언|

파일:네오 스페이시언 아쿠아 돌핀.jpg
네오 스페이시언]]

[[네오스|

파일:네오스 2nd.png
네오스]]

[[네크로즈|

파일:유니코르 네크로즈.jpg
네크로즈]]

[[네프티스(유희왕)|

파일:이어주는 손.jpg
네프티스]]

[[뇌화(유희왕)|

파일:뇌화의 마리코우베.png
뇌화]]

[[누메로니어스|

파일:Cino.1000.jpg
누메로니어스]]

[[누메론|

파일:게이트 오브 누메론 에캄.png
누메론]]

[[누밸즈|

파일:바그리엘 드 누밸즈.png
누밸즈]]

[[니트로 싱크론|

파일:니트로 싱크론.jpg
니트로]]
>
[ㄷ]
파일:판크라톱스.png
다이너레슬러]]
[[다이너미스트|>

파일:dascnn3-576f0731-4ce2-4ee3-9109-4dbb97531e391.jpg
다이너미스트]]

[[다이놀피어|

파일:다이놀피어 렉스텀.png
다이놀피어]]

[[대행자(유희왕)|

파일:근위 문.jpg
대행자]]

[[더스튼|

파일:화이트더스튼.png
더스튼]]

[[데먼스미스|

파일: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png
데먼스미스]]

[[데몬(유희왕)|

파일:퍼페추얼 킹 데몬.jpg
데몬]]

[[데블리철|

파일:데블리철 캘리슬라임.jpg
데블리철]]

[[데스완구|

파일:크루엘 웨일.png
데스완구]]

[[데스티니 히어로|

파일: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png
데스티니 히어로]]

[[데스피아|

파일:비극의 데스피아안.png
데스피아]]

[[도도도|

파일:도도도 워리어.jpg
도도도]]

[[도레미코드|

파일:1024px-DoSolfachordCoolia-OW-2.png
도레미코드]]

[[드라이트론|

파일:MeteonisDrytron-MADU-EN-VG-artwork.png
드라이트론]]

[[드래곤메이드|

파일:드래곤메이드 하스키.jpg
드래곤메이드]]

[[드래그니티|

파일:드래그니티 나이트 가잘그.jpg
드래그니티]]

[[드래그마|

파일:드래그마 에클.jpg
드래그마]]

[[디아벨스타|

파일:흑마녀 디아벨스타.png
디아벨스타]]

[[디지털 버그|

파일:디지털 버그 라이노세버스.jpg
디지털 버그]]
>
[ㄹ]
파일:라바르 염화산 시녀.jpg
라바르]]
[[라뷰린스|>

파일:레이디 오브 더 라뷰린스.png
라뷰린스]]

[[라의 익신룡/서포트 카드|

파일:라의 익신룡1.jpg
라의 익신룡]]

[[라이트로드|

파일:서머너 루미나스.jpg
라이트로드]]

[[레드 데몬|

파일:레드 데몬즈 일러스트.jpg
레드 데몬]]

[[레조네이터(유희왕)|

파일:크림즌 레조네이터.png
레조네이터]]

[[레프티레스|

파일:레프티레스 히드라.jpg
레프티레스]]

[[령사|

파일:Spirit Charmers.png
령사]]

[[령수|

파일:성령수기 칸나호크.jpg
령수]]

[[령신|

파일:암령신 오블미라지.jpg
령신]]

[[비크로이드|

파일:믹서로이드.jpg
로이드]]

[[로즈 드래곤|

파일:레드 로즈 드래곤.jpg
로즈 드래곤]]

[[룡검사|

파일:룡검사.png
룡검사]]

[[룡성|

파일:원룡성-보우텐코우.jpg
룡성]]

[[루닉|

파일:루닉의 날개 후긴.png
루닉]]

[[리브로맨서|

파일:Libromancer Geek Boy.jpg
리브로맨서]]

[[리추어|

파일:이비리추어 네레이마나스.png
리추어]]
>
[ㅁ]
파일:Clavkiys, the Magikey Skyblaster.jpg
마건]]
[[마계극단|>

파일:마계극단 빅스타.png
마계극단]]

[[마굉신|

파일:마굉신 레이지온.png
마굉신]]

[[마그넷 워리어|

파일:엘렉트로 감마.png
마그넷 워리어]]

[[마기스토스|

파일:절화의 대현자 조로아.jpg
마기스토스]]

[[마나둠|

파일:마나둠 프라임하트.png
마나둠]]

[[마도(유희왕)|

파일:Spellbook Magician of Prophecy.png
마도서]]

[[마돌체|

파일:쇼코 아 라 모드.jpg
마돌체]]

[[마리스보라스|

파일:마리스보라스 스푼.png
마리스보라스]]

[[마린세스|

파일:마린세스스프링걸.jpg
마린세스]]

[[마술사(유희왕)|

파일:조현의 마술사.jpg
마술사]]

[[마스크드 히어로|

파일: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jpg
마스크드 히어로]]

[[마요괴|

파일:고드름의 마요괴 설녀.jpg
마요괴]]

[[마장전사|

파일:마장전사 반드래.png
마장전사]]

[[마제스펙터|

파일:마제스펙터 라쿤.jpg
마제스펙터]]

[[마탄환|

파일:마탄환의 사수 맥스.png
마탄환]]

[[매지션 걸|

파일:블매걸 4th 일러.png
매지션 걸]]

[[매직비스트|

파일:마스터케로베로스.jpg
매직비스트]]

[[머메일|

파일:머메일 메가로어비스.jpg
머메일]]

[[머시너즈|

파일:머시너즈 포트리스.jpg
머시너즈]]

[[머티리어크톨|

파일:머티리어크톨 기가드라.jpg
머티리어크톨]]

[[메가리스(유희왕)|

파일:메가리스 오피엘.jpg
메가리스]]

[[메르피|

파일:숲메르피.jpg
메르피]]

[[메멘토(유희왕)|

파일:명해합룡 메멘토랄 테쿠틀리카.png
메멘토]]

[[메타파이즈|

파일:메타파이즈 라그나로크.png
메타파이즈]]

[[메탈포제|

파일:스티에렌.jpg
메탈포제]]

[[명세계|

파일:명세계의 재 눌.jpg
명세계]]

[[모케모케(유희왕/카드군)|

파일:낙오된 모케모케.png
모케모케]]

[[몽마경|

파일:몽마경의 천마 네이로스.jpg
몽마경]]

[[묘지기(유희왕)|

파일:묘지기의 이단자.jpg
묘지기]]

[[무사신|

파일:무사신 야마토.jpg
무사신]]

[[무한기동|

파일:무한기동 트렌처.jpg
무한기동]]

[[문라이트(유희왕)|

파일:문라이트 카레이드 치크.jpg
문라이트]]

[[문장수|

파일:문장수 레오.jpg
문장수]]

[[뮤트리아|

파일:피험체 뮤트리아 M-05.jpg
뮤트리아]]

[[미계역|

파일:미계역의 재카로프.jpg
미계역]]

[[미래황 호프(유희왕/카드군)|

파일:미래황호프.jpg
미래황]]

[[미캉코|

파일:오오히메의 어무.png
미캉코]]
>
[ㅂ]
파일:해룡신 리바이어던.png
바다]]
[[바렐(유희왕)|>

파일:바렐로드 2nd일러.png
바렐]]

[[바렛(유희왕/카드군)|

파일:바렛 트레이서.jpg
바렛]]

[[바르모니카|

파일:바랄_고화질.png
바르모니카]]

[[바르바로스(유희왕)|

파일:수신왕 바르바로스.png
바르바로스]]

[[바바리안(유희왕)|

파일:바바리안 0호.jpg
바바리안]]

[[바운서(유희왕)|

파일:스트리크 바운서.png
바운서]]

[[바이론(유희왕)|

파일:바이론 오메가.jpg
바이론]]

[[방계(유희왕)|

파일:방계윤 비잠.jpg
방계]]

[[방해꾼|

파일:방해꾼 옐로.jpg
방해꾼]]

[[밸리언츠|

파일:Mamonaka the Vaylantz United.png
밸리언츠]]

[[뱀파이어(유희왕)|

파일:알담피르 뱀파이어 쉐리단.png
뱀파이어]]

[[버스터 블레이더(유희왕/카드군)|

파일:Buster Blader, the Dragon Destroyer.png
버스터 블레이더]]

[[버제스토마|

파일:버제스토마 디노미스쿠스.png
버제스토마]]

[[베다(유희왕)|

파일:베다=카란타.png
베다]]

[[베놈(유희왕)|

파일:베놈 서펜트.png
베놈]]

[[베어루크티|

파일:베어루크티 폴라리.jpg
베어루크티]]

[[벤데드|

파일:리벤데드 슬레이어.jpg
벤데드]]

[[벨즈|

파일:벨즈오피온.jpg
벨즈]]

[[보옥수|

파일:보옥수 사파이어 페가수스.jpg
보옥수]]

[[볼캐닉|

파일:볼캐닉 엠페러.png
볼캐닉]]

[[봄화정|

파일:모종과 안개의 봄화정.jpg
봄화정]]

[[엑조디아|

파일:엑조디아 더 포비든 원.jpg
봉인된 엑조디아]]

[[분보그|

파일:분보그001.png
분보그]]

[[불꽃성기사|

파일:유희왕_샤를마뉴_고화질.png
불꽃성기사]]

[[붉은 눈|

파일:붉은 눈의 흑룡.png
붉은 눈]]

[[블랙 매지션/서포트 카드|

파일:블랙 매지션 3rd일러.webp
블랙 매지션]]

[[비서스=스타프로스트/서포트 카드|

파일:비서스=스타프로스트.png
비서스=스타프로스트]]

[[비스테드|

파일:비스테드 마그나무트.png
비스테드]]

[[비전 히어로|

파일:비전 히어로 인크리스.jpg
비전 히어로]]

[[비틀트루퍼|

파일:비틀트루퍼 암드 혼.png
비틀트루퍼]]

[[빙결계|

파일:용 트리슈라.jpg
빙결계]]

[[빙의장착|

파일:빙의 연계.png
빙의장착]]

[[빛의 황금궤/서포트 카드|

파일:파괴룡 간드라G.png
빛의 황금궤]]
>
[ㅅ]
파일:기타스.jpg
사운드 워리어]]
[[사이바넷|>

파일:사이바넷 마이닝.jpg
사이바넷]]

[[사이버(유희왕)|

파일:사이버 엘타닌.jpg
사이버]]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

파일:사이버 드래곤 노바.jpg
사이버 드래곤]]

[[사이버 엔젤|

파일:사이버엔젤 벤텐.png
사이버 엔젤]]

[[사이버 다크|

파일:사이버 다크 드래곤.jpg
사이버 다크]]

[[사이퍼(유희왕)|

파일:사이퍼 윙.jpg
사이퍼]]

[[사일런트 매지션|

파일:침묵의 마술사.jpg
사일런트 매지션]]

[[사일런트 스워드맨|

파일:침묵의 검사.png
사일런트 스워드맨]]

[[삼라|

파일:희아궁.jpg
삼라]]

[[상검|

파일:상검군사 용연.png
상검]]

[[새크리파이스(유희왕/카드군)|

파일:천년 새크리.jpg
새크리파이스]]

[[샐러맨그레이트|

파일:샐러맨그레이트 레이징 피닉스.png
샐러맨그레이트]]

[[생아발론|

파일:생아발론 드리아스.jpg
생아발론]]

[[샤크(유희왕)|

파일:바하무트 샤크.jpg
샤크]]

[[섀도르|

파일:엘섀도르 네피림.png
섀도르]]

[[서브테러|

파일:Subterror Guru-MADU-EN-VG-artwork.jpg
서브테러]]

[[섬도희|

파일:섬도희 레이.png
섬도희]]

[[성각|

파일:Hieratic Seal of the Heavenly Spheres.png
성각]]

[[성기사(유희왕)|

파일:성기사 아르토리우스.jpg
성기사]]

[[성유물(유희왕)|

파일:성유물-『성건』.png
성유물]]

[[성잔|

파일:성잔룡 임두크.jpg
성잔]]

[[세리온즈|세리온즈]]

[[세븐스(유희왕)|

파일:RUM 더 세븐스 원.jpg
세븐스]]

[[세이비어(유희왕)|

파일:구세룡 세이비어 드래곤.jpg
세이비어]]

[[세이크리드|

파일: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jpg
세이크리드]]

[[세피라|

파일:세피라 트라 그라마톤.png
세피라]]

[[센츄리온(유희왕)|

파일:센츄리온 프리메라.png
센츄리온]]

[[소환수(유희왕)|

파일:소환수 메르카바.jpg
소환수]]

[[수호룡(유희왕)|

파일:수호룡 피스티.jpg
수호룡]]

[[수호신관|

파일:수호신관 마하드.png
수호신관]]

[[순성|

파일:숙성 로가디언.png
순성]]

[[숲의 성령 에코|

파일:숲의 성령 에코.jpg
숲의 성령]]

[[숲의 성수|

파일:카르피포니카.png
숲의 성수]]

[[스네이크아이|

파일:스네이크아이즈 플랑베르쥬 드래곤.png
스네이크아이]]

[[스마일(유희왕)|

파일:스마일 월드.jpg
스마일]]

[[스케어클로|

파일:스케어클로 트라이히하트 일러.png
스케어클로]]

[[스크랩(유희왕)|

파일:스크랩 랩터.jpg
스크랩]]

[[스타더스트(유희왕)|

파일:스타더스트 2nd일러.jpg
스타더스트]]

[[스프라이트(유희왕)|

파일:스프라이트 블루.png
스프라이트]]

[[스프리건즈|

파일:스프리건즈 록키.png
스프리건즈]]

[[시계신|

파일:시계신 산다이온.jpg
시계신]]

[[시라누이(유희왕)|

파일:shiranui_spectralsword_by_omgitsjohannes_dd2rb4y-fullview.jpg
시라누이]]

[[시무르그(유희왕)|

파일:왕신조 시무르그.jpg
시무르그]]

[[심해(유희왕)|

파일:심해의 민스트렐.jpg
심해]]

[[십이수|

파일:십이수 모르모래트.jpg
십이수]]

[[싱크론|

파일:액셀싱크론.jpg
싱크론]]

[[쌍천|

파일:쌍천장 금강.jpg
쌍천]]

[[썬더 드래곤(유희왕/카드군)|

파일:초뇌룡 썬드.jpg
썬더 드래곤]]
>
[ㅇ]
파일:아다마시아 리서처.png
아다마시아]]
[[아로마(유희왕)|>

파일:아로마지 로즈마리.jpg
아로마]]

[[아르카나 포스|

파일:아르카나 포스 더 월드.png
아르카나 포스]]

[[아마조네스(유희왕)|

파일:아마조네스 프린세스.jpg
아마조네스]]

[[아머드 엑시즈|

파일:엑시즈 아머 토르피도.png
아머드 엑시즈]]

[[아모르파지|

파일:아모르파지 이리튬.png
아모르파지]]

[[아쿠아액트리스|

파일:아쿠아액트리스 테트라.jpg
아쿠아액트리스]]

[[아티팩트(유희왕)|

파일:아티팩트 모랄타.png
아티팩트]]

[[악마양|

파일:악마양 릴리스.png
악마양]]

[[안개 골짜기|

파일:안개 골짜기의 거신조.jpg
안개 골짜기]]

[[알버스의 낙윤/서포트 카드|

파일:알버스의 낙윤.jpg
알버스의 낙윤]]

[[암드 드래곤|

파일:암드 드래곤 썬더 LV10.png
암드 드래곤]]

[[암흑 기사 가이아(유희왕/카드군)|

파일:마방기사.png
암흑 기사 가이아]]

[[암흑계|

파일:용신왕 그라파.png
암흑계]]

[[앤틱 기어|

파일:앤틱 기어 박스.jpg
앤틱 기어]]

[[어메이즈먼트|

파일:Amazement Administrator Arlekino.png
어메이즈먼트]]

[[언체인드(유희왕)|

파일:언체인드쌍왕신.jpg
언체인드]]

[[얼루어 퀸|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AllureQueenLV7-TF04-EN-VG.jpg
얼루어 퀸]]

[[얼터가이스트|

파일:얼터가이스트 어드미니아.png
얼터가이스트]]

[[엄브럴|

파일:엄브럴 구울.png
엄브럴]]

[[에볼|

파일:에볼카이저 라기어.jpg
에볼]]

[[에스프릿|

파일:에스프릿 로드 언공작.jpg
에스프릿]]

[[에일리언(유희왕)|

파일:에일리언 마이티 프레임.jpg
에일리언]]

[[에지임프|

파일:에지임프 체인.jpg
에지임프]]

[[엑소시스터|

파일:엑소시스터 에리스.jpg
엑소시스터]]

[[엔디미온(유희왕)|

파일:창성마도왕.jpg
엔디미온]]

[[엘드리치(유희왕)|

파일:EldlichtheGoldenLord-MADU-EN-VG-artwork.png
엘드리치]]

[[엘리멘트세이버|

파일:엘리멘트세이버 위라드.jpg
엘리멘트세이버]]

[[엘리멘틀 히어로|

파일:에어맨 2nd일러.png
엘리멘틀 히어로]]

[[여섯 무사|

파일:진 여섯무사 키잔.jpg
여섯 무사]]

[[염성(유희왕)|

파일:입염성.png
염성]]

[[염왕|

파일:염왕신 가루도닉스 이터니티.png
염왕]]

[[오노마토|

파일:오노마토페어.jpg
오노마토]]

[[오드아이즈|

파일: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일러.png
오드아이즈]]

[[오르페골|

파일:Galatea, the Orcust Automaton.png
오르페골]]

[[오파츠(유희왕)|

파일:오파츠마추마크.jpg
오파츠]]

[[왈큐레(유희왕)|

파일:왈큐레 에르다.jpg
왈큐레]]

[[요선수|

파일:요선수 반강편.jpg
요선수]]

[[용기사 가이아/서포트 카드|

파일:Gaia the Magical Knight of Dragons.png
용기사 가이아]]

[[용사(유희왕)|

파일:deoylyt-0fed3c08-876b-4987-bfa8-694824582516.png
용사]]

[[운마물|

파일:운마물 터뷸런스.jpg
운마물]]

[[워크라이(유희왕)|

파일:메테오라곤.png
워크라이]]

[[웜(파충류족)|

파일:웜제로.png
웜]]

[[위치크래프트(유희왕)|

파일:위치크 바이스마스터.png
위치크래프트]]

[[유벨(유희왕/카드군)|

파일: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png
유벨]]

[[유익환상수 키메라/서포트 카드|

파일:환상수왕 키메라.png
유익환상수 키메라]]

[[유토피아(유희왕)|

파일:윾토피아 2nd일러.jpg
유토피아]]

[[육화|

파일:TeardroptheRikkaQueen-MADU-EN-VG-artwork.png
육화]]

[[이그나이트|

파일:이그나이트 드래그노브.jpg
이그나이트]]

[[이블 히어로|

파일:이블 히어로 어더스터 골드.jpg
이블 히어로]]

[[이빌트윈|

파일:Evil★TwinsKisikilLilla-MADU-EN-VG-artwork.png
이빌트윈]]

[[인벨즈|

파일:인벨즈 그레즈.png
인벨즈]]

[[인잭터|

파일:인잭터 호넷.jpg
인잭터]]

[[인조인간(유희왕)|

파일:위협의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png
인조인간]]

[[인페르노이드|

파일:인페르노이드 데카트론.jpg
인페르노이드]]

[[인페르니티|

파일:인페르니티 데몬.jpg
인페르니티]]

[[일렉|

파일:일렉기린.png
일렉]]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ㅈ]
파일:자동기계통 96 신크로.jpg
자동기계]]
[[재빠른|>

파일:재빠른 비버.jpg
재빠른]]

[[잭나이츠|

파일:창궁의 잭나이츠.png
잭나이츠]]

[[저주받은 하인/서포트 카드|

파일:저주받은 하인 킹.png
저주받은 하인]]

[[전뇌계|

파일:전뇌계원 루루.jpg
전뇌계]]

[[전지맨|

파일:태양전지맨.png
전지맨]]

[[전황(유희왕)|

파일:전황의 덕 유현.jpg
전황]]

[[점술공주|

파일:성점술공주 타로레이.jpg
점술공주]]

[[점쟁이 마녀|

파일:점쟁이 마녀 히카리.jpg
점쟁이 마녀]]

[[정크(유희왕)|

파일:정크스피더.jpg
정크]]

[[제너레이드|

파일:포효의 하르.jpg
제너레이드]]

[[제넥스|

파일:제넥스 컨트롤러.jpg
제넥스]]

[[제알(유희왕/카드군)|

파일:제알 필드.jpg
제알]]

[[제왕(유희왕)|

파일:명 제왕.jpg
제왕]]

[[젬나이트|

파일:젬나이트마스터 다이아.jpg
젬나이트]]

[[주바바|

파일:주바바 나이트.jpg
주바바]]

[[주안(유희왕)|

파일:주안의 사도 사리엘.jpg
주안]]

[[죽도(유희왕)|

파일:황금빛 죽도.jpg
죽도]]

[[쥬락|

파일:쥬락 아우로.jpg
쥬락]]

[[지박(유희왕)|

파일:지박계례 지오글라샤=라볼라스.png
지박]]

[[지박신|

파일:지박신 위라코챠 라스카.jpg
지박신]]

[[진룡(유희왕)|

파일:진룡권사 다이너마이트K.png
진룡]]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ㅊ]
파일:참기 서큘러.png
참기]]
[[천년(유희왕)|>

파일:천년의 잠에서 깨어난 원시인.png
천년]]

[[천마신|

파일:천마신 시드헬즈.jpg
천마신]]

[[천배룡|

파일:찬환초룡 트랜센드 드라기온.png
천배룡]]

[[천위|

파일:천위룡 아슈나.png
천위]]

[[천후|

파일:홍천후 아르시엘.png
천후]]

[[첩자(유희왕)|

파일:전쟁의 첩자 메이젠.png
첩자]]

[[초량|

파일:초량기신왕.jpg
초량]]

[[초월룡|

파일:초월룡 메테오로스.png
초월룡]]

[[초중무사|

파일:초중천신 마스라오.png
초중무사]]

[[충혹마|

파일:세라의 충혹마.png
충혹마]]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ㅋ]
파일:카디언 억새.jpg
카디언]]
[[카오스 솔저(유희왕/카드군)|>

파일:The Legendary Swordmaster Black Luster Soldier.png
카오스 솔저]]

[[코드 토커|

파일:디코드 토커 2nd일러.png
코드 토커]]

[[코드브레이커(유희왕)|

파일:코드브레이커 바이러스스워드맨.jpg
코드브레이커]]

[[코아키메일|

파일:코아키메일 서플라이어.jpg
코아키메일]]

[[코쿤(유희왕)|

파일:코쿤 돌핀.jpg
코쿤]]

[[크로노다이버|

파일:시간돚거.jpg
크로노다이버]]

[[크롤러(유희왕)|

파일:엑스크롤러 뉴로고스.jpg
크롤러]]

[[크리보(유희왕/카드군)|

파일:크리보토큰.jpg
크리보]]

[[크리스트론|

파일:크리스트론 쿠온.jpg
크리스트론]]

[[크샤트리라|

파일:크샤트리라 어라이즈하트.png
크샤트리라]]

[[클리포트(유희왕)|

파일:클리포트툴.jpg
클리포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ㅌ]
파일:타락천사 이슈탐.jpg
타락천사]]
[[태엽(유희왕)|>

파일:태엽마이티.jpg
태엽]]

[[테라나이트|

파일:테라나이트.jpg
테라나이트]]

[[토이(유희왕)|

파일:24878656.jpg
토이]]

[[토폴로직|

파일:토폴로직 폭탄드래곤.jpg
토폴로직]]

[[툰|

파일:툰 쌍둥이 자매 엘프.jpg
툰]]

[[트라미드|

파일:트라미드 스핑크스.jpg
트라미드]]

[[트라이브리게이드|

파일:트라게 키트.jpg
트라이브리게이드]]

[[트로이메어|

파일: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jpg
트로이메어]]

[[트릭스터(유희왕)|

파일:트릭스터 케로베인.jpg
트릭스터]]

[[티스티나|

파일:Crystal God Tistina.jpg
티스티나]]

[[티아라멘츠|

파일:티아라멘츠 카레이드하트.png
티아라멘츠]]

[[틴당글|

파일:아큐트 케로베로스.png
틴당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ㅍ]
파일:파괴검 드래곤버스터블레이드.jpg
파괴검]]
[[파괴수(유희왕)|>

파일:해귀파괴수 가메시엘.jpg
파괴수]]

[[파라디온|

파일:아크로드 파라디온.jpg
파라디온]]

[[파샤스|

파일:천공성기사 아크파샤스.jpg
파샤스]]

[[파이어월(유희왕)|

파일:파이어월 드래곤 3rd 일러스트.jpg
파이어월]]

[[패왕권룡|

파일:패왕권룡 다크브룸.png
패왕권룡]]

[[패왕룡 즈아크/서포트 카드|

파일:슈프림 킹 즈아크.jpg
패왕룡 즈아크]]

[[팬텀 나이츠|

파일:티어스케일.png
팬텀 나이츠]]

[[퍼니멀|

파일:퍼니멀 베어.png
퍼니멀]]

[[퍼핏(유희왕)|

파일:퍼핏 폰.jpg
퍼핏]]

[[페어리테일(유희왕)|

파일:페어리테일 백설.jpg
페어리테일]]

[[펭귄(유희왕)|

파일:뗑컨 용자.jpg
펭귄]]

[[포츈 레이디|

파일:포츈 레이디 에버리.jpg
포츈 레이디]]

[[포탄(유희왕)|

파일:화이트 포탄.jpg
포탄]]

[[포톤(유희왕)|

파일:포톤 오비탈.jpg
포톤]]

[[푸른 눈|

파일:푸른 눈의 백룡 3rd일러.webp
푸른 눈]]

[[퓨어리|

파일:아기 퓨어리.png
퓨어리]]

[[프랭키즈|

파일:프랭키즈 하우스버틀러.jpg
프랭키즈]]

[[프레데터 플랜츠|

파일:프레데터 플랜츠 썬듀 킨지.jpg
프레데터 플랜츠]]

[[프린세스 코롱|

파일:프린세스 코롱.jpg
프린세스 코롱]]

[[플런드롤|

파일:플런드롤 캡틴.png
플런드롤]]

[[플레임벨|

파일:플레임벨 울키사스.jpg
플레임벨]]

[[피안(유희왕)|

파일:피안의 악귀 그래바스니치.jpg
피안]]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ㅎ]
파일:하얀 숲의 아스테랴.png
하얀 숲]]
[[해피(유희왕)|>

파일:해피 채널러.jpg
해피]]

[[해황(유희왕)|

파일:해황룡 포세이도라.png
해황]]

[[헤이즈비스트|

파일:헤이즈비스트 바질리코크.jpg
헤이즈비스트]]

[[현세와 명계의 역전/서포트 카드|

파일:고첨병 켈벡.png
현세와 명계의 역전]]

[[호루스(유희왕)|

파일:호루스의 영광-임세티.png
호루스]]

[[호루스의 흑염룡|

파일:호루스의 흑염룡.png
호루스의 흑염룡]]

[[홀리 라이트닝|

파일:홀리라이트닝 북스.png
홀리 라이트닝]]

[[홀리나이츠|

파일:홀리나이츠 레이엘.jpg
홀리나이츠]]

[[화석(유희왕)|

파일:21225115.jpg
화석]]

[[화이트 아우라|

파일:화이트 아우라 웨일.jpg
화이트 아우라]]

[[화합야수|

파일:진화합야수 다이오키신.jpg
화합야수]]

[[삼환마|

파일:허무환영라쇼몽.png
환마]]

[[환상수|

파일:환상수 록리저드.jpg
환상수]]

[[환상수기|

파일:환상수기 드래고사크.jpg
환상수기]]

[[환주|

파일:환주의 음녀 엘레지.jpg
환주]]

[[환접의 자객|

파일:환접 호랑나비.png
환접의 자객]]

[[환황룡|

파일:환황룡 스파이럴.png
환황룡]]

[[후완다리즈|

파일:후완 로비나.png
후완다리즈]]

[[히로익|

파일:H-C 크레이브솔리시.png
히로익]]

[[히어로(유희왕)|

파일:Wake Up Your Elemental HERO.jpg
히어로]]

[[히스이(유희왕)|

파일:히스이테이 에지르 규미르.png
히스이]]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A~Z, 특수문자]
파일:사이킥 리플렉터.jpg
/버스터]]
[[@이그니스터|>

파일:드용 이그니스터.jpg
(이그니스터]]

[[A 보옥수|

파일:A 보옥수 사파이어 페가수스.jpg
A(어드밴스드 보옥수]]

[[ABC(유희왕)|

파일:ABC 드래곤버스터.png
ABC]]

[[A·O·J|

파일:AOJ 카타스톨.png
A·O·J]]

[[BF(유희왕)|

파일:BF 독풍의 시문.jpg
BF(블랙 페더]]

[[BK(유희왕)|

파일:CNo.79 BK 장성의 카이사르.png
BK(버닝나쿠라]]

[[B·F|

파일:B F 필중의 핀.jpg
B·F(비 포스]]

[[C(체인)|

파일:체인 리페어러.jpg
C(체인]]

[[디포머|

파일:디포머 텔레폰.png
D(디포머]]

[[DD(유희왕/카드군)|

파일:사치왕.png
DD(디디]]

[[Em(엔터메이지)|

파일:Em 트래피즈 매지션.jpg
Em(엔터메이지]]

[[EM(엔터메이트)|

파일:엔터메이트 도크로배트 조까.jpg
EM(엔터메이트]]

[[F.A.|

파일:FA 라이트닝마스터.png
F.A.(포뮬러 애슬리트]]

[[G골렘|

파일:G골렘 인밸리드 돌멘.jpg
G골렘]]

[[GP(유희왕)|

파일:골드 프라이드 임시1.jpg
GP(골드 프라이드]]

[[Kozmo|

파일:코즈모 팜걸 도롯셀.jpg
Kozmo(코즈모]]

[[LL|

파일:리사이트 스털링.png
LL(리리컬 루스키니아]]

[[No.|

파일:넘버즈 아카이브.jpg
No.]]

[[P.U.N.K.|

파일:펑크 세아민.png
P.U.N.K.(펑크]]

[[PSY프레임|

파일:싸이프레임 드라이버.jpg
PSY(싸이프레임]]

[[RR(유희왕)|

파일:포스 스트릭스.jpg
RR(레이드 랩터즈]]

[[RUM|

파일:RUM 바리언즈 포스.jpg
RUM(랭크 업 매직]]

[[R-ACE|

파일:레스큐 에이스 하이드런트.png
R-ACE(레스큐 에이스]]

[[SD 로보|

파일:SD 로보 엘레판.png
SD(슈퍼 디펜스 로보]]

[[Sin(유희왕)|

파일:Sin 패러다임 드래곤.jpg
Sin(]]

[[SPYRAL|

파일:스파이랄 슈퍼 에이전트 댄디.jpg
SPYRAL(스파이랄]]

[[SR(유희왕)|

파일:스피드로이드 타케톰보그.jpg
SR(스피드로이드]]

[[S-Force|

파일:S-Force 저스티파이.jpg
S-Force(시큐리티 포스]]

[[TG(유희왕)|

파일:TG 할버드 캐논.jpg
TG(테크지너스]]

[[U.A.|

파일:U.A. 미드필더 판타지스타.jpg
U.A.(울트라 애슬리트]]

[[VS(유희왕)|

파일:뱅키시 소울 라젠.png
VS(뱅키시 소울]]

[[VWXYZ|

파일:VWXYZ 드래곤 캐터펄트 캐논.jpg
VWXYZ]]

[[WW(유희왕)|

파일:WW 블리자드벨.jpg
WW(윈드 위치]]

[[X-세이버|

파일:XX세이버 가톰즈.jpg
X-세이버]]

[[ZW|

파일:zw드래고닉.jpg
ZW(제알 웨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샐러맨그레이트
한국어판 명칭샐러맨그레이트
일본어판 명칭転生炎獣(サラマングレイト
영어판 명칭Salamangreat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화염사이버스족
[ 접기 ]

1. 개요
2. 특징
3. 효과 몬스터 (튜너)
3.1. 레벨 3
3.1.1. 샐러맨그레이트 위젤
3.2. 레벨 5
3.2.1. 샐러맨그레이트 티거
4. 효과 몬스터 (非 튜너)
4.1. 레벨 1
4.1.1. 샐러맨그레이트 라쿤
4.1.2. 샐러맨그레이트 몰
4.2. 레벨 2
4.2.1. 샐러맨그레이트 미어
4.2.2. 샐러맨그레이트 오브 파이어
4.3. 레벨 3
4.3.1. 샐러맨그레이트 폭시
4.3.2. 샐러맨그레이트 폭서
4.3.3. 샐러맨그레이트 가젤
4.3.4. 샐러맨그레이트 스피니
4.3.5. 샐러맨그레이트 페넥
4.3.6. 샐러맨그레이트 코요테
4.4. 레벨 4
4.4.1. 샐러맨그레이트 팔코
4.4.2. 샐러맨그레이트 J재규어
4.4.3. 샐러맨그레이트 울비
4.4.4. 샐러맨그레이트 포울
4.4.5. 샐러맨그레이트 제브로이드X
4.5. 레벨 5
4.5.1. 샐러맨그레이트 패로
4.6. 레벨 8
4.6.1. 샐러맨그레이트 B바이슨
5. 의식 몬스터
5.1. 레벨 8
5.1.1. 샐러맨그레이트 에머랄드 이글
6. 융합 몬스터
6.1. 레벨 8
6.1.1. 샐러맨그레이트 바이올렛키메라
7. 싱크로 몬스터
7.1. 레벨 8
7.1.1. 샐러맨그레이트 버스트 그리폰
8. 엑시즈 몬스터
8.1. 랭크 3
8.1.1. 샐러맨그레이트 미라지스탤리오
8.2. 랭크 4
8.2.1. 샐러맨그레이트 브레이즈 드래곤
9. 링크 몬스터
9.1. 링크 1
9.1.1. 샐러맨그레이트 베일링크스
9.2. 링크 2
9.2.1. 샐러맨그레이트 썬라이트울프
9.3. 링크 3
9.4. 링크 4
9.4.1. 샐러맨그레이트 파이로 피닉스
10. 마법 카드
10.1. 일반 마법
10.1.1. 샐러맨그레이트 리큐어런스
10.1.3. 퓨전 오브 파이어
10.1.4. 퓨리 오브 파이어
10.2. 속공 마법
10.2.1. 샐러맨그레이트 서클
10.2.2. 샐러맨그레이트 버닝쉘
10.2.3. 샐러맨그레이트 트랜센드
10.2.4. 샐러맨그레이트 차지
10.3. 장착 마법
10.3.1. 샐러맨그레이트 클로
10.3.2. 라이징 오브 파이어
10.4. 지속 마법
10.4.1. 샐러맨그레이트 하트
10.5. 필드 마법
10.5.1. 샐러맨그레이트 성역
10.6. 의식 마법
10.6.1. 샐러맨그레이트 강림
11. 함정 카드
11.1. 일반 함정
11.1.1. 샐러맨그레이트 레이지
11.1.2. 샐러맨그레이트 리바이브
11.2. 지속 함정
11.2.1. 샐러맨그레이트 기프트
11.3. 카운터 함정
11.3.1. 샐러맨그레이트 로어
13. 참고 카드


1. 개요[편집]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전생염수라 쓰고 샐러맨그레이트라 읽는다. 약칭은 샐러, 샐그.

이름의 유래는 불의 정령으로 알려진 전설의 동물인 샐러맨더와 전생을 뜻하는 트랜스미그레이션(Transmigration) 및 위대함을 뜻하는 그레이트(Great)의 합성어로, 사이버스족이란 특성을 생각하면 컴퓨터 용어인 마이그레이션(Migration) 또한 유래가 됐을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 모티브는 동물환수. 덱의 몬스터들은 사이버스족임에도 사이버란 이름에 어울리는 외견적 특성이 거의 없고, 오히려 화염족이나 야수족, 비행야수족에 가까운 외형이다.

마법 / 함정 카드 중 카드명에 "샐러맨그레이트" 대신 "오브 파이어"가 들어간 카드가 있는데, 룰상 샐러맨그레이트 카드로 취급하는 효과가 있어서 문제 없이 서포트를 받을 수 있다. 이는 버닝 드로우도 마찬가지다.

2. 특징[편집]



2.1. 원작[편집]


파일:Soulburner_Deck_Picture.png

최초로 OCG화된 이그니스의 카드군. 원작 사용자는 호무라 타케루(Soulburner)와 플레임으로, 정황상 플레임이 타케루에게 준 덱으로 보인다.

이름에 걸맞게 몬스터의 소생 효과 및 덤핑 효과가 많다.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링크 / 융합 / 엑시즈 / 싱크로)과 의식 몬스터는 필드의 같은 이름의 카드를 소재로서 정규 소환했을 때 추가 효과를 발휘하는 컨셉을 공유한다. 이를 애니메이션에선 "전생 소환"이라고 칭하며, 본 문서에서도 이 용어를 쓴다. 자기 자신을 포함한 몬스터를 소재로 써서 소환하는 방식이지만, 링크 몬스터는 전용 필드 마법 샐러맨그레이트 성역으로 추가 소재 없이 링크 소환할 수 있다. 샐러맨그레이트 링크 1 몬스터는 소환 조건 때문에 이 방법으로만 전생 소환이 가능하다.

Soulburner의 스킬 버닝 드로우와의 연계를 상정한 LP 회복 효과도 몇몇 보이나, OCG에선 LP 회복을 유의미하게 활용하는 카드가 거의 없어 큰 의미는 없다. 그리고 에이스 몬스터들 중 일부는 비트 다운 관련 효과를 가지고 있다.

타케루의 비중이 높아서, 작중에서 샐러맨그레이트는 바렐처럼 링크 소환을 중심으로 여러 소환법을 아우르고 있다. 그리고 링크 몬스터 뿐만 아니라 이들은 전부 전생 소환이 가능하며, 애니메이션에서 전생 소환했던 과정은 다음과 같다.
  • 링크 소환 : Soulburner의 첫 등장인 48화에서 첫 등장 후 Soulburner의 듀얼에 꾸준히 등장한다. 샐러맨그레이트의 주 소환법. 여러 몬스터가 존재하며, 필드 마법 "샐러맨그레이트 성역"을 위시로 여러 마법/함정을 통해 전생 링크 소환한다.
  • 의식 소환 : 54화에서 첫 등장. 해당하는 몬스터는 에머랄드 이글로, 애니메이션에서는 전생 소환하지 않았다.
  • 융합 소환 : 56화에서 첫 등장. 해당하는 몬스터는 바이올렛키메라. 애니메이션에서는 전생 소환하지 않았다.
  • 엑시즈 소환 : 89화에서 첫 등장. 미라지스탤리오와 브레이즈 드래곤이 존재한다. 첫 등장한 미라지스탤리오는 전생 소환하지 못하는 대신 전개를 서포트하는 역할을 했고, 114화에 등장한 브레이즈 드래곤은 소재가 없을 때 배틀 페이즈에 자체 효과로 전생 소환한다.
  • 싱크로 소환 : 애니메이션에는 등장하지 않았지만 OCG의 폭염의 듀얼리스트 팩에서 새롭게 등장. 해당하는 몬스터인 버스트 그리폰은 레벨을 조정하여 전생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편집]


부스터 팩 소울 퓨전에서 데뷔하였다.

발매 초기엔 성능이 암울했으나, 스트럭처 덱 소울 버너 발매 이후 강력한 성능의 카드를 다수 얻어 티어권으로 급부상했다.

신규 지원 이후의 샐러맨그레이트의 장점은 바로 장기전. 숙달된 플레이어 기준으로 방해하기 힘든 후속 회수와 이를 기반으로 한 장기전 능력으로 풀리는 순간부턴 대부분의 덱을 때려잡을 수 있다. 전성기 피안과 비슷한 스타일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역시 전성기 피안과 비슷하게 숙련되지 못한 사람이 쓰면 견제 한두 방에 후속이 끊기는 등 난이도가 높은 편.[1] 이로 인해 2019년 7월 샐러맨그레이트 가젤과 레이디 디버거가 제한이 됐다.

2019년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에서, 샐러맨그레이트에게 유리한 금제 덕분에 초등부와 일반부 결승 모두 우승, 준우승을 전부 차지할 정도로 크게 활약했다. 2019년 10월 이후의 환경에서도 특유의 안정적인 사이클 덕분에 꾸준한 셰어를 차지했다.

2020년 1월, 핵심 카드인 샐러맨그레이트 서클이 준제한이 됨과 동시에 샐러맨그레이트가 못 뚫는 드라군 비트(일본) 등의 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을 활용한 덱들이 나오면서 맥을 못 추렸다. 2020년 1월 금제 7주차부턴 셰어표에서 사라지기도 했다. 그러나 드라군이 제한 카드로 찍히면서 또 스리슬쩍 셰어 표에 돌아왔다. 어쨌든 안정적으로 로어를 뻥뻥 날리는 장기전 특화 테마인 만큼 드라군만 어찌 하면 되는 듯. 심지어 드라군을 집어 넣는 샐러맨 덱도 출현했다.

같은 사이버스족 테마인 코드 토커가 크게 강화된 이후로는 코드 토커 몬스터들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식으로 덱이 변화했다. 주요 카드의 제한으로 불안정해진 초동은 스플래시 메이지와 연계하면 잭재규어 원핸드로 소환이 가능한 디코드 토커 히트소울로 커버하고[2] 업데이트재머-트랜스코드 토커에서 이어지는 액세스코드 토커의 연계로 부족하던 턴킬 능력을 해결한다. 비록 핵심 카드의 금제로 인해 자유롭지 못한 상태지만 상술한 지원 카드와 메리트가 여전한 싸이클 능력 덕분에 현재도 간간히 입상덱에 얼굴을 비추고 있다.

하지만 용사와 피닉스 가이의 발매로 모든 덱이 일적을 3장 넣는 일적 분기가 오고 샐러맨그레이트는 2번째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비록 첫 전성기에 비하면 활약이 많이 아쉬웠지만 일적을 잘 쓰는 샐러맨의 특성상, 입상도 첫 전성기 이후 가장 많았다. 하지만 디드라군과 용사가 죽은 후에 일적의 밸류가 낮아지고 다시 티어권에서 점점 밀려나게 되었다.

샐러맨그레이트 최악의 적은 증식의 G원시생명체 니비루로 이들을 케어해주지 못하면 순환과 전개에 매우 큰 차질이 생긴다. 증식의 G는 그나마 하루 우라라와 무덤의 지명자로 잡는게 가능하지만, 니비루는 오직 로어나 말살의 지명자로만 대처가 가능한데 문제는 말살의 지명자가 제한이다. 때문에 사이드 전에 들어가면 니비루를 반드시 의식해야만 하는 플레이가 강요되고, 통상/특수 소환 5회 이전에 가젤을 회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

엔디미온과는 비슷한 점이 있다. 스트럭쳐 3개만 까면 나오는 덱이지만 난이도가 높다는 점이 비슷한데, 엔디미온은 정형화된 전개법이 없어 난이도가 높은것이고, 샐러맨그레이트는 게임의 흐름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해 난이도가 높다는 차이점이 있다.

2023년 4월 OCG 리미트 레귤레이션에서 핵심 카드인 가젤이 준제한으로 내려오게 되었다.

2023년 5월 27일, 듀얼리스트 팩/폭염의 듀얼리스트 편의 팩 메인으로 선정되었다. 신규 링크 4 몬스터와 싱크로 몬스터가 추가되었고, 부활 및 공격력 증가 효과를 가진 신규 카드가 많은 편. 레이징 피닉스를 이용한 고점빌드나 고레벨 튜너인 티거를 써 플뢰르 드 바로네스를 뽑는 등 새로운 전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전술 및 유연성 자체는 확장되었지만 티어권 수준까지 진입하는 것은 실패했다"라는 평가를 주로 내리고 있다. 현재 강력한 순환 능력 및 우수한 후열을 갖춘 운영 테마라는 점은 R-ACE가 환경권에서 과시하고 있다.

2.2.1. 장점[편집]


  • 높은 완성도의 기믹 사이클, 이로 인한 안정적인 장기전 능력
전생이라는 컨셉에 걸맞게 메인 기믹이 이론상 모든 묘지 자원을 회수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3] 굉장히 강력한 카운터 함정인 샐러맨그레이트 로어를 매 턴 다시 쓸 수 있으며 디코드 토커 히트소울도 쉽게 뽑을 수 있기 때문에 가젤과 로어가 없을 경우, 또는 패유발에 의해 전개가 끊겼을 경우 히트소울로 2드로우를 보면서 패 트랩과 범용 카드들로 상대를 견제할 수 있다. 거의 모든 몬스터가 묘지의 자신을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어 서로 패가 말라가는 중반 이후부터는 도저히 샐러맨그레이트의 어드밴티지 복구 능력을 감당할 수 없다. 로어나 레이지, 서클과 같은 고성능 마법 / 함정은 물론이고 하루 우라라까지도 재사용이 가능하며, 묘지의 몬스터들은 계속해서 특수 소환되므로 웬만큼 많은 견제 수단을 준비하지 않는 한 사이클을 끊기 어렵다. 자원이 충분히 준비된 샐러맨그레이트는 카운터 함정을 계속 돌려가면서 본인들의 소생 효과로 상대를 말려죽이며 여차하는 순간에 업데이트재머 - 액세스코드 토커로 상대를 끝장내버릴 수 있다는 매력적인 플레이 방식을 가지고 있다.[4]

  • 다양한 상황에서의 높은 대응력
위에서 설명한대로 자칫 게임이 늘어지더라도 자체 기믹 내 사이클이 돌아가고 있다면 후속 회수와 견제 마련을 뚫는 것이 매우 어려워져, 탁월한 장기전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받으며 폭시와 레이지 덕분에 다른 덱보다 영속류에 대한 돌파 능력도 우월하다. 뿐만 아니라 팔코로 묘지에 있는 샐러맨그레이트 마법/함정을 세트할 수 있어 썬라이트울프 효과에 퍼미션을 맞더라도 견제 수단 or 후속을 마련할 수 있고 스피니/J재규어/하트의 자체 특소 효과로 전개하여 순식간에 킬을 따내거나 미라지스탤리오를 이용해서 까다로운 몬스터를 치우는 등 테마 내 카드들의 효과를 엮어 여러가지 변수를 케어하면서 최소한 게임이 최악까지 흘러가지 않도록 운영할 수 있다..

  • 넓은 메인 덱 스페이스를 바탕으로 한 메타 적응력
덱 운용을 위한 필수 카드의 수가 여타 운영 덱에 비하면 많은 편이 아니고, 기본 전개에 필요한 필수 카드의 수가 적으며 묘지에 있어도 문제 없이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경에 맞는 메타 카드를 얼마든지 투입할 수 있다. 카운터 함정은 구조상 어떤 덱에게나 치명적이기 때문에 핵심 카드인 로어의 성능도 변할 일이 없고, 일반적인 티어권 덱들이 상대하기 어려워하는 스킬 드레인을 폭시/레이지로 제거할 수 있어 안티메타형 덱 상대로도 맞설 수 있다. 덕분에 어떤 환경이 오든 메타에 맞게 카드를 조정하여 적응하기가 쉽다.

  • 뛰어난 킬 결정력
사이버스족 테마가 환경에서 꾸준한 경쟁력을 보여주는 근본적인 이유로, 더블 어택 효과를 부여하는 업데이트재머를 링크 소환할 수 있어, 상대가 틈을 보이는 순간 이 카드를 거쳐 액세스코드 토커로 연결해 상대의 LP를 순식간에 바닥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움직임을 재머의 소재가 될 메인 덱 몬스터 2장 + 사이버스족 개체 수 1장이라는 매우 간소한 파츠로 성립시킬 수 있는 덕분에 운영 덱의 약점인 게임을 길게 봐야 하며 LP를 크게 깎기 어렵다는 부분이 샐러맨그레이트에게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 매우 적은 불순물 카드
용사와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를 위시한 11기 이후에서 크게 드러나는 장점으로, 용사 파츠의 드라코백이나 피닉스 파츠의 융합 소재, 패에 잡히면 안되는 전개 파츠 등 덱에는 넣어야 하지만 패에는 잡히면 불쾌한 카드들이 없다.[5] 모든 카드가 각각의 기믹으로 돌아가며 링크 1인 베일링크스로 성역을 가져오기 때문에 플레이 자체에 막힐 염려가 없는 것도 장점.

  • 높은 초동률
2019년 7월에 가젤이 제한으로 올라갔을 때도 레이디 디버거, 사이바넷 마이닝같은 서치 카드를 다수 사용했기 때문에 초동을 성립시킬 확률 자체는 다른 덱보다 확실히 높은 편이었다. 여기다 2023년 4월 리미트 레귤레이션에서 샐러맨그레이트 가젤의 제재 수위가 준제한으로 완화되어 핵심 카드의 제한으로 생긴 문제점도 해결되고, 폭염의 듀얼리스트 팩에서 받은 지원을 통해 2장 이상의 핸드 조합도 늘어나 안정적인 환경권 덱들과 비교하더라도 밀리지 않은 초동률을 보여준다.

2.2.2. 단점[편집]


  • 모든 범용 견제 카드에 취약함
앞서 언급했듯 샐러맨그레이트는 다양한 범용 카드를 채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작 자신은 그러한 범용 카드들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전생 링크라는 컨셉 때문에 특수 소환을 반복해야 하기에 증식의 G원시생명체 니비루에 매우 취약하며 메인 기믹에서는 이들을 방어할 수단도 없고, 이 두 카드를 맞았을 때의 착지점이 굉장히 애매하다.[6] 기믹 자체가 묘지를 핵심 자원으로 사용하므로 디멘션 어트랙터같은 차원 계열 카드를 맞으면 그대로 턴을 넘겨줘야 하며, 저택 와라시, 스컬 마이스터, 무덤의 지명자같은 묘지 견제 카드들이 아프게 작용한다.[7] 이처럼 여러 견제 카드를 골고루 맞기 때문에 샐러맨그레이트는 덜 아픈 카드를 먼저 내서 상대의 퍼미션을 미리 뺀 뒤 핵심 카드를 통과시키는 센스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 매우 낮은 고점
로어가 비록 강력한 카드이긴 하나, 1턴에 1번만 발동할 수 있으므로 그 한계가 확실하다. 첫 패에 유효한 공격권을 많이 잡는 등 운이 좋지 않은 이상에야, 샐러맨그레이트는 전생 소환한 썬라이트울프와 로어 이외에 확실히 준비할 수 있는 견제 수단이 없다. 속도가 빠르지 않았던 10기 중후반 환경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카드 1장의 파워가 매우 강해진 11, 12기의 티어 덱들을 상대로는 로어 하나로는 어림도 없다. 때문에 부족한 퍼미션을 패유발과 범용 카드에 크게 의존하는 편이다.[8]

  • 높은 운영 난이도
단순히 기본 전개 루트만 보자면, 샐러맨그레이트는 초동으로 필요한 필수 카드 수도 적고 루트 역시 단순해서 난이도 자체는 쉬워보인다. 그러나 상술했듯 이 덱은 메인 기믹에서 마련할 수 있는 억제력의 개수가 불충분하고, 상당수의 범용 카드에 대해 내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대의 퍼미션을 적절히 피해야만 하고 온전히 집을 짓는 데에 성공하더라도 한 번밖에 쓸 수 없는 로어로 상대의 핵심적인 카드를 정확히 짚어 무효로 해야하기 떄문에 실질적인 운영 난이도는 상당히 높다. 끊을 곳을 정확히 알고 플레이해야만 상기 언급한 장점을 다 끌어낼 수 있으며 그렇지 못한 샐러맨그레이트로는 승리를 따내기 어렵다. 때문에 자신의 덱을 운용하는 실력은 물론이고, 해당 분기의 게임 환경 및 상대의 덱에 대한 이해도, 게임의 흐름을 읽어내는 능력까지 요구되어 초심자에게는 추천되지 않는다.

  • 여유 스페이스가 없는 엑스트라 덱
전생 링크라는 기믹의 특성상 주로 사용하는 테마 내 링크 몬스터들은 거의 무조건 3장 사용하는데다가, 사이버스족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 스플래시 메이지/디코드 토커 히트소울/업데이트 재머/트랜스코드 토커/액세스코드 토커까지 필수로 1장씩 채용하므로 엑스트라 덱 구성이 매우 빡빡하다. 심지어 폭염듀에서 샐러맨그레이트 레이징 피닉스를 받은 후로는 안그래도 부족한 엑스트라 덱에 이 카드까지 2~3장 쓰다보니 트랜스코드 토커No.41 이수마수 바구스카처럼 없으면 안되는 정도는 아니지만 특정 상황에서 높은 밸류를 내는 카드는 사이드 덱으로 빼기도 하며, 메인 기믹의 핵심인 베일링크스나 썬라이트울프까지 2장으로 줄이는 경우도 많다.

  • 극도로 아프게 들어오는 일반 소환권 견제
샐러맨그레이트의 후공 플레이에서 드러나는, 이 덱의 가장 치명적인 약점 중 하나다. 리볼트로 등장하는 트라이브리게이드 흉조 슈라이그스프라이트 스매셔즈, 빙검룡 미라제이드처럼 프리 체인으로 일반 소환권을 자를 수 있는 테마들과 상성 관계를 만드는 요소. 전열이면 금지된 일적같은 무효 계열로, 후열이면 마함제거류로 치운 다음 플레이하는 것이 강제되며, 이 카드들을 잡지 못하면 그 시점에서 게임이 불리하게 흘러간다. 때문에 일반소환권이 날아가도 필드에 개체 수를 남길 수 있도록 해주는 프레임 버팔로나 2장째 하트, 미어 등을 채용하는 편.[9]

  • 고타점/내성을 갖춘 몬스터에 대한 대응력 부족
아이:피 마스카레나를 소재로 소환된 잭나이츠 파라디온 아스트람,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 사이코 엔드 퍼니셔처럼 높은 타점과 강력한 내성을 갖춘 몬스터를 뚫을 메인 기믹이 전무하다. 그나마 대상 지정 내성이거나 타점만 좀 낮으면 금지된 일적, 액세스코드 토커를 통해 돌파할 수 있겠으나, 그 이외의 케이스는 파괴수 외에 해결할 방법이 없어 무력하게 당해야한다.

2.3. 유희왕 마스터 듀얼[편집]


시크릿 팩 "불타오르는 불굴의 영혼"에서 모든 샐러맨그레이트 카드를 얻을 수 있고, 액세스코드 토커를 포함한 사이버스족 서포트 카드는 시크릿 팩 "폭풍 속에서 나타난 전사"에서 획득할 수 있다. 테마 내 Live2D 연출은 샐러맨그레이트 히트라이오에게 있다. 2022년 10월에 출시된 샐러맨그레이트 스트럭처 덱인 "버닝 스피릿"에서 미라지스탤리오를 제외한 핵심 소스를 모두 구할 수 있게 되어 기본적인 범용 카드만 어느 정도 갖추고 있으면 1500젬으로 덱을 완성할 수 있다.[10]

마스터 듀얼에서는 핵심 카드인 샐러맨그레이트 가젤의 제재 수위가 2022년 8월에 준제한으로[11], 2023년 2월에 무제한으로 완화되었다.

샐러맨그레이트는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 카드들이 본격적으로 마스터 듀얼에 실장되기 시작하면서 파워 인플레이션에 점점 밀려나고 있지만, 높은 초동률과 넓은 덱 스페이스로 인한 훌륭한 안정성, 사이버스 특유의 강력한 킬 결정력 덕분에 무난하게 강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현재는 환경권 덱과의 체급 차이가 크게 벌어져 티어에서는 탈락했고 어트리뷰트4, 레전드 앤솔로지, 링크 페스티벌 등의 이벤트 듀얼에서 꾸준히 활용할 수 있는 소위 국밥덱의 포지션을 가지고 있다. 오프라인에서 발매된 폭염의 듀얼리스트 팩에서의 지원이 예고되어있어 미래시는 나쁘지 않은 편.

실질적인 운영 난이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지만, 상술했듯 스트럭처 덱 3개만 구매하면 빠르게 덱을 마련할 수 있어 뉴비들에게 첫 덱으로 자주 추천되기도 한다. 솔로 모드나 브론즈/실버/골드와 같은 랭크게임 하위 티어에서는 숙련도가 낮더라도 초동률과 킬 결정력만으로 굴릴 수 있고, 쉽게 젬을 수급할 수 있기 때문.

2.4. 유희왕 듀얼링크스[편집]


2022년 9월에 브레인즈 월드가 추가되며, 소울버너가 시작 캐릭터로 등장하면서 출시되었다. 전반적으로 오프에 비해 스킬이라는 요소가 크게 작용하는 듀얼링크스에서 스킬에 거의 의존하지 않고 레벨업으로 가젤과 로어가 1장씩 풀린데다가 첫 팩에 레이디 디버거, 사이바넷 마이닝 등의 궁합이 좋은 카드들이 출시되고 샐러맨그레이트 카드 역시 많은 수가 풀려 초동이 안정적이고 범용 스페이스도 많다는 장점덕에 기존 티어권 덱들을 밀어내고 0티어를 거머쥐었다.

그러나 순수 기믹만으로는 여러 내성을 가진 고타점 몬스터에 대한 돌파력이 떨어져 성잔전사 닝기르수를 채용하기도 하며, 레벨 4 몬스터 채용도를 활용하여 랭크 4 엑시즈 몬스터들 중 고타점 몬스터들인 No.70 데들리 씬,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을 채용하기도 하며, 묘지 견제용으로 심연에 숨은 자를 채용하기도 한다.

2022년 11월에 출시한 BRAVER VICTORY 박스에서 잭나이츠 카드가 풀리며, 고레벨 특수소환에 의존하는 잭나이츠덱을 저격하기 위해 인벨즈 로치까지도 채용하기까지도 한다.

덧붙여서, 자신 필드의 몬스터 숫자만큼 공격력을 높여주는 스킬인 구속의 끈 스킬과의 시너지가 좋다는 게 연구되며, 소울버너보다는 구속의 끈 스킬을 사용 가능한 다른 캐릭터들을 채용하는 샐러맨그레이트덱이 랭킹듀얼에서 티어권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2022년 12월 8일 금제목록에 핵심 카드인 가젤과 로어가 둘 다 제한 1로 정해지며, 더 이상 가젤로 로어를 묘지에 묻고 팔코 묘지효과 혹은 선라이트울프 전생소환으로 로어를 꺼내오는 콤보는 사용 못하게 되었으며, 이외에도 서클이 3제, 레이디 디버거가 2제, 같이 사용되던 에너미 컨트롤러가 1제가 되는 등 강력한 제재를 받게 되며 0티어였던 덱파워는 2티어로 내려오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강력하여 2023년 2월 27일 금제 목록에서 추가로 베일링크스가 2제로 올라갔으며, 레이디 디버거와 금제가 겹치기 때문에 둘 중 하나를 포기하거나, 1장씩 채용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전체적인 운영 난이도는 높은 편.

3. 효과 몬스터 (튜너)[편집]



3.1. 레벨 3[편집]



3.1.1. 샐러맨그레이트 위젤[편집]


파일:転生炎獣ウィーゼ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샐러맨그레이트 위젤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ruby>転生炎獣<rp>(</rp><rt>サラマングレイト</rt><rp>)</rp></ruby>ウィーゼル,
영어판 명칭=Salamangreat Weasel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3, 속성=화염,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700, 수비력=14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샐러맨그레이트" 몬스터가 2장 이상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 필드에 "샐러맨그레이트" 의식 /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이 카드 이외의 자신 묘지의 "샐러맨그레이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덱 맨 아래로 되돌리고\, 대상 몬스터를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자신 묘지에 샐러맨그레이트 몬스터가 2장 이상일 경우 간단히 패에서 나오는 튜너 몬스터. 패에서 내릴 수 있는 공격권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3레벨이라 미라지스탤리오의 소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한 효과라고 볼 수 있다.

묘지에 있는 상태에서 다른 샐러맨그레이트 의/융/싱/엑/링 소환을 했을 경우, ②의 효과로 상대 필드에 묘지의 다른 샐러맨그레이트 몬스터를 떠넘기고 드로우를 할 수 있다.[12] 샐러맨그레이트에는 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처럼 필드에 있으면 거슬리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는 없지만 상대에게 몬스터를 넘겨줌으로써 길항승부, 무한포영, 크샤트리라 펜리르처럼 필드가 비어있어야 패에서 혼자 제기능을 수행하는 카드를 차단하거나 썬라이트울프의 링크 마커 앞에 소환하여 샐비지 효과를 격발시키는 트리거로 기능할 수 있어 활용 가치가 높은 카드다. 이 카드 덕분에 선공에 어전시합/군웅할거와 조합하여 상대의 전개를 틀어막는 플랜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13]

모티브는 족제비(weasel).

3.2. 레벨 5[편집]



3.2.1. 샐러맨그레이트 티거[편집]


파일:転生炎獣ティガ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샐러맨그레이트 티거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ruby>転生炎獣<rp>(</rp><rt>サラマングレイト</rt><rp>)</rp></ruby>ティガー,
영어판 명칭=Salamangreat Tig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5, 속성=화염,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2000, 수비력=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에서 다른 "샐러맨그레이트" 카드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이 카드를 화염 속성 싱크로 몬스터의 싱크로 소재로 할 경우\, 이 카드를 튜너 이외의 몬스터로 취급할 수 있다.,
효과3=③: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레벨을 1개 올리거나 내린다.)]
패에 있는 다른 샐러맨그레이트 카드 1장을 버리고 특수 소환할 수 있는 튜너 몬스터. 화염 속성 싱크로 몬스터의 소재로 할 경우 비튜너 소재로 취급할 수 있고, 메인 페이즈에 레벨을 1 조정할 수 있어 유연한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다.

단점은 사이바넷 마이닝, 레이디 디버거, 샐러맨그레이트 오브 파이어로는 서치할 수 없다는 것. 때문에 단순히 공격권을 늘리는 데에는 미어의 성능이 더 좋지만, 자체 특소 가능한 고레벨 튜너라는 점 덕분에 강력한 범용 싱크로 몬스터인 플뢰르 드 바로네스의 소환이 용이하다는 차별점이 있다.[14]

모티브는 호랑이(tiger).

4. 효과 몬스터 (非 튜너)[편집]



4.1. 레벨 1[편집]



4.1.1. 샐러맨그레이트 라쿤[편집]


파일:転生炎獣ラクー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샐러맨그레이트 라쿤,
일어판명칭=<ruby>転生炎獣<rp>(</rp><rt>サラマングレイト</rt><rp>)</rp></ruby>ラクーン,
영어판명칭=Salamangreat Raccoon,
속성=화염,
레벨=1,
공격력=400,
수비력=8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샐러맨그레이트"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의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때\, 이 카드를 패에서 묘지로 보내고\, 그 전투를 실행하는 몬스터 2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대상의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만큼만 자신의 LP를 회복한다. 이 턴에\, 대상의 자신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의 "샐러맨그레이트" 몬스터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여 묘지로 보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 넣는다.)]

모티브는 라쿤.

①의 효과로 LP를 회복하고 ②의 효과로 패로 되돌려 지속적으로 LP를 관리하는 카드. 샐러맨그레이트가 중후반부를 노리는 덱이지만, 샐러맨그레이트 로어를 필두로 견제하며 전개하는 덱이라 LP 관련 카드는 아직 이점이 없다.

원작에서는 발동 후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상대는 카드를 발동할 수 없는 효과가 있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스트럭처 덱 -소울 버너-SD35-KR001노멀 패러렐 레어한국한국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ソウルバーナー-SD35-JP001노멀 패러렐 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SoulburnerSDSB-EN001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4.1.2. 샐러맨그레이트 몰[편집]


파일:転生炎獣モ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샐러맨그레이트 몰,
일어판명칭=<ruby>転生炎獣<rp>(</rp><rt>サラマングレイト</rt><rp>)</rp></ruby>モル,
영어판명칭=Salamangreat Mole,
속성=화염,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이 링크 몬스터의 링크 소환에 성공한 턴의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패의 이 카드를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묘지의 "샐러맨그레이트" 카드 5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덱에 넣고 셔플한다. 그 후\, 자신은 덱에서 2장 드로우한다.)]

모티브는 두더지.

①의 효과는 링크 소환한 턴에 이 카드를 링크 앞에 특수 소환하는 효과. 이 카드가 패에 있어야 하는 상태에서 링크 소환까지 해야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번거로움이 있다. 간단한 조건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다른 샐러맨그레이트가 많기에 이 카드를 굳이 투입할 필요는 없다.

②의 효과가 메인인데, 간단히 말해 샐러맨그레이트 버전 탐욕의 항아리. 필드에 몬스터가 없어야 되는 추가 조건도 있지만,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라 묻어두기만 하면 원할 때 발동 가능하고 드로우 2장까지 할 수 있는 게 강점. 다만 묘지 자원도 꾸준히 활용하는 샐러맨그레이트를 고려해 입맛에 따라 1장 정도 채용 가능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스트럭처 덱 -소울 버너-SD35-KR002노멀 패러렐 레어한국한국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ソウルバーナー-SD35-JP002노멀 패러렐 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SoulburnerSDSB-EN002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OTS Tournament Pack 10OP10-EN006슈퍼 레어미국

4.2. 레벨 2[편집]



4.2.1. 샐러맨그레이트 미어[편집]


파일:転生炎獣ミー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샐러맨그레이트 미어,
일어판명칭=<ruby>転生炎獣<rp>(</rp><rt>サラマングレイト</rt><rp>)</rp></ruby>ミーア,
영어판명칭=Salamangreat Meer,
속성=화염,
레벨=2,
공격력=800,
수비력=6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드로우 이외의 방법으로 패에 넣어졌을 경우\, 이 카드를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패에서 이 카드 이외의 "샐러맨그레이트" 카드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일반 드로우 이외의 방법으로 패에 넣어지거나, 이 카드 이외의 샐러맨그레이트 카드 1장을 버리면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카드.

서클, 폭시, 샐오파의 서치나 팔코의 묘지 소생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으며 패에서 아무 샐러맨그레이트 카드 하나만 버리면 능동적으로 필드에 낼 수 있으므로 공격권으로서의 성능이 좋은 편이다. 일반 소환권이 잘릴 경우 게임이 힘들어지는 샐러맨그레이트의 특성 때문에 사이바넷 마이닝까지 사용하여 미어를 끌어와 부족한 공격권을 충당하기도 한다.

애니메이션에선 높은 전개력, 히트라이오의 효과와 궁합이 맞는 낮은 공격력으로 소울버너가 초반에 많이 사용한 몬스터였지만, 가젤과 베일링크스가 그 역할을 대체하여 나오지 않게 되었다.

모티브는 미어캣.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소울 퓨전SOFU-KR002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스트럭처 덱 -소울 버너-SD35-KR007노멀한국
SOUL FUSIONSOFU-JP002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ソウルバーナー-SD35-JP007노멀일본
Soul FusionSOFU-EN002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SoulburnerSDSB-EN007노멀미국

4.2.2. 샐러맨그레이트 오브 파이어[편집]


파일:サラマングレイト・オブ・ファイ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샐러맨그레이트 오브 파이어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サラマングレイト・オブ・ファイア,
영어판명칭=Salamangreat of Fir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화염, 레벨=2, 공격력=800, 수비력=8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샐러맨그레이트 오브 파이어"가 아닌\, 레벨 4 이하의 "샐러맨그레이트"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화염 속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의 사이버스족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스텝 개시시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 몬스터를 파괴한다.)]
아치치@이그니스터가 샐러맨그레이트로 변한 모습. 스테이터스, 소속 카드군을 서치하는 ①의 효과, 완전히 같은 ②의 효과에서 공통점이 보인다. 카드명이 여타 샐러맨그레이트 마법/함정 카드에 붙어 있던 '~오브 파이어'로 작명되어 있으며, 구체 디자인을 생각하면 오브(orb)와의 중의성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약칭은 샐오파.

①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 동명 이외의 하급 샐러맨그레이트를 서치할 수 있는 효과. 상당히 귀한 능동적인 서치 요원으로, 레이디 디버거와 달리 하트의 소생 범위에 포함되며, 가젤의 특소 효과에 필드 마법 사용을 강제하지 않는데다가 서클로 서치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초동으로 쓰거나 썬라이트울프로 회수해 후속을 도모하는 등, 높은 가치를 지닌 효과. 미라지스탤리오를 통해 덱에서 특수 소환했을 때의 밸류가 특히 뛰어나다.[15]

다만 샐러맨그레이트가 속성이 통일된 테마라고는 해도, 사이버스족 범용 카드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화염 속성 특수 소환 제약은 상당히 무겁다. 선공에는 패유발에 대한 착지점 내지 저점인 스플래시 메이지 - 디코드 토커 히트소울을 사용할 수 없고, 후공에는 액세스코드 토커를 통한 킬 플랜이 막히기 때문. 현재는 덱에 있는 비 화염 속성 몬스터의 수를 줄이고 3장까지 사용하거나, 타 속성 몬스터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아예 사용하지 않는 식으로[16] 레시피 구축의 방향성이 갈리고 있다.

②는 아치치와 동일한 효과. 아치치가 파이어 피닉스와의 연계를 노렸다면 이쪽은 샐러맨그레이트 레이징 피닉스와의 연계를 상정한 것이다. 이 효과를 쓰면 조금 더 능동적으로 레이징 피닉스의 2번 효과를 활용할 수 있다.

수록 시리즈
2023-05-27 |
파일:일본 국기.svg

DP28-JP001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爆炎のデュエリスト編-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4.3. 레벨 3[편집]



4.3.1. 샐러맨그레이트 폭시[편집]


파일:転生炎獣フォクシ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샐러맨그레이트 폭시,
일어판명칭=<ruby>転生炎獣<rp>(</rp><rt>サラマングレイト</rt><rp>)</rp></ruby>フォクシー,
영어판명칭=Salamangreat Foxy,
속성=화염,
레벨=3,
공격력=1000,
수비력=12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넘긴다. 그 중에서 "샐러맨그레이트" 카드 1장을 골라 패에 넣을 수 있다. 남은 카드는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필드에 앞면 표시의 마법 / 함정 카드가 존재할 경우\, 패에서 "샐러맨그레이트" 카드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그 후\, 필드의 앞면 표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골라 파괴할 수 있다.)]

①은 덱 탑 3장을 확인한 후 그 중에 있는 샐러맨그레이트 카드를 서치하는 효과. 덱에 들어있는 샐러맨그레이트 카드 매수를 감안하면 밸류 자체는 높은 편이나 확률적 요소가 심하고, 일반 소환 시 한정이므로 보통 초동이 마땅치 않을 때 쓰인다.

②는 패의 샐러맨그레이트 카드 1장을 코스트로 묘지에서 소생해 앞면 표시의 마법/함정 카드를 파괴하는 효과. 엄연히 묘지에서 처리가 실행되므로 스킬 드레인이나 센서 만별 같은 껄끄러운 카드도 쉽게 제거해준다. 히트라이오, 레이지와 더불어 샐러맨그레이트의 영속류 돌파 능력과 대응력을 높혀주는 훌륭한 효과. 이외에도 J재규어, 팔코처럼 패에 겹쳐 잡으면 곤란한 카드를 처리해 주는 것도 가능하고, 파괴 효과는 강제가 아니므로 선턴에 샐러맨그레이트 성역을 깔고 계속 전개하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모티브는 여우.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소울 퓨전SOFU-KR003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스트럭처 덱 -소울 버너-SD35-KR008노멀한국
SOUL FUSIONSOFU-JP003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ソウルバーナー-SD35-JP008노멀일본
Soul FusionSOFU-EN003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SoulburnerSDSB-EN008노멀미국

4.3.2. 샐러맨그레이트 폭서[편집]


파일:転生炎獣フォクサ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샐러맨그레이트 폭서,
일어판명칭=<ruby>転生炎獣<rp>(</rp><rt>サラマングレイト</rt><rp>)</rp></ruby>フォクサー,
영어판명칭=Salamangreat Foxer,
속성=화염,
레벨=3,
공격력=1200,
수비력=10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샐러맨그레이트" 몬스터가 3장 이상일 경우\, 이 카드를 패에서 묘지로 보내고\, 자신 묘지의 "샐러맨그레이트" 링크 몬스터 1장과 상대의 마법 & 함정 존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대상 묘지의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고\, 대상 필드의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상대의 마법 & 함정 존의 카드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모티브는 폭시와 같은 여우. 폭시는 수컷이고 이 카드는 암컷인 듯하다. 이미지와 공격력 / 수비력도 폭시의 것을 반전한 것이다.

원작에선 ①의 효과를 묘지에 "샐러맨그레이트" 링크 몬스터 3장 이상 존재해야 발동할 수 있었지만, OCG화 되면서 모든 샐러맨그레이트 몬스터에 대응하게 되면서 발동 조건이 상당히 쉬워졌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새비지 스트라이크SAST-KR005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SAVAGE STRIKESAST-JP005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Savage StrikeSAST-EN005노멀미국미국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SoulburnerSDSB-EN013노멀미국


4.3.3. 샐러맨그레이트 가젤[편집]


파일:転生炎獣ガゼ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샐러맨그레이트 가젤,
일어판명칭=<ruby>転生炎獣<rp>(</rp><rt>サラマングレイト</rt><rp>)</rp></ruby>ガゼル,
영어판명칭=Salamangreat Gazelle,
속성=화염,
레벨=3,
공격력=1500,
수비력=10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샐러맨그레이트 가젤" 이외의 "샐러맨그레이트" 몬스터가 자신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샐러맨그레이트 가젤" 이외의 "샐러맨그레이트"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낸다.)]



화염을 두른 가젤.

그 화염은 듀얼리스트의 투지에 응답하는 것 처럼, 격렬히 불타오른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메이트의 플레이버 텍스트.
































































나와라, 광기에 사로잡힌 하나의 영혼 아래, 흉악한 짐승들의 무기가 모인 육체를 자랑하는 마수여! 융합 소환! 샐러맨그레이트 바이올렛키메라!



















엑시즈 소환! 환상을 잘라내는 작렬의 야생마! 랭크 3! 샐러맨그레이트 미라지스탤리오!






















































































































[1] 장기전에 강하다는 것은 역으로 장기전으로 게임을 끌고 갈 역량이 안 되는 사람이 잡으면 진정한 힘을 발휘할 수 없다는 뜻이다.(이는 드래곤메이드얼터가이스트 등에게도 전부 해당하는 이야기이다.) 특히 샐러맨그레이트는 1턴당 견제 횟수가 대단히 한정적이라 상대 덱의 어디를 찔러야 아픈지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2] 이 과정에서 일소권을 사용하므로 서포트 카드로 일소권이 겹치는 레이디 디버거보단 잭재규어나 스피니를 묘지로 보낼 수 있는 프레임 버팔로를 사용하는 편이다.[3] 속공 마법인 샐러맨그레이트 차지를 사용하면 기존에는 건드릴 수 없었던 제외 자원도 회수 가능하다.[4] 필수 자원의 소모없이 모두 회수하는 구조는 같은 운영 테마들만 놓고봐도 두드러지는 장점인데 썬더 드래곤은 기믹상 운영에 썬더 드래곤 퓨전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이를 전부 소비하면 순환 능력에 큰 문제가 생기며, 섬도희의 경우 마법 재사용의 핵심인 멀티롤이 재사용한 카드를 제외하는 구조이므로 게임이 질질 끌리게 되면 자원이 고갈될 우려가 있다.[5] 필드 마법인 샐러맨그레이트 성역이 그나마 불순물에 가깝지만, 이 카드 또한 베일링크스로 서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패에 잡는게 불쾌한 것이지 그 턴에 패에서 기능을 아예 못하는 다른 말림패보다는 훨씬 낫다.[6] 후공에는 G를 맞고 킬을 위해 달린다는 선택지라도 있지만 선공에는 G 통과 시 움직임을 멈춰야하며, 니비루의 경우 미어와 하트, 폭염듀에서 받은 위젤처럼 추가 소환권이 있긴 하나 플레이할 때 니비루를 신경쓰지 않으면 맞았을 때 피해가 치명적이다.[7] 자체 기믹으로 상대 묘지를 견제할 수 있는 섀도르후완다리즈는 특히나 위협적인 상대다.[8] 그나마 폭염의 듀얼리스트 팩에서 받은 샐러맨그레이트 레이징 피닉스가 덱에서 샐러맨그레이트 카드를 아무거나 가져올 수 있어 로어 뿐만 아니라 레이지까지 확보 가능하므로 예전보다는 고점이 좋다. 다만 이것도 사실상 최고점이고, 패유발까지 감안하면 둘다 가져오는 것은 무리가 있기 때문에 유효한 퍼미션 횟수를 늘리기 위해 범용 카드에 의존한다는 단점은 여전하다.[9] 버팔로는 패에서 샐러맨그레이트를 버리고 드로우를 시켜주기 때문에 2장 드로우로 상기한 일적/마함제거류를 뽑아내는 변수를 만들수도 있고 가젤 효과의 트리거가 되므로 필드에 몬스터도 남길 수 있다.[10] 뿐만 아니라 사이버스족 범용 카드인 사이바넷 마이닝, 디코드 토커 히트소울까지 포함되어있어 엄청난 혜자 스트럭처 덱으로 평가받는다.[11] 같은 해 10월에 출시한 샐러맨그레이트 스트럭처 덱 "버닝 스피릿" 판촉을 위한 제재 완화이지만, 그 당시 오프라인에서는 여전히 제한으로 남아있었기 때문에 상당히 주목을 받았다.[12] 덱에 들어가는 불순물이 매우 적으며 패에 테마 내 카드가 많을수록 플레이의 가짓수가 많아지는 샐러맨그레이트 특성상 1장이더라도 드로우 밸류가 높아, 프레임 버팔로디코드 토커 히트소울이 그렇듯 매우 유용한 효과다.[13] 물론 지원 전에도 두 카드는 사용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영속류는 맞는 덱과 맞지 않는 덱이 구분되어있어 함부로 사용하기 어렵다. 그러나 위젤이 상대적으로 마이너한 속성/종족인 화염/사이버스 몬스터를 넘긴 다음 락을 성립시키므로 돌파가 굉장히 힘들며, 심지어 필드 마법인 성역의 효과 때문에 넘겨준 몬스터를 자폭시키는 것 또한 불가능하여 매우 유효한 플랜으로 평가받는다.[14] 다만 바로네스를 소환하는 것은 샐러맨그레이트 오브 파이어의 제약과 충돌하므로 플레잉이나 덱 구축에 주의가 필요하다.[15] 이 카드 1장으로 레이징 피닉스의 전생 소환까지 가능하며, 이것으로 하트를 서치하고 하트의 2번 효과로 묘지에서 4체를 소생시킨 다음 파이어피닉스@이그니스터와 베일링크스를 링크 소환하면 샐오파의 2번 효과까지 사용하여 킬 데미지를 성립시킬 수 있다. 덕분에 후공 밸류도 꽤나 오른 편.[16] 다만 미라지스탤리오로 나오는 밸류를 감안해 1장은 넣는 경우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