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미역

덤프버전 :

예미역
민둥산
17.9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Yemi
한자
禮美
간체자
礼美
가나
礼美(イェミ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함백로 55
(예미리 200-1)
관리역 등급
보통역
(민둥산역 관리/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운영 기관
태백선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태백선
1957년 3월 10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A-train
2015년 1월 22일

철도거리표
태백선
예 미
기점
함백선
예 미
禮美驛 / Yemi Station

파일:예미역.jpg

현 역사(1977년 준공)
1. 개요
2. 특성
2.1. 운전취급
3. 역 주변 정보
4. 승강장
5. 일평균 이용객
6. 시간표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산 이름도, 마을 이름도, 역 이름도 '예미'

예미역이 위치한 예미마을은 그 이름처럼 예미산 아래에 있는 마을이란 의미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당시, 여미산을 지금의 예미산으로 바꿔 부르는 과정에서 마을 이름이 되었다. 산과 마을, 역의 이름이 같은 셈이다. 이름처럼 예미역은 탄광의 석탄과 철광석을 나르던 산의 역사(驛舍)이다. 예미역과 조동역 사이의 구간은 대한민국 철도 중에서 가장 가파른 구간으로 때문에 과거에는 피난선이 설치, 위급 상황을 위한 구원 목적으로 보조 기관차가 항상 대기하고 있었다고 한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태백선함백선이 분기하는 정거장으로 1면 7선의 규모이다.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함백로 55(예미리 200-1번지)에 위치해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깊숙이 들어왔는데도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가 아닌 대전충청본부 관할인 것이 특이점. 실제로 태백선추전역부터 강원본부 관할이고 고한역까지는 전부 대전충청본부에 속한다.


2. 특성[편집]


1일 14회 무궁화호정선아리랑열차가 정차하고 있다. 태백선치고는 굉장히 많은 편이다.

이곳부터 자미원역까지는 약 30퍼밀[1]대한민국 철도에서 가장 가파른 구간이다 보니 피난선이 설치되었고 보조 기관차 또한 항시 대기하고 있었다.[2] 이후 동력차 성능이 고도화됨에 따라 2009년에 피난선이 철거되고 보조 기관차 사업도 종료되었다.

과거 태백선이 완전 개통 되지 않았을 때는 함백역까지 가는 함백선이 태백본선이었지만, 지리적 특성상 함백역에서 바로 연장하기가 너무 어려워서 예미역에서 조동신호장으로 신선을 부설하고, 예미~함백 구간은 함백선이라는 별개의 지선이 되었다. 그러나 이 구간이 경사가 너무 심해 결국 함백역 동쪽에 루프 터널을 새로 관통하여 조동신호장까지 연결하게 되었다. 결국 예미~조동 구간은 영동선동해역~묵호역 구간과 비슷하게 2개의 노선이 병행하는 구간이 되었다.

이 역과 조동신호장 사이의 태백선 본선 구간은 조동철교로 이어지며, 이곳부터 태백역까지 고도가 높아진다.

화물 취급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주 취급은 무연탄과 백운석을 취급한다.

2021년 10월부로 승차권 차내취급역으로 전환되어 승차권 발권이 중지되었다. 코레일톡이나 네이버 승차권, 카카오T를 이용하거나 열차에 탑승하여 열차 승무원에게 발권받아야 한다.[3]


2.1. 운전취급[편집]


예미역부터 자미원역까지의 구간은 구배가 상당하고 조동신호장의 경우 태백본선은 대피가 불가능하다 보니 운전 취급 지침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예미역장은 열차 운전 취급 시 다음 사항을 따라야 한다.

1. 예미역에서 태백선 상·하 열차와 함백선 상·하 열차가 각각 지정 선로로 상호 경합 시에는 상행 열차를 우선 취급 할 것
2. 예미역에서 태백본선 상행 열차와 함백선에서 태백본선으로 진입하는 열차가 상호 경합 시에는 태백본선 열차를 우선 취급 할 것
3. 예미역~조동신호장 간 태백본선 하행 열차와 자미원역~조동신호장 간 태백본선 상행 열차를 운전시킬 때는 예미역~자미원역 간에 1개 열차만 운전 취급 할 것
4. 예미역장은 함백선을 경유하는 상행 열차와 태백본선 하행 열차가 조동신호장에서 교행하는 경우는 하행 열차를 조동신호장에서 정지시키지 않도록 운전 정리를 할 것
5. 태백본선 및 함백선을 경유하는 하행 열차가 조동신호장에서 열차 시각이 경합되는 경우에는 태백본선 하행 열차를 우선 취급 할 것


3. 역 주변 정보[편집]


38번 국도(강원남로)와 태백선 철도가 제천역에서 여기까지 나란히 붙어서 온다. 그러나 예미역부터 민둥산역까지는 38번 국도와 태백선 철도가 015B의 "안녕은 영원한 헤어짐은 아니겠지요 다시 만나기 위한 약속일 거야"를 외치며 갈라진다. 자미원역이 있는 수리재가 구주령 저리 가라 할 정도로 너무 험악해서 38번 국도가 수리재를 지나는 것을 포기했기 때문이다. 38번 국도는 마차령(해발 800m, 가사리)으로 올라가며, 철도는 험악한 수리재를 정면 돌파 한다. 민둥산역에서 만난다. 수리재는 자미원길이라는 이름으로 421번 지방도가 지나가는데, 구주령에서 공도 레이싱을 즐기는 미친놈들도 수리재에서는 공도 레이싱을 절대 하지 않는다. 그 정도로 목숨 내놓는 고개이기 때문이다.

예미역 주변으로는 신동우체국, 신동대체산업단지, 신동119안전센터, 신동읍 행정복지센터가 있으며, 38번 국도와 붙은 쪽에 예미 농공단지와 샤론농원, 신동 졸음쉼터가 있다.


4. 승강장[편집]


민둥산




영월


태백선·정선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

A-train
]]
제천·원주·청량리 방면

태백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사북·태백·동해 방면
정선선
[[정선아리랑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6e3f; font-size: .9em"
A-train]]
민둥산·정선·아우라지 방면

5.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무궁화호|

무궁화호
]]
비고
2004년
119명

2005년
124명

2006년
112명

2007년
114명

2008년
105명

2009년
100명

2010년
96명

2011년
98명

2012년
106명

2013년
112명

2014년
108명

2015년
96명

2016년
93명

2017년
89명

2018년
88명

2019년
90명

2020년
59명

2021년
61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1] ‰(천분율), 30퍼밀은 1km마다 30m씩 고도가 높아짐을 의미함[2]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경우처럼 괴물 같은 급구배 구간이 여럿 생긴 2017년 지금에서도 일반 열차가 골고루 운행하는 간선 철도에서는 아직도 이곳이 최급구배 지역 중의 하나이다.[3] 차내 승차권 발권 시 코레일 멤버십 이용 실적은 적립되지 않으므로 이용 실적 적립을 하려면 레츠코레일 홈페이지, 코레일톡이나 타 유인역에서 발권하면 된다.


6. 시간표[편집]


[[무궁화호|

무궁화호
]] (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 번호
종착역
07:49
무궁화
1632
청량리
11:25
무궁화
1642
제천
14:08
무궁화
1634
청량리
17:24
무궁화
1636
청량리
20:18
무궁화
1638
청량리

[[무궁화호|

무궁화호
]] (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 번호
종착역
10:25
무궁화
1631
동해
12:22
무궁화
1633
동해
14:56
무궁화
1635
동해
16:08
무궁화
1641
동해
21:51
무궁화
1637
동해

[[정선아리랑열차|

정선아리랑열차
]] (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 번호
종착역
19:20
정선아리랑열차
2542[4]
청량리

[[정선아리랑열차|

정선아리랑열차
]] (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 번호
종착역
10:56
정선아리랑열차
2541[5]
아우라지


7. 둘러보기[편집]


태백선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함백선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0:55:09에 나무위키 예미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4] 토, 일요일과 2, 7일에만 운행[5] 토, 일요일과 2, 7일에만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