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버스 순환54 (r1판)

편집일시 :

>
인천광역시
{{{#fff,#1f2023
[[틀:인천광역시 공항버스|

{{{#fff 공항
ㆍ[[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
광역
]]ㆍ[[틀:인천광역시 좌석버스|
>
좌석
]]ㆍ[[틀:인천광역시 급행간선버스|

급행
]]ㆍ[[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ㆍ[[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4px;"
지선
]]ㆍ[[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4px;"
마을]]


파일:인천 버스 535-1.png
535-1번 시절.순환54번 변경 이후.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순환54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인천광역시 남동구 운연동(운연동)종점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소래산입구)
종점행첫차06:00기점행첫차-
막차22:30막차-
배차간격40~55분(1일 20회)
운수사명성원운수인가대수2대
노선운연동 - 한양공구 - 연락골 - 운연역 - 임광그대가.서창자이아파트 - 서창도서관입구 - 남동체육관 - 남동중학교 - 담방로사거리 - 장수초등학교 - 인천대공원역 - 만의골입구 - 애보박물관 - 소래산등산로입구 - 청정주말농장 - 소래산입구


2. 개요[편집]


성원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3.39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535-1번 지선버스(운연동 - 동암역)가 전신이다. 535번에서 분리되었고, 당시에는 배차간격이 135분으로 길어서 하루 몇번은 만월중학교에서 출발하였다.

  • 이후 버스 환승체계가 정착되면서 장수동 출발로 단축되었다. 배차간격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70분에 육박하였다.

  • 2011년 12월 27일부터 운연동으로 올라올 때 동네를 한 바퀴 돌고 운행을 마치게 되었다. 다만 배차간격이 기존보다 10분 더 늘어났다.

  • 2016년 7월 30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운행횟수가 1일 12회로 늘어나서 배차간격이 50~70분으로 줄어들었다.

  • 2017년 4월 8일에 시간표가 조정됨과 동시에 535-1A번이 폐선되어 535-1번으로 통합되었다. 배차간격은 80분으로 조정되었다.

  • 2020년 12월 31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노선 번호가 순환54번으로 변경되었다. 노선은 편도로 운행하던 인천대공원역~장수초등학교 구간을 서창동 경유로 변경하여 장수사거리 - 장수초등학교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남동중학교 - 남동체육관 - 서창도서관 - 장수서창동행정복지센터 - 임광그대가.서창자이아파트 - 운연역 - 연락골 - 운연동 순으로 노선이 변경되고 운연동~백제엔지니어링 구간이 단축되었다. 1대가 증차되어 배차간격이 75~110분에서 40~50분으로 줄어들었다.개편 홍보문
파일:202010201450021371.jpg


4. 특징[편집]


  • 인천광역시와 시흥시 사이에서 끼어있어 소외되는 운연동을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으로, 운연동 주민들과 소래산 인근 부대 군인들의 발이 되고 있다. 이 노선이 없으면 운연동 주민들은 매우 긴 거리를 걸어가야 한다.

  • 운연동에서 출발하여 서창동과 만수동, 장수동을 돌아서 인천대공원후문 인근에 있는 소래산입구로 돌아오는 노선이다. 얼핏 보면 순환 노선 같지만 편도로 운행하는 노선이다.

  • 서창동, 만수동 같은 인구 밀집지역을 지나가지만 배차간격이 다른 노선에 비해 긴 편인지라 운연동 주민이나 노인들 외에는 잘 이용하지 않는다. 그 외에 인천만수고등학교 에서 타고 내리는 학생이 있다.

  • 배차간격이 긴 편이므로 이용시에는 미리 BIS를 확인하고 탑승하는 것을 권한다. 공식 배차간격은 50~60분이지만 70분 넘게 벌어지는 경우도 간혹 있다.



5. 연계 철도역[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