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군/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해남군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해남군·완도군·진도군



1. 선거구 정보
1.1. 군의회
2. 개요
3. 역대 선거 결과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해남군 CI.svg 전라남도 해남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해남군·완도군·진도군해남군 전역 + 완도군, 진도군 전역
도의원해남군1해남읍, 마산면, 황산면, 산이면, 문내면, 화원면
해남군2삼산면, 화산면, 현산면, 송지면, 북평면, 북일면, 옥천면, 계곡면

1.1. 군의회[편집]


[ 펼치기 · 접기 ]
제8대 의회
2018.7.1. ~ 2022.6.30.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9석, 군수 소속 정당
]]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svg

1석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1석
재적

11석



2. 개요[편집]


해남 출신으로 5선 의원 및 국회부의장을 역임한 김봉호의 지역구였다. 그러나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이정일 후보가 김봉호를 꺾는 파란을 일으켰고, 이정일은 재선에 성공했으나 상대 후보를 도청한 혐의가 인정되어 의원직을 상실하였다. 이후 채일병이 잠깐 국회의원직을 지냈으나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서 민화식 전 군수에게 공천에서 밀렸다. 그리고 무소속 후보인 김영록 후보가 민주당 후보인 민화식 후보를 꺾어버리면서 김영록 전 의원이 내리 재선을 하게 되었다.

군수를 살펴보면 민선 1기는 김창일 전 군수가 있었으며 민선 2·3기는 관선군수를 지낸 민화식 전 군수의 시대였다. 그런데 민화식 전 군수는 2004년에 박태영 전 전남지사가 검찰수사 도중 극단적인 선택을 하면서 재보궐선거가 된 전라남도지사에 출마하면서 도중에 사퇴하게 되었다. 그러나 민화식 전 군수는 전라남도지사 선거에서 박준영 전 국정홍보처장에게 밀려서 낙선하고 자신의 사퇴로 인해서 열린 재보궐선거에 나가지만 박희현 후보에게 밀려서 낙선하고 만다.

이렇게 해서 당선된 박희현 전 군수는 민선 4기에도 재선에 성공하였으나, 비리로 2007년에 군수직을 상실하고 말았다(...) 잔여 임기는 2007년 대통령 선거와 같이 열린 재보궐선거에서 김충식 후보가 당선되었지만, 김충식 전 군수 역시 전임자와 똑같이 비리로 인해 군수직을 사퇴하였다.

이후 민선 5기 해남군수는 박철환이 당선되었는데, 이 사람은 해남 지방직 9급 공무원을 지냈었던 입지전적인 인물로 재선에도 성공하였다. 하지만 감사원 감사로 인해 뇌물 수수를 통한 공무원들의 인사 평점을 조작한 것으로 밝혀져 검찰 수사를 받고 직권 남용, 허위공문서 작성, 뇌물 수수의 혐의로 구속 기소되었다. 2016년 10월 13일, 박철환 전 군수는 광주지방법원에서 열린 공판에서 1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았고, 2017년 형이 확정되면서 군수직을 상실하였다. 위의 선고와 선고에 따른 구속으로 인해 양재승 전 부군수가 군수 권한대행을 맡았다. 이후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명현관 후보가 당선되어 민선 7기 군정을 이끌고 있다. 그 후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후보자 없이 무투표 당선되면서 8기 군정까지 이끌게 되었다.

해남군수들은 대부분 결말이 좋지 않은데, 민선 1기의 김창일 정도를 빼면 연임에 성공하지만 꼭 2번째 임기 때에 사퇴, 당선 무효, 피선거권 박탈 등으로 이어지는 결말이 나왔으며, 그나마도 재보궐선거로 당선되더라도 재선을 못하는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임실군에 비해 조금 묻히는 감이 있지만, 이곳도 군수들의 무덤으로 악명이 높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해남군 CI.svg 해남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
해남군·진도군
13대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김봉호3선
14대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4선
15대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5선
16대
[[무소속|
무소속
]]
이정일초선
17대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재선[1]
2006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채일병초선
해남군·완도군·진도군
18대
[[무소속|
무소속
]]
김영록초선
19대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재선
20대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윤영일초선
21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윤재갑초선

파일:해남군 CI.svg 역대 해남군수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4 재보궐2006
민주당무소속새천년민주당민주당
김창일민화식[2]박희현[3]
2007 재보궐2010201420182022
대통합민주신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민주평화당더불어민주당
김충식 [4][5]박철환[6][7]명현관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김창일 47.57%

2위:
[[무소속|
무소속
]]
민화식 39.44%
1998년1위:
[[무소속|
무소속
]]
민화식 47.63%

2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김향옥 28.68%
3위:
[[무소속|
무소속
]]
김창일 23.67%
2002년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민화식 62.00%

2위:
[[무소속|
무소속
]]
홍성창 19.02%
3위:
[[무소속|
무소속
]]
김광호 18.96%
2004년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박희현 33.02%

2위:
[[무소속|
무소속
]]
민화식 29.04%
3위:
[[무소속|
무소속
]]
이석재 19.34%
4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민인기 12.40%
2006년1위: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박희현 56.01%

2위:
[[무소속|
무소속
]]
민화식 43.98%
2007년1위:
[[대통합민주신당|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충식 41.33%

2위:
[[무소속|
무소속
]]
이석재 35.37%
3위:
[[민주당(2007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정두채 23.28%
2010년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박철환 52.53%

2위:
[[무소속|
무소속
]]
이석재 47.46%
2014년1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박철환 61.75%

2위: 김병욱 38.24%
2018년1위: 명현관 54.99%
2위: 이길운 37.78%
2022년1위: 명현관 무투표 당선
[1] 2006.8.24. 의원직 상실(통신비밀보호법 위반).[2] 2004.5.21. 군수직 사퇴(전라남도지사 재보궐선거 출마).[3] 2007.10.2. 군수직 사퇴(뇌물 수수로 구속).[4] 2010.4.28. 군수직 사퇴(뇌물 수수로 구속).[5]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6] 2017.5.17. 군수직 상실(직권 남용 등).[7]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3.1. 지선[편집]


8회 지선 해남군 개표 결과
전라남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김영록이정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7,283
(80.75%)
4,180
(12.37%)
+ 23,103
(△68.38)
59.31%

{+1 [[파일:해남군 CI_White.svg}}} 해남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명현관(明炫官)무투표
당선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당선

3.2. 대선[편집]



3.2.1.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해남군
해남군 일원
정당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4,74741,882
득표율10.07%88.92%
순위2위1위
선거인 수65,070
투표 수47,639
무효표 수540
투표율73.21%

18대 대선 전남 해남군 개표 결과
정당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747
(10.07%)
41,882
(88.92%)
-37,135
(▼78.85)
73.21%
해남읍9.87%89.64%▼79.7773.63
삼산면10.42%88.75%▼78.3371.59
화산면9.90%88.93%▼79.0371.72
현산면9.91%89.24%▼79.3371.88
송지면8.97%89.94%▼80.9771.61
북평면9.35%89.47%▼80.1274.44
북일면7.81%91.23%▼83.4277.04
옥천면12.13%86.64%▼74.5172.94
계곡면10.87%87.70%▼76.8374.84
마산면9.07%89.88%▼80.8174.75
황산면9.65%89.65%▼80.070.29
산이면7.42%91.58%84.1669.07
문내면8.45%90.48%▼82.0371.56
화원면9.77%88.91%▼79.1469.62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24.43%74.81%▼47.38
국내부재자투표18.25%78.94%60.69


3.2.2.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해남군
해남군 일원[해남]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25,9011,15818,1577781,581
득표율53.94%2.41%37.81%1.62%3.29%
순위1위4위2위5위3위
선거인 수63,440
투표 수48,351
무효표 수340
투표율76.22%

19대 대선 전남 해남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5,901
(53.94%)
1,158
(2.41%)
18,157
(37.81%)
778
(1.62%)
1,581
(3.29%)
+7,744
(△16.13)
76.22%
해남읍55.25%2.38%35.86%1.86%3.80%△19.3974.87
삼산면50.44%2.61%41.48%1.35%3.13%△8.9674.19
화산면49.24%2.70%43.70%1.28%1.99%△5.5471.45
현산면49.33%2.47%42.78%1.08%2.63%△6.5573.67
송지면52.16%2.41%40.89%1.28%2.01%△11.2772.36
북평면55.95%2.06%36.58%1.52%2.92%△19.3776.45
북일면57.73%2.43%36.01%0.74%2.50%△21.7275.21
옥천면54.09%2.94%38.17%1.22%2.50%△15.9274.35
계곡면47.47%2.0%46.26%1.14%2.57%△1.21[8]73.79
마산면58.25%2.28%35.62%0.72%2.28%22.6373.91
황산면51.09%2.01%43.13%0.86%1.98%△7.9671.73
산이면51.03%2.14%42.81%0.89%2.14%△8.2270.71
문내면50.0%2.81%43.15%0.87%2.38%△6.8571.53
화원면46.34%2.32%47.11%0.82%2.18%0.77[9]70.80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50.82%4.10%35.25%2.46%3.69%△15.57
관외사전투표61.72%2.43%25.57%3.49%6.39%△36.15
재외투표67.67%3.76%22.56%2.26%3.76%45.11


3.2.3.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제20대 대통령 선거 전남 해남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42,071
(87.83%)
4,690
(9.79%)
37,381
(▲78.04)
해남읍
88.35%9.55%▲78.80
삼산면
88.05%9.75%▲78.30
화산면
87.83%9.88%▲77.95
현산면
88.88%8.99%▲79.81
송지면
88.51%8.80%▲79.71
북평면
89.06%8.84%▲80.22
북일면
90.78%6.70%▲84.08
옥천면
87.59%10.13%▲77.46
계곡면
89.65%8.56%▲81.09
마산면
88.71%9.13%▲79.58
황산면
89.62%8.22%▲81.40
산이면
89.94%7.76%▲82.18
문내면
90.04%8.19%▲80.85
화원면
88.02%9.82%▲78.10
후보이재명윤석열
거소·선상투표
84.00%8.22%▲75.78
관외사전투표
81.62%15.03%▲66.59
국외부재자투표
79.73%17.57%▲62.16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윤석열격차
해남군·완도군·진도군[10][A][11]89.09%9.00%▲80.09

3.3. 총선[편집]



3.3.1. 해남군·진도군[편집]



3.3.2. 해남군·완도군·진도군[편집]


21대 총선 해남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해남군·완도군·진도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윤재갑윤영일(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5,440
(62.88%)
14,429
(35.66%)
+ 11,011
(△27.22)
41,324
(67.21%)
해남읍58.16%40.93%△17.2363.27%
삼산면61.09%37.94%△23.1569.86%
화산면[12]56.09%42.37%△13.7265.45%
현산면60.51%38.06%△22.4469.11%
송지면60.73%37.97%△22.7564.48%
북평면65.75%32.70%△33.0571.43%
북일면69.18%28.99%△40.1971.09%
옥천면65.96%32.58%△33.3871.10%
계곡면60.70%37.98%△22.7270.31%
마산면67.24%30.51%△36.7365.41%
황산면66.09%31.96%△34.1361.99%
산이면67.70%30.24%△37.4659.46%
문내면63.33%34.78%△28.5664.60%
화원면67.46%30.19%△37.2762.48%
후보윤재갑윤영일격차
거소·선상투표57.27%37.77%△19.50
관외사전투표72.83%25.66%△47.17
재외투표92.30%7.69%△84.62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382
(3.57%)
22,786
(58.92%)
3,012
(7.78%)
1,120
(2.89%)
2,160
(5.58%)
+ 17,825
(△46.09)
41,329
(67.17%)
해남읍3.51%58.29%8.59%3.29%7.18%△46.0363.27%
삼산면3.66%59.67%7.26%3.77%5.37%△49.1469.86%
화산면4.59%57.28%7.34%2.07%3.41%△41.0965.45%
현산면3.88%60.56%6.88%1.97%5.38%△47.2869.15%
송지면2.43%60.80%6.11%2.62%3.96%△46.3264.48%
북평면3.82%58.02%6.32%1.73%4.47%△46.7571.47%
북일면3.12%60.03%6.00%2.13%3.28%△48.44[13]71.09%
옥천면4.01%57.06%10.06%2.60%5.58%△44.9171.14%
계곡면4.12%58.49%7.36%2.91%2.83%△40.8670.31%
마산면2.78%65.18%7.66%2.40%3.98%△55.7165.41%
황산면3.39%61.93%7.67%1.99%4.19%△48.3861.99%
산이면2.57%60.33%6.38%2.63%5.38%△47.2859.49%
문내면3.13%63.39%7.76%2.52%4.67%△51.2964.60%
화원면3.83%58.76%6.84%2.28%4.39%△43.2962.48%
정당격차
거소·선상투표6.04%43.06%6.40%4.98%4.27%△21.71
관외사전투표4.53%53.31%9.37%4.65%8.62%△41.39
재외투표6.66%33.33%13.33%6.66%20.00%△13.33

[해남] [8] 불과 17표 차이였다.[9] 불과 17표 차이였다.[10] 해남군 일원, 완도군 일원, 진도군 일원.[A] 관외투표 제외.[11] 지역구 국회의원 : 윤재갑 (더불어민주당, 초선).[12] 윤재갑, 윤영일 후보의 고향.[13] 비례 2위는 민중당(141표, 11.59%)이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