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7 (r9판)

편집일시 :

북한이 생산한 미사일 및 어뢰 종류
[ 펼치기 · 접기 ]
단거리KN-02/화성-11(160km, 220km) · KN-09/KN-16(180km, 200km) · 화성-11나(450km) · 조종방사포/KN-25(250km, 400km) · KN-24/화성-11나(450km) · 스커드/화성-5·6(340km, 700km) · KN-23(600km, 800km)
준중거리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1,300km) · 극초음속 2형(2,000km)
중거리화성-8(극초음속, 3,200km) ·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대륙간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실험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 · 대포동 2호/은하 로켓(2006) · 대포동 3호/은하 2호/광명성 2호(2009)
은하 3호/광명성 3호(2012년 4월, 12월) · 광명성 4호(2016)
SLBMKN-23 개량 SLBM(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2,500km) · 북극성-4 · 북극성-5
지대공KN-06 (S-300, HQ-9 기반), KN-07 (S-400, HQ-9 기반)
함대함KN-01 (실크웜 기반) · 금성 3호 (KH-35 기반)
지대함KN-18(대함 탄도탄) · KN-19 (지대함 버젼)
어뢰CHT-02D · PT-97W
미분류불새-2/3 (9M111 Fagot 기반), 신형 대전차 미사일, KN-12/KN-13
파일:2019 국방백서 북한 미사일.png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화성-7호길이15.6 m
지름1.25 m
미사일 중량17,800 kg
탄두 중량800 kg
목표 속도마하 8 이상
최대 사거리1,300 - 2,000 km
탄두 종류열압력 탄두, 화학 탄두, 생물 탄두
유도 방식관성항법 유도 방식
CEP250 m
개발년도1989년 - 1993년
실전배치1998년
배치량400발 실전배치


2. 상세[편집]


북한이 개발한 탄도 미사일 중 하나. 최초로 발견된 지명을 따서 명칭을 부여하는 관례에 따라, 함경남도 함주군 로동리에서 로동(Rodong)이라는 명칭을 따왔다. 북한측 명칭은 화성-7.

스커드보다는 긴 사정거리를 가지고 있어, 북한은 유사시 주일미군 기지를 향해 이 미사일을 발사하겠다고 주장하고 있다. TEL이 5축 10륜인 것도 특징적이다. 최초 시험 발사 이후 노동 1호, 노동 2호 등으로 호칭하고 있으나 우리측 편의를 위해 그런 것이고 본래 하나의 미사일이다. 개발중인 입장과 개발중인 적국의 장비를 파헤치려는 입장에서 같은 장비를 두고 서로 다르게 부르는게 당연한 일이다. 프로토타입과 최종 양산형의 차이라고 보면 된다.

여담으로 스커드와 ICBM등 다양한 북한 미사일에 대한 항목에 비해 업데이트가 늦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