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성-4

덤프버전 :


북한이 생산한 미사일 및 어뢰 종류
[ 펼치기 · 접기 ]
단거리
KN-02/화성-11(160km, 220km) · KN-09/KN-16(180km, 200km) · 화성-11나(450km) · 조종방사포/KN-25(250km, 400km) · KN-24/화성-11나(450km) · 스커드/화성-5·6(340km, 700km) · KN-23(600km, 800km)
준중거리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1,300km) · 극초음속 2형(2,000km)
중거리
화성-8(극초음속, 3,200km) ·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대륙간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실험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 · 대포동 2호/은하 로켓(2006) · 대포동 3호/은하 2호/광명성 2호(2009)
은하 3호/광명성 3호(2012년 4월, 12월) · 광명성 4호(2016)
SLBM
KN-23 개량 SLBM(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2,500km) · 북극성-4 · 북극성-5
지대공
KN-06 (S-300, HQ-9 기반), KN-07 (S-400, HQ-9 기반)
함대함
KN-01 (실크웜 기반) · 금성 3호 (KH-35 기반)
지대함
KN-18(대함 탄도탄) · KN-19 (지대함 버젼)
어뢰
CHT-02D · PT-97W
미분류
불새-2/3 (9M111 Fagot 기반), 신형 대전차 미사일, KN-12/KN-13
파일:2019 국방백서 북한 미사일.png




북극성-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북극성 미사일의 한 종류


파일:북극성-4.jpg


파일:북극성-41.png

2020년 10월 10일 조선 노동당 창당 75주년 열병식에서 공개된 모습
북한 명칭
《북극성-4》형[1] 혹은 《북극성-4ㅅ》
국방백서 표기
북극성-4ㅅ
KN 코드
미상
최대사거리
3,000km 이하
길이
9.4[UN]~9.9m[ONN]
지름
2m[UN]~2.05[ONN]
추진
2단 고체연료
발사 플랫폼
신포 C급 잠수함

1. 개요
2. 제원
3. 상세
3.1. 개발 완료?
3.2. 소속 군종 관련
3.3. 명칭 관련
4. 핵잠수함 건조 선언과 개량형 등장
5. 여담




1. 개요[편집]


2020년 10월 10일 조선노동당 창당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공개된 북한의 신형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이며, 탄두 부분이 뭉툭하여 다탄두 탄도 미사일로 추정된다.


2. 제원[편집]


2019년 10월에 시험발사에 성공한 북극성-3에 비해 길이는 짧아지고 직경은 커졌다. 북극성-3형은 길이는 10m, 직경은 1.5m 가량인데 북극성-4ㅅ형은 길이는 8~9m, 직경은 1.8~2m 가량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북극성-4ㅅ형은 북극성-3형보다 직경이 커져 여러 개의 탄두, 즉 다탄두를 탑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국항공대 장영근 교수는 로켓 모터의 상당 부분은 북극성-3과 공유할 것으로 추론했다. 특히 길이가 짧아진 것은 북한이 현재 건조중인 4000~5000t급 잠수함에 탑재하기 위한 것으로 추측된다. 신형 4000~5000t급 잠수함은 미·러·중 등 군사강대국 SLBM 잠수함처럼 함교가 아닌 선체의 수직발사대에 미사일을 싣기 때문에 선체 직경(10m)보다 미사일이 길면 탑재를 할 수 없게 된다. 북한의 신형 4000~5000t급 잠수함에 북극성-4를 무장할 것으로 추측된다.[2]


3. 상세[편집]


떡밥은 던졌지만 아직까지 시험 발사를 하지 않은 상태라 여러가지 추측이 오가고 있다.


3.1. 개발 완료?[편집]


화성-17형과 마찬가지로 실제 발사시험은 실시된 바 없기 때문에 아직 SLBM으로서 완성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레플리카. 즉 모형이라는 설이다. 하지만 이전 북극성 3형이 실제로 시험 발사를 했고 성공했으며 북극성-4형이 사정거리를 늘리고 다탄두 탑재가 가능한 개량형으로 추정되므로 아직 시험발사만 안했을 뿐이며 단순히 모형일 가능성은 적다. 적어도 북한 정권이 SLBM 전력의 지속적인 발전을 목표하고 있다는 의도를 보여주고 있는 것에 그 심각성이 있다.


3.2. 소속 군종 관련[편집]


북극성 미사일 시리즈 가운데 첫번째 모델이자 SLBM이었던 북극성(KN-11)은 열병식에서 푸른색 도장의 트럭에 실려, 조선인민군 해군 병사들과 함께 등장했다. 해당 미사일이 해군 소속임을 명확히 한 것이다. 그런데 이번 북극성-4는 조선인민군 육군 병사와 함께 등장했다. 어깨에 빨간색 표식이 보인된다.


파일:북극성-4와 육군.jpg

북극성-4를 호위하는 육군 병사

이에 이 미사일은 육군 소속의 사일로 형태 미사일이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었다. #


3.3. 명칭 관련[편집]


미사일 외부의 표기는 '북극성-4A'가 아닌 '북극성-4ㅅ'인 것으로 추정된다. # 잘 보면 '성'의 시옷과 폰트가 일치하고, A라고 보기에는 찌그러져 있다. 게다가 북한의 체제 특성상 굳이 알파벳을 제식 명칭에 넣을 이유도 없다. 부석종 해군참모총장에 따르면 수중 내지는 수상용이라는 의미에서 'ㅅ'을 붙인 것으로 추측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 말은 북극성-4의 지상(육상)형도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어 2021년에 화성-11나의 명칭이 등장하면서 숫자+한글 형태의 작명이 실재함도 알려졌다.


4. 핵잠수함 건조 선언과 개량형 등장[편집]


2021년 1월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에서 김정은이 직접 SLBM을 탑재하는 핵추진 SSBN 건조를 선언하였다.# 그리고 1월 14일 열병식에서 북극성-4보다 대형화된 북극성-5 미사일을 등장시켰다.


5. 여담[편집]


미국의 한 군사 매체는 북극성-4가 고체연료 ICBM일 것이라 추측했다.

파일:북한 고체연료 ICBM 상상도.png

북한의 고체연료 ICBM '가칭 《북극성-4》'의 상상도
공개 당시에는 고체 ICBM이라는 무리한 상상도였으나, 화성-18로 현실화 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6:12:01에 나무위키 북극성-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출처[UN] A B 출처: UN 안보리 보고서 S/2021/777 각주 18-2-3 PDF 링크[ONN] A B 오스트리아 기반 연구소 ONN의 측정, 해당 보고서[2] 출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