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오버워치 리그/정규 시즌 결산

덤프버전 :

파일:오버워치 리그 아이콘.svg 2021 시즌 정규 시즌 경기 일람
5월 토너먼트1주
(4/17~19)
2주
(4/24~26)
3주
(4/30~5/3)
토너먼트
(5/7~9)
5주
(휴식)
6월 토너먼트6주
(5/22~24)
7주
(5/29~31)
8주
(6/4~6/7)
토너먼트
(6/11~13)
10주
(휴식)
썸머 쇼다운11주
(6/26~28)
12주
(7/3~5)
13주
(7/9~12)
토너먼트
(7/16~18)
15주
(휴식)
카운트다운 컵16주
(7/31~8/2)
17주
(8/7~9)
18주
(8/13~16)
토너먼트
(8/20~22)
결산
포스트시즌 경기 일람
모든 경기는 한국 시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정규시즌 순위
2. 주요 기록
2.1. 최다 POTM
3. 팀별 평가(동부)
3.1. 1위 | 상하이 드래곤즈 | 리그 포인트 20점 +19
3.2. 2위 | 청두 헌터즈 | 리그 포인트 15점 +16
3.3. 3위 | 서울 다이너스티 | 리그 포인트 12점 +18
3.4. 4위 | 필라델피아 퓨전 | 리그 포인트 10점 +13
3.5. 5위 | 항저우 스파크 | 리그 포인트 7점 +1
3.6. 6위 | 뉴욕 엑셀시어 | 리그 포인트 7점 -3
3.7. 7위 | 광저우 차지 | 리그 포인트 5점 -18
3.8. 8위 | LA 발리언트 | 리그 포인트 0점 -46
4. 팀별 평가(서부)
4.1. 1위 | 댈러스 퓨얼 | 리그 포인트 17점 +16
4.2. 2위 | LA 글래디에이터즈 | 리그 포인트 14점 +20
4.3. 3위 | 애틀랜타 레인 | 리그 포인트 13점 +20
4.4. 4위 | 샌프란시스코 쇼크 | 리그 포인트 12점 +19
4.5. 5위 | 휴스턴 아웃로즈 | 리그 포인트 11점 +10
4.6. 6위 | 워싱턴 저스티스 | 리그 포인트 9점 +3
4.7. 7위 | 토론토 디파이언트 | 리그 포인트 9점 0
4.8. 8위 | 파리 이터널 | 리그 포인트 8점 0
4.9. 9위 | 보스턴 업라이징 | 리그 포인트 7점 -4
4.10. 10위 | 플로리다 메이헴 | 리그 포인트 6점 -12
4.11. 11위 | 런던 스핏파이어 | 리그 포인트 1점 -35
4.12. 12위 | 밴쿠버 타이탄즈 | 리그 포인트 1점 -35


정규시즌 MVP, 롤스타 상, 올해의 코치상, 올해의 신인상, 데니스 하벨카 상은 2021 오버워치 리그/포스트시즌 결산 참조.

1. 정규시즌 순위[편집]


파일:오버워치 리그 아이콘.svg 2021 시즌 리그 순위표
순위팀명리그
포인트
경기세트
득실
득실차토너먼트지역최근
연속
비고
5월6월7월8월
1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SHD201612438-19+192위1위1위-동부2승[+2][+3][+3]
2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DAL171611540-26+161위2위3위6강서부1패[+3][+2][+1]
3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1.svgCDH151611541-25+164위-2위2위동부5승[+2][+2]
4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GLA141611541-21+20-4강4강1위서부2승[+3]
5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ATL131611541-21+20-3위4위3위서부5승[+1][+1]
6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SFS121612443-24+196강4강-4강서부3승
7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SEO121612440-22+184강4강4강4위동부1승
8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OU111611534-24+104강6강--서부1패
9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PHI101610637-24+134강--4강동부1패
10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WAS9169729-26+34강-4강-서부1승
11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TOR9169731-3106강--4강서부1패
12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PAR8168832-320--6강6강서부1승
13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HZS7167932-31+1-4강--동부4패
14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NYE7167929-32-3-4위4강4강동부2패
15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BOS7167927-31-4-6강6강-서부3패
16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FLA61651126-38-123위---서부2패[+1]
17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GZC51651120-38-18----동부2승
18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LDN11611512-47-35----서부1승[1]
19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VAN11611510-45-35----서부3패[2]
20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VAL0160162-48-46----동부16패시즌 전패
초록색: 플레이오프 | 노란색: 플레이-인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오버워치 리그 아이콘.svg 2021 시즌 동부 리그 순위표
순위팀명리그
포인트
경기세트
득실
득실차토너먼트최근
연속
비고
5월6월7월8월
1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SHD201612438-19+192위1위1위-2승[+2][+3][+3]
2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1.svgCDH151611541-25+164위-2위2위5승[+2][+2]
3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SEO121612440-22+184강4강4강4위1승
4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PHI101610637-24+134강--4강1패
5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HZS7167932-31+1-4강--4패
6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NYE7167929-32-3-4위4강4강2패
7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GZC51651120-38-18----2승
8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VAL0160162-48-46----16패시즌 전패
초록색: 플레이오프 | 노란색: 플레이-인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오버워치 리그 아이콘.svg 2021 시즌 서부 리그 순위표
순위팀명리그
포인트
경기세트
득실
득실차토너먼트최근
연속
비고
5월6월7월8월
1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DAL171611540-26+161위2위3위6강1패[+3][+2][+1]
2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GLA141611541-21+20-4강4강1위2승[+3]
3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ATL131611541-21+20-3위4위3위5승[+1][+1]
4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SFS121612443-24+196강4강-4강3승
5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OU111611534-24+104강6강--1패
6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WAS9169729-26+34강-4강-1승
7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TOR9169731-3106강--4강1패
8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PAR8168832-320--6강6강1승
9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BOS7167927-31-4-6강6강-3패
10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FLA61651126-38-123위---2패[+1]
11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LDN11611512-47-35----1승[3]
12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VAN11611510-45-35----3패[4]
초록색: 플레이오프 | 노란색: 플레이-인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2] A B C D E F G H 토너먼트 준우승[+3] A B C D E F G H 토너먼트 우승[+1] A B C D E F G H 토너먼트 3위[1] VAN에 승자승 우세[2] LDN에 승자승 열세[3] VAN에 승자승 우세[4] LDN에 승자승 열세


2. 주요 기록[편집]



2.1. 최다 POTM[편집]





3. 팀별 평가(동부)[편집]



3.1. 1위 | 상하이 드래곤즈 | 리그 포인트 20점 +19[편집]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상하이 드래곤즈
정규시즌 결과
순위
1위
득실
124+19
최다 연승6연승
비고[3승] [2승] [3승]


3.2. 2위 | 청두 헌터즈 | 리그 포인트 15점 +16[편집]


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1.svg청두 헌터즈
정규시즌 결과
순위
2위
득실
115+16
최다 연승7연승
비고[2승][2승]


3.3. 3위 | 서울 다이너스티 | 리그 포인트 12점 +18[편집]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서울 다이너스티
정규시즌 결과
순위
3위
득실
124+18
최다 연승4연승
비고

토너먼트 성적을 제외한 정규시즌 전적만 보면 서울 위의 있는 팀은 상하이 단 한팀이다. 심지어 4번의 토너먼트 녹아웃 스테이지를 전부 진출한 팀은 댈러스와 서울 단 둘뿐이다. 그러나 토너먼트에서 큰 힘을 쓰지 못하며 결과는 동부 3위. 플레이인으로 포스트시즌을 시작하게 되었다.
예선성적은 좋으면서도 정작 중요한 토너먼트에서 미끄러지는, 참으로 서울 팬 입장에서는 아쉬운 시즌이었다.

3.4. 4위 | 필라델피아 퓨전 | 리그 포인트 10점 +13[편집]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필라델피아 퓨전
정규시즌 결과
순위
4위
득실
106+13
최다 연승4연승
비고

오프시즌 잉여전력은 과감하게 내치고 알짜배기 선수들만 영입해 올해도 우승후보로 평가받았으나 비 한국인 선수들이 동부 지역 경기를 위해 한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비자가 발급되지 않아 급하게 라스칼, 핫바, 토비 등을 영입하면서 사실상 시즌 절반을 6인 로스터로 꾸려 나갔다.
시즌 초반에는 모든 팀들이 합을 맞춰가는 단계여서 필라델피아의 기본 체급으로 승승장구하였으나, 5월 토너먼트 상하이에게 석패를 시작해서 점점 아쉬운 모습이 늘어나면서 토너먼트 진출에 한 번도 성공하지 못했다.
시즌 중반 외국인 선수들이 합류하면서 분위기 전환을 노렸으나[5] 이 역시 신통치 않았다.

사실상 정규시즌만 놓고 보면 전력과 이름값을 생각해보면 실패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플레이-인 1라운드부터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조금만 삐끗하면 우승후보 팀이 플레이오프 진출도 못하는 대참사가 일어날 수 있다.

3.5. 5위 | 항저우 스파크 | 리그 포인트 7점 +1[편집]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항저우 스파크
정규시즌 결과
순위
5위
득실
79+1
최다 연승5연승
비고

12인 풀 로스터는 성공하지 못함을 증명하는 또다른 예시.

전문가들은 항저우의 로스터를 보고 '뼈대는 유지하고 지난 시즌 아쉬웠던 포지션을 업그레이드하였다'라 평가하였지만 결과는 옆그레이드였다. 12인 로스터, 심지어 탱딜힐 각각 4명씩, 메인/서브 구분까지 딱딱 2명씩 로스터를 구성[6]하였고, 행복회로만 돌릴 수 있다면 좋았겠지만 이번 시즌은 사실상 단기전 4번의 구성으로 진행되었고 12인 로스터를 유연하게 돌리기에는 너무나 무리가 있었다.[7]
실제로 항저우가 좋은 성적을 거두었던 6월 토너먼트에서 주전 멤버를 Guxue-BERNAR-Shy-Architect-iDK-MCD 6인으로 고정했을때만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그 외 나머지 기간에는 기대 이하였다.
심지어 시즌 막판 5연패로 뉴욕의 추격을 받았고 청두의 도움으로 가까스로 플레이-인에 진출했지만 플레이오프 진출을 위해서는 많은 변화가 필요해보인다.

플레이-인을 앞두고 MCD가 중국 선수를 모욕했다는 이유로 방출되었다. MCD의 이탈이 경기력에 영향을 끼칠지는 지켜봐야 할듯.

3.6. 6위 | 뉴욕 엑셀시어 | 리그 포인트 7점 -3[편집]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뉴욕 엑셀시어
정규시즌 결과
순위
6위
득실
79-3
최다 연승3연승
비고

뉴욕의 이번 시즌은 아쉬움이 많이 남는 시즌이였다. 플레이인에 간발의 차이로 진출을 하지 못했는데, 칼리오스가 영입되기 전인 5, 6월 토너먼트에서 이길 수 있는 경기들을 많이 패배하기도 했고, 8월 토너먼트에 한조 파라 메타가 왔는데 한조와 파라를 잘 다루는 아이비가 은퇴하기도 하며 청두와의 경기에서 진무의 파라에게 너무 많이 휘둘리며 패배하기도 했다. 그래도 다음 시즌 꽤 희망찬 이유는 시즌이 가면 갈수록 팀합이 맞기 시작했고, 플로라는 유망주를 넘어 팀의 에이스로 자리 잡기도 했고, 쪼낙은 여전히 죽지 않은 폼을 보여주었다. 칼리오스의 시즌 중반 영입은 팀에 많은 도움이 되기도 했다. 다음 시즌, 부족한 포지션에 좋은 자원들을 영입한다면 충분히 더 높이 올라갈수 있는 뉴욕이다.

3.7. 7위 | 광저우 차지 | 리그 포인트 5점 -18[편집]


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광저우 차지
정규시즌 결과
순위
7위
득실
511-18
최다 연승2연승
비고


3.8. 8위 | LA 발리언트 | 리그 포인트 0점 -46[편집]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LA 발리언트
정규시즌 결과
순위
8위
득실
016-46
최다 연승-
비고시즌 전패

오버워치 리그 역사상 2번째 전패팀. 냉정하게 얘기해서 2021 시즌의 LA 발리언트는 오버워치 리그는 커녕 컨텐더스 수준의 팀과 비교하기에도 부끄러운 수준이었으며 같은 최하위권 밴쿠버와 런던은 그 나름대로의 팀합은 어느 정도 찾아볼 수 있었지만, 발리언트의 플레이는 마이크 없이 하는 솔로큐 6명의 경쟁전 수준으로 보아도 할 말이 없을 지경이다.

로스터 전원을 중국 선수들로 변경하는 과정도 매끄럽지도 않았을 뿐더러, 작년 중국을 넘어선 아시아 컨텐더스 최강팀 Team CC의 주축 멤버들은 이미 다른팀으로 영입되었으니, 컨텐더스 중위권의 팀 선수들로만 구성을 하였고 세트 득실 2승 48패라는 처참한 결과는 어찌보면 예상 가능한 성적이었다.

여러모로 작년의 어떤 팀을 연상시키게 하는 선수, 감코진을 비롯한 선수들의 막무가내 방출과 리그의 질을 저하시키고 시청자들의 눈을 썩게 만드는 경기력까지 최악의 팀이라 불러도 부족함이 없다.

4. 팀별 평가(서부)[편집]



4.1. 1위 | 댈러스 퓨얼 | 리그 포인트 17점 +16[편집]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댈러스 퓨얼
정규시즌 결과
순위
1위
득실
115+16
최다 연승6연승
비고[3승][2승][1승]

지난 3년간 처참한 실패를 맛본 댈러스는 이번 시즌 도하를 제외한 전원 멤버 방출이라는 대대적인 리빌딩을 단행했고, 2018-19년 한국 컨텐더즈 최강팀 중 하나였던 엘리먼트 미스틱의 코치, 선수들을 다시 모아들였다.
이 선수들의 컨텐던즈와 리그 활약상을 고려해보면 '정말 이번 시즌은 다르다'라고 외칠려던 찰나, 시즌 개막 직전 히트스캔 딜러 엑지의 부상으로 인한 잠정 은퇴로 인해 딜러진이 서브딜러 2명만 남겨있는 상태로 시즌을 시작하였다.
하지만 컨텐더즈부터 합을 맞쳐온 시간이 길었기 때문에 자신들만의 윈스턴 극한 다이브 조합을 토대로 다른 팀들과는 차원이 다른 팀합을 보여주면서 5월 토너먼트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 기세를 6월 토너먼트까지 이어가던 댈러스는 그러나 결승전, 상하이의 레킹볼 조합에 가로막히면서 준우승을 이후로 히트스캔의 부재로 인한 다양한 딜러 조합이 어려웠던 댈러스는 정규시즌만 보면 용두사미의 결과였다.
세 번의 토너먼트 포인트로 일치감치 서부지역 1위를 확정지은 댈러스는 파인의 비자 해결로 일단은 완전체 로스터로 플레이오프를 시작하게 된다. 최우선적으로는 히트스캔 메타가 온다면 거의 3시즌 동안 리그 경기를 아예 하지 않았던 파인의 기량과 기존 멤버들의 합을 맞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4.2. 2위 | LA 글래디에이터즈 | 리그 포인트 14점 +20[편집]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LA 글래디에이터즈
정규시즌 결과
순위
2위
득실
115+20
최다 연승7연승
비고[3승]

시즌 내내 토너먼트 본선 진출에 실패하다가 마지막 토너먼트인 카운트다운컵에 진출하더니 시즌 창단 첫 우승을 달성했다! 버드링의 강력한 메인딜러 기량과 함께 이를 받쳐주는 켑스터, 뮤즈-스페이스의 단단한 탱커라인과 MVP 후보인 슈의 물오른 기량, 이와 함께 브리기테로 활약한 스큐드, 출전하진 않았지만 언제나 안정적인 모스까지, 글래디의 스쿼드는 창단 이래 팀 역사상 어느때보다도 강력하다. 플레이오프가 기대되는 부분.

4.3. 3위 | 애틀랜타 레인 | 리그 포인트 13점 +20[편집]


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애틀랜타 레인
정규시즌 결과
순위
3위
득실
115+20
최다 연승6연승
비고[1승][1승]


4.4. 4위 | 샌프란시스코 쇼크 | 리그 포인트 12점 +19[편집]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샌프란시스코 쇼크
정규시즌 결과
순위
4위
득실
124+19
최다 연승6연승
비고

디펜딩 챔피언의 입장에서 쇼크의 이번 시즌은 정말 다사다난하였다. 또한 토너먼트 진출이 얼마나 중요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 2 [8]

4.5. 5위 | 휴스턴 아웃로즈 | 리그 포인트 11점 +10[편집]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휴스턴 아웃로즈
정규시즌 결과
순위
5위
득실
115+10
최다 연승5연승
비고-

정규시즌에서 꾸준히 강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토너먼트에 한번도 진출하지 못하면서 플레이인으로 가게 되었고, 결국 워싱턴에게 패배해 플레이오프진출에 실패하면서 시즌을 마무리하였다. 댈러스[9]에게 항상 발목이 잡혀 토너먼트에 한번도 가지못했던게 크게 작용했고, 여러모로 아쉽게 2021시즌을 마무리하였다.

4.6. 6위 | 워싱턴 저스티스 | 리그 포인트 9점 +3[편집]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워싱턴 저스티스
정규시즌 결과
순위
6위
득실
97+3
최다 연승4연승
비고-


4.7. 7위 | 토론토 디파이언트 | 리그 포인트 9점 0[편집]


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토론토 디파이언트
정규시즌 결과
순위
7위
득실
970
최다 연승3연승
비고

'이 팀 이기면 강팀'의 '이 팀' 포지션이었다...

4.8. 8위 | 파리 이터널 | 리그 포인트 8점 0[편집]


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파리 이터널
정규시즌 결과
순위
8위
득실
880
최다 연승2연승
비고

작년 좋은 성적을 거두었던 코치, 선수들을 재정난으로 인해 내보낸 후, 유럽 선수들 위주의 로스터를 발표했을 때만 해도 최하위권을 예상했으나 의외의 결과를 낸 이번 시즌 최대 이변의 팀 중 하나.
같은 유럽인 위주 로스터인 런던과 비교해서도 오히려 런던의 호성적을 기대했지, 파리의 이같은 선전은 기대하지 않았다.
여담으로 강팀들의 연승 브레이커 역할을 맡고 있다. 워싱턴(4), 글래디(7), 댈러스(6)의 연승을 끊어냈다.


4.9. 9위 | 보스턴 업라이징 | 리그 포인트 7점 -4[편집]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보스턴 업라이징
정규시즌 결과
순위
9위
득실
79-4
최다 연승3연승
비고-

여담으로 동서부 분리운영의 수혜자가 되었다. 동부의 뉴욕보다 세트득실이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플레이-인에 진출했기에..


4.10. 10위 | 플로리다 메이헴 | 리그 포인트 6점 -12[편집]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플로리다 메이헴
정규시즌 결과
순위
10위
득실
511-12
최다 연승2연승
비고[1승]

지난 시즌 마침내 암흑같았던 2년을 뒤로하고 토너먼트 준우승, 서부 플레이오프 4위를 하는 등 상위권에 도약을 했던 플로리다였고 실제로 첫번째 토너먼트, 메이 밀리에서도 3위를 달성했지만 이후 12경기에서 달랑 2승만 거두면서 2020 시즌은 반짝이었다는 것만 증명하였다.
결국 지난 시즌과 비교했을 때, 메인탱(Fate→OGE), 메인힐(Kris→SLIME)의 변동이 생각보다 큰 시너지가 나지를 않았다. 특히 두 선수 모두 리그에서 잔뼈가 굵은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기대보다 낮은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4.11. 11위 | 런던 스핏파이어 | 리그 포인트 1점 -35[편집]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런던 스핏파이어
정규시즌 결과
순위
11위
득실
115-35
최다 연승1승
비고-

2020년 한국인 유망주 위주의 팀은 처참히 실패했고 유럽 컨텐더즈를 말 그대로 씹어먹고 왔던 아카데미 브리티쉬 허리케인 멤버 전원을 콜업을 하면서 내심 중위권의 성적을 기대했지만, 결과는 창단 이래 최악의 시즌이었다.
같은 유럽 연고의 유럽인 선수 위주의 팀인 파리보다도 기대를 받았지만 파리와의 다른 점은 오니갓, 칸 등의 게임을 터뜨릴 수 있는 크랙이 런던에는 없었다. 컨덴더스를 정복하였고 근 1년간의 팀합으로 야심차게 리그에 도전했지만 리그는 단순히 괜찮은 정도의 팀합으로는 너무나 높은 벽이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정규 시즌 마지막 경기 밴쿠버와의 멸망전 끝에 1승을 따냄으로서 밴쿠버와 세트득실이 동률이 되었고, 승자승 원칙에 따라 밴쿠버 윗 순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4.12. 12위 | 밴쿠버 타이탄즈 | 리그 포인트 1점 -35[편집]


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밴쿠버 타이탄즈
정규시즌 결과
순위
12위
득실
115-35
최다 연승1승
비고-



[3승] A B C D 토너먼트 우승[2승] A B C D 토너먼트 준우승[5] 그것도 포코는 끝끝내 정규시즌 끝날때까지 합류하지 못했다.[6] 메인딜 GodsB, Shy / 서브딜 Architect, SeoMinSoo / 메인탱 Guxue, Takoyaki / 서브탱 BERNAR, LIGE / 메인힐 iDK, M1ka / 서브힐 MCD, ColdesT[7] GodsB, Takoyaki는 시즌 중도 방출, LIGE는 정규시즌 미출전.[1승] A B C D 토너먼트 3위[8] 공교롭게도 쇼크를 꺾고 토너먼트에 진출한 플레이오프 직행권을 따냈다.[9] 참고로 그 댈러스는 휴스턴의 대표적인 라이벌 팀이었기에 다른 팀들에게 지는거 보다 더더욱 뼈아플 수밖에 없었다.


파일:CC-white.svg 이 팀별 평가(동부)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1 오버워치 리그/포스트시즌 결산 문서의 r2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팀별 평가(동부)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2021 오버워치 리그/포스트시즌 결산 문서의 r2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팀별 평가(서부)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1 오버워치 리그/포스트시즌 결산 문서의 r2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팀별 평가(서부)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2021 오버워치 리그/포스트시즌 결산 문서의 r2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23:36:20에 나무위키 2021 오버워치 리그/정규 시즌 결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