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5년

덤프버전 :

분류

연도구분
924년925년926년
연대구분
910년대920년대930년대
세기구분
9세기10세기11세기
밀레니엄구분
기원전제1천년기제2천년기

세계 각 지역의 표기
서기925년
단기3258년
불기1469년
황기1585년
이슬람력312년 ~ 314년
간지갑신년~을유
일본엔초 3년
히브리력4685년 ~ 4686년
후당동광 3년
천찬 4년
신라경애왕 2년
발해대인선 20년
고려천수 8년
후백제정개 25년

1. 개요
2. 사건
2.1. 실제
2.2. 가상
3. 탄생
3.1. 실제
3.2. 가상
4. 사망
4.1. 실제
4.2. 가상



1. 개요[편집]



2. 사건[편집]



2.1. 실제[편집]


  • 알폰소 4세레온 왕국의 왕이 되며, 갈리시아 왕국 간의 동군연합이 파기된다. 다만 포르투와 코임브라 백작령들은 여전히 갈리시아 왕국 하에, 카스티야 왕국은 레온 왕국 하에 놓여있는 사실은 변동 없다.
  • 토미슬라브크로아티아의 왕이 되었다.
  • 후당의 침입으로 전촉이 멸망하였다.
  • 2차 조물성 전투에서 고려후백제가 인질을 교환하고 화친을 맺다.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이 전투에서 고려군의 군사 태평이 사망한다.
  • 거란의 대대적인 발해 원정이 이해 12월 21일경 개시되었다. 야율아보기는 전통적인 격전지였던 요동 루트가 아닌 무역길이었던 거란도[1]로 우회하여 약 20만의 대군으로 진격하였고 부여부는 이해 말 무기력하게 함락당하며 이듬해 발해 멸망으로 이어진다. 다만 야율아보기는 부여부에서 부상을 입고 발해 멸망 직후 그 역시 수도로 회군하던 도중 병세가 악화되어 사망한다.

2.2. 가상[편집]



3. 탄생[편집]



3.1. 실제[편집]


일자불명

3.2. 가상[편집]



4. 사망[편집]



4.1. 실제[편집]



4.2. 가상[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9 15:05:19에 나무위키 925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