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E TLC

덤프버전 :

파일:external/www.wwe.com/TLC_0--2bdb4e8723e50c39b720c8b6d184b5d2.png

1. PPV
1.1. 역대 이벤트 목록
2. TLC 매치
2.1. 역대 경기 정보
2.2. 기록



1. PPV[편집]


공식 명칭은 TLC: Tables, Ladders & Chairs.Tiny Loser Chamber

WWE가 시도하는 "PPV의 특색화" 정책으로 인해 2009년에 새롭게 개설된 이벤트로, 기존에 12월의 PPV로 자리잡고 있었던 아마겟돈이 2008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2016년에는 스맥다운 전용 PPV로 개최되었고, 당시 RAW 측의 12월 PPV는 2016년 3월에 스페셜 이벤트로 열렸던 로드블록의 명칭을 가져온다. 2017년에는 10월로 옮겨져서 WWE RAW 전용 PPV로 개최된다. 이 PPV에서 열리는 챔피언쉽 경기는 테이블 매치나 래더매치 혹은 체어 매치[1] 등의 기믹 매치로 개최한다.

2009년 첫 이벤트에서 처음 열린 체어 매치는 무리수라는 평이 많았고, 당시에 브랜드 별로 특별 매치를 하나씩 배분[2]했던 상황이었다. 체어 매치는 2010년과 2011년에도 연달아서 최악의 평가를 받았는데, 래더매치나 테이블 매치처럼 특색있는 룰이 아니라 단순히 일반 하드코어 매치에서 무기만 의자로 제한된 룰이기 때문이다. 그나마 2012년에 개최된 체어 매치에선 초대형 철제 의자가 등장해 경기에 지대한 영향을 끼지면서 어느 정도 만회했다.

1.1. 역대 이벤트 목록[편집]


  • 빨간색RAW의 단독 PPV, 파란색스맥다운의 단독 PPV이다.
연도날짜도시장소관중수메인 이벤트
200912월 13일파일:미국 국기.svg 텍사스 주 샌 안토니오AT&T 센터15,226크리스 제리코 & 빅 쇼(c)
vs.
트리플 H & 숀 마이클스
TLC 매치
통합 WWE 태그팀 챔피언쉽
201012월 19일파일:미국 국기.svg 텍사스 주 휴스턴토요타 센터11,500존 시나 vs. 웨이드 배럿
체어 매치
201112월 18일파일:미국 국기.svg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퍼스트 마리너 아레나9,000CM 펑크(c) vs. 알베르토 델 리오 vs. 미즈
TLC 매치
WWE 챔피언쉽
201212월 16일파일:미국 국기.svg 뉴욕 주 브루클린바클레이스 센터15,748돌프 지글러 vs. 존 시나
머니 인 더 뱅크 컨트렉트 래더 매치
201312월 15일파일:미국 국기.svg 텍사스 주 휴스턴토요타 센터14,120랜디 오턴(c)[3] vs. 존 시나(c)[4]
TLC 매치
WWE 챔피언쉽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쉽[5]
201412월 14일파일:미국 국기.svg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퀵큰 론즈 아레나14,000딘 앰브로스 vs. 브레이 와이어트
TLC 매치
201512월 13일파일:미국 국기.svg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TD 가든14,903셰이머스(c) vs. 로만 레인즈
TLC 매치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쉽
201612월 4일파일:미국 국기.svg 텍사스 주 댈러스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15,550AJ 스타일스(c) vs. 딘 앰브로스
TLC 매치
WWE 월드 챔피언쉽
201710월 22일파일:미국 국기.svg 미네소타 주 미네아폴리스타깃 센터13,381딘 앰브로스 & 세스 롤린스 & 커트 앵글
vs.
미즈 & 셰이머스 & 세자로 & 브론 스트로우먼 & 케인
핸디캡 TLC 매치
201812월 16일파일:미국 국기.svg 캘리포니아 주 산 호세SAP 센터13,408베키 린치(c) vs. 아스카 vs. 샬럿 플레어
TLC 매치
SMACKDOWN 위민스 챔피언쉽
201912월 15일파일:미국 국기.svg 미네스타 주 미니애폴리스타깃 센터-아스카 & 카이리 세인(c) vs. 샬럿 플레어 & 베키 린치
TLC 매치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쉽
202012월 20일파일:미국 국기.svg 플로리다 주 세인트피터즈버그트로피카나 필드0브레이 와이어트 vs. 랜디 오턴
파이어플라이 인페르노 매치


2. TLC 매치[편집]


Tables Ladders and Chairs Match
탁자(Table), 사다리(Ladder), 접이식 의자(Chair)를 이용하는 익스트림 룰즈 방식의 경기다. 사다리 매치와 동일한 방식으로 공중에 매달린 벨트(또는 특정 물건)을 따내는 선수(또는 태그팀)가 승리하는 방식인데, 타이틀 등 무언가가 걸리지 않으면 핀 폴로 경기가 끝난다.[6]

룰 자체가 1:1 매치보다는 태그팀 매치에 최적화된 매치고, 이 경기 룰을 잘 소화하는 선수들은 모두 태그팀 매치를 거쳐서 성장한 선수들이다. 더들리 보이즈, 에지&크리스찬, 하디 보이즈가 대표적이며, 2012년엔 TLC로 WWE 메인 쇼 데뷔 경기를 가진 쉴드가 두각을 드러낸다.

경기의 유래는 테이블 매치에 능숙한 더들리 보이즈, 래더매치에 능숙한 하디 보이즈, 철제의자로 악명높은[7][8] 에지와 크리스찬을 고려해서 당시 WWF 커미셔너였던 믹 폴리가 고안한 것인데, 이때 탄생한 유행어가 "Tables, and ladders, and chairs, oh my!"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을 부가하자면 이 경기와 관련된 기원인 레더 매치를 당시 짐 코넷이 커미셔너의 일원이었을 때 에지가 제안했었고 이를 받아들여 최초로 태그팀 레더 매치가 성공적으로 작용하자 믹 폴리가 아예 영감을 얻어 이 경기를 탄생시켰던 것.

1999년 WWF 노 머시(1999)에서 E&C 와 하디 보이즈가 태그팀 래더 매치로 데이브 멜처 4.5성을 받는 경기를 해냈고, WWF 로얄럼블(2000)에서는 하디 보이즈와 더들리 보이즈가 태그팀 테이블 매치를 선보였다. 그리고 WWF 레슬매니아 2000에서 세 태그팀의 트리플 쓰렛 래더 매치가 열리면서 이들 세 태그팀이 기믹 매치 스페셜리스트로서 충분히 명성을 얻었고, 이것이 TLC 매치를 탄생시키는 밑바탕이 되었다.

더들리 보이즈, 하디 보이즈, E&C가 WWF 섬머슬램(2000)에서 최초로 TLC 매치를 가졌고[9] 레슬매니아 17에서 세 팀이 TLC로 리매치를 가져서[10] 팬들에게 회자되는 명경기를 만든다. 크리스 벤와의 일가족 살인 및 자살 사건으로 인해 묻혔지만 2001년 5월 24일 스맥다운에선 투 크리스(크리스 제리코&크리스 벤와)의 WWF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에 더들리 보이즈, 하디 보이즈, E&C가 도전하며 TLC 경기가 열렸는데, 위클리쇼에서 데이브 멜처에게 4.75성을 받은 명경기가 나온다. TLC의 전신격으로 하디 보이즈와 더들리 보이즈가 '테이블 앤드 래더'경기를 치른 적이 있다.

하디 보이즈의 자서전에 'TLC 전문가' 제프가 말하길 테이블은 일부러 잘 부서지게 특수제작한 게 절대 아니며 사실 그럴 필요가 전혀 없다고 한다. 100킬로그램이 넘는 선수들이 뛰어내리는데 안부서지고 배기겠냐고 말이다. 그리고 재밌는 사실을 말해주는데, 일반적으로 테이블에 떨어져서 부서지면 더 큰 고통을 받을거라 생각하나 사실 직접 바닥에 떨어지는 것보다 차라리 테이블에 떨어지는게 낫다고 한다. 충격을 완화해주기 때문이라고.

파일:2018명전레매17tlc.jpg
2018년에 더들리 보이즈가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그들을 소개시켜주는 사람이 다름 아닌 E&C가 되었다. 그리고 명예의 전당 당일에는 하디 보이즈가 함께 축하해 주면서 TLC의 주역 6명이 한 자리에 서 있는 광경이 나타났다.


2.1. 역대 경기 정보[편집]


횟수개최장소정보경기승자비고
1회WWF 섬머슬램(2000)WWF 월드 태그팀 챔피언쉽에지&크리스찬(c) VS 더들리 보이즈(버버레이 더들리&디본 더들리) VS 하디 보이즈(매트 하디&제프 하디)에지&크리스찬
2회WWF 레슬매니아 17WWF 월드 태그팀 챔피언쉽더들리 보이즈(버버레이 더들리&디본 더들리)(c) VS 하디 보이즈(매트 하디&제프 하디) VS 에지&크리스찬에지&크리스찬
3회스맥다운
2001.5.22
WWF 월드 태그팀 챔피언쉽크리스 벤와&크리스 제리코(c) VS 하디 보이즈(매트 하디&제프 하디) VS 더들리 보이즈(버버레이 더들리&디본 더들리) VS 에지&크리스찬크리스 벤와&크리스 제리코
4회RAW
2002.10.7
WWE 월드 태그팀 챔피언쉽케인&허리케인(c) VS 제프 하디&RVD VS 버버레이 더들리&스파이크 더들리 VS 크리스 제리코&크리스찬케인
5회RAW
2006.1.16
WWE 챔피언쉽에지(c) VS 릭 플레어에지
6회WWE 언포기븐(2006)WWE 챔피언쉽에지(c) VS 존 시나존 시나
7회WWE 원 나잇 스탠드(2008)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쉽에지 VS 언더테이커에지
8회WWE 섬머슬램(2009)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쉽제프 하디(c) VS CM 펑크CM 펑크
9회WWE TLC(2009)WWE 통합 태그팀 챔피언쉽크리스 제리코&빅 쇼(c) VS DX(트리플 H & 숀 마이클스)DX
10회RAW
2010.11.29
WWE 챔피언쉽더 미즈(c) VS 제리 롤러더 미즈
11회WWE TLC(2010)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쉽케인(c) VS 에지 VS 레이 미스테리오 VS 알베르토 델 리오에지
12회WWE TLC(2011)WWE 챔피언쉽CM 펑크(c) VS 알베르토 델 리오 VS 더 미즈CM 펑크
13회WWE TLC(2012)라이백&팀 헬 노(케인&대니얼 브라이언) VS 실드(딘 앰브로스&로만 레인즈&세스 롤린스)실드
14회RAW
2013.1.7
WWE 챔피언쉽CM 펑크(c) VS 라이백CM 펑크
15회WWE TLC(2013)위너스 테이크 올랜디 오턴(c) VS 존 시나(c)랜디 오턴
16회WWE 익스트림 룰즈(2014)WeeLC 매치엘 토리토 VS 혼스워글엘 토리토
17회WWE TLC(2014)딘 앰브로스 VS 브레이 와이어트브레이 와이어트
18회WWE TLC(2015)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쉽셰이머스(c) VS 로만 레인즈셰이머스
19회WWE TLC(2016)WWE 월드 챔피언쉽AJ 스타일스(c) VS 딘 앰브로스AJ 스타일스
20회WWE TLC(2017)더 미즈&브론 스트로우먼&케인&더바(셰이머스&세자로) VS 커트 앵글&실드(딘 앰브로스&세스 롤린스)커트 앵글&실드
21회RAW
2018.12.10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쉽
(특별 심판: 히스 슬레이더)
세스 롤린스(c) VS 배런 코빈세스 롤린스
22회WWE TLC(2018)배런 코빈 VS 브론 스트로우먼브론 스트로우먼
23회WWE TLC(2018)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쉽베키 린치(c) VS 샬럿 플레어 VS 아스카아스카
24회WWE TLC(2019)킹 코빈 VS 로만 레인즈킹 코빈
25회WWE TLC(2019)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쉽가부키 워리어즈(아스카&카이리 세인)(c) VS 베키 린치&샬럿 플레어가부키 워리어즈
26회NXT
2020.10.28
NXT 위민스 챔피언쉽시라이 이오(c) VS 캔디스 르래시라이 이오
27회WWE TLC(2020)WWE 챔피언쉽드류 맥킨타이어(c) VS AJ 스타일스 VS 더 미즈드류 맥킨타이어
28회WWE TLC(2020)WWE 유니버설 챔피언쉽로만 레인즈(c) VS 케빈 오웬스로만 레인즈

2.2. 기록[편집]


  • TLC 매치를 가장 많이 치룬 선수는 에지이다. 총 7번의 경기를 가졌다.
  • 역대 TLC매치 최장 시간 경기는 TLC 2017에서 열린 더 미즈&브론 스트로우먼&케인&더바(셰이머스&세자로) VS 커트 앵글&실드(딘 앰브로스&세스 롤린스)의 경기로 35분 25초를 기록했다.
  • 역대 최단 시간 경기는 2014년 익스트림 룰즈에서 열린 엘 토리토 vs 혼스워글의 WeeLC(미니 TLC) 경기로 10분 35초를 기록했다.
  • 여담으로 아스카는 TLC 페이퍼뷰에서만 4연승을 기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TLC 문서의 r6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TLC 문서의 r6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07:35:49에 나무위키 WWE TLC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반 경기와 규칙은 같은데 철제 의자를 무기로 사용할 수 있는 경기로, 의자가 아닌 무기를 사용하는 반칙은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로블로 같은 일반 반칙도 금지.[2] RAW의 WWE 챔피언쉽 경기는 테이블 매치, 스맥다운의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쉽 경기는 체어 매치, ECW의 ECW 챔피언십은 래더매치.[3] WWE 챔피언[4]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5] 이 경기를 통해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두 타이틀이 통합되었다.[6] WWE 에서는 계속 타이틀 매치만 TLC로 개최되었으나 2012년 12년만에 처음으로 핀폴로 경기가 끝나는 TLC 매치가 개최되었다. 이 경기가 쉴드의 WWE 메인 쇼 데뷔 매치. [7] 에지와 크리스찬의 대표적 태그팀 기술로 콘체어토(Con-Chair-To)가 있는데 이 기술은 한 명의 상대에게 두 사람이 동시에 상대의 머리에 체어샷을 시전하는 기술이다.[8] 그렇다고 해서 E&C가 래더 매치를 잘 못하는가 하면 그건 절대 아니다. 이 두 사람도 래더 매치에 출전했다 하면 상당히 좋은 활약이나 명경기를 보여주곤 했다.[9] 이 경기는 데이브 멜처에게 4.5성을 받았으며,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2000년 올해의 경기 3위에 이름을 올린다.[10] 데이브 멜처에게서 4.75성을 받은 경기를 만들었으며,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2001년 올해의 경기 15위에 이름을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