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X(The xx)

덤프버전 :

The xx
The xx 디스코그래피
[ 펼치기 · 접기 ]
1집
2집
3집
[[XX(The x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Xx_album_cover.svg.png
]]
파일:external/thexx.info/packshot.jpg
파일:the-xx-i-see-you-Cover-Art.webp
XX
(2009)
Coexist
(2012)
I See You
(2017)


XX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MP22_Logo_RGB.png
머큐리 프라이즈 수상 앨범
'''[[틀:머큐리 프라이즈 수상(1992년~2010년)|{{{#050004,#fff Mercury Prize Winner
(1992~2010)}}}]]'''
[ 펼치기 · 접기 ]
19921993199419951996
파일:ab67616d0000b27339180b45808493a1f687c91d.jpg
파일:71rvL3y5KlL._SL1500_.jpg
파일:ab67616d0000b27317971d7cb1d2117270eaac0f.jpg
파일:portishead_dummy.jpg
파일:different class-1995.jpg
프라이멀 스크림스웨이드엠 피플포티스헤드펄프
ScreamadelicaSuedeElegant SlummingDummyDifferent Class
19971998199920002001
파일:square.webp
파일:R-16049134-1602653255-4234.jpg
파일:R-172889-1642274682-2780.jpg
파일:BDB-1592860757-870x870.jpg
파일:Stories From the City, Stories From the Sea.jpg
로니 사이즈 & 레프라젠트고메즈탤빈 씽배들리 드론 보이PJ 하비
New FormsBring It OnOKThe Hour of BewilderbeastStories from the City, Stories from the Sea
20022003200420052006
파일:51DylDXtxiL._UF894,1000_QL80_.jpg
파일:https___images.genius.com_ed61528b8b493cba4f7518ef3f535c9a.1000x1000x1.jpg
파일:프란츠1집.jpg
파일:61vG0cmsH2S._UF1000,1000_QL80_.jpg
파일:external/www.ypogeio.gr/183_1_arcticmonkeys-whateverpeoplesayiam.jpg
미스 다이너마이트디지 라스칼프란츠 퍼디난드안토니 앤 더 존슨스악틱 몽키즈
A Little DeeperBoy in da CornerFranz FerdinandI Am a Bird Now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2007200820092010 -
파일:81u0Ql42u5L._UF1000,1000_QL80_.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he_Seldom_Seen_Kid.jpg
파일:speech-therapy-crop.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Xx_album_cover.svg.png
-
클락손스엘보우스피치 데벨르디 엑스엑스-
Myths of the Near FutureThe Seldom Seen KidSpeech Therapyxx-
''

''

''''

''''










파일:StuBru_logo.png
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000,#fff 16위
2014년}}}
>
파일:StuBru_logo.png
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000,#fff 2014년 16위 2015년 71위
57위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 펼치기 · 접기 ]
Transgender Dysphoria Blues
어게인스트 미!
Me Myself I
조앤 아마트레이딩
Bouncing Off the Satellites
The B-52's
Silent Alarm
블록 파티
Cheapness and Beauty
보이 조지
Choreography
브라이트 라이트 브라이트 라이트
The Story
블랜디 칼라일
Chaleur humaine
크리스틴 앤 더 퀸즈
Kissing to Be Clever
컬처 클럽
Mad, Bad and Dangerous to Know
데드 오어 얼라이브
Wonderland
이레이저
Erasure
이레이저
Your Little Secret
멜리사 에서리지
The Tension and the Spark
대런 헤이즈
Zen Arcade
허스커 두
Indigo Girls
인디고 걸스
Ego Death
더 인터넷
Goodbye Yellow Brick Road
엘튼 존
99.9%
케이트라나다
Beyond the Mix
프랭키 너클스
Invincible Summer
k.d.랭
Here's Little Richard
리틀 리처드
69 Love Songs
마그네틱 필즈
The Sound Of... McAlmont & Butler
맥알몬트 앤 버틀러
Older
조지 마이클
No Place In Heaven
미카(MIKA)
The ArchAndroid
자넬 모네
Dirty Computer
자넬 모네
Bitter
미셸 은디지오첼로
Peace Beyond Passion
미셸 은디지오첼로
channel ORANGE
프랭크 오션
Undressed
팬시 디비전
Wines & Spirits
라샨 패터슨
Bilingual
펫 샵 보이즈
Without You I'm Nothing
플라시보
A Night at the Opera
Automatic for the People
R.E.M.
Just Fred
프레드 슈나이더
Night Work
시저 시스터즈
Dig Me Out
슬리터 키니
In The Lonely Hour
샘 스미스
Stay Free
사운드 오브 애로우스
Dusty in Memphis
더스티 스프링필드
Bazaar
실베스터 제임스 주니어
So Jealous
테건 앤 사라
Release the Stars
루퍼스 웨인라이트
Man Enough to Be a Woman
웨인 카운티 & 더 일렉트릭 체어스
Eroica
웬디 & 리사
XX
The xx
Echoes
윌 영
출처



X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Xx_album_cover.svg.png
아티스트The xx
발매2009년 8월 14일
녹음2008년 12월2009년 4월
장르인디 팝, 드림 팝, 얼터너티브
길이38:34
트랙11
프로듀서Jamie Smith
레이블Young Turks
1. 개요
2. 평가
3. 트랙 리스트



1. 개요[편집]


2009년 8월에 발매된 The xx의 1집. 나오자마자 특유의 미니멀한 음악으로 전세계에 일대 센세이션을 일으킨 앨범. the XX는 2009년 최고의 신인이라는 영예를 안을 수 있었고, 신인임에도 불구하고 이 앨범은 여러 매체에서 2009년 최고의 앨범들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하였다.[1] 2009년의 머큐리 프라이즈 수상작이기도 하다.

2. 평가[편집]










XX의 전문가 평점
매체평점
The A.V. ClubA
The Daily Telegraph★★★★☆
The Guardian★★★★☆
The Irish Times★★★★☆
MSN Music (Consumer Guide)A
NME8/10
Rolling Stone★★★★☆
The Sunday Times★★★★☆

3. 트랙 리스트[편집]


트랙리스트
#제목
1Intro
2VCR
3Crystalised
4Islands
5Heart Skipped a Beat
6Fantasy
7Shelter
8Basic Space
9Infinity
10Night Time
11Stars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14:14:05에 나무위키 XX(The xx)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 당시 경쟁했던 앨범이 애니멀 콜렉티브의 메리웨더 앨범이었던 걸 생각하면...근데 대체로 밀리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