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동 고분군

덤프버전 : r20190312

분류


백제의 중심고분군과 왕릉

[ 펼치기 · 접기 ]
한성백제
서울 석촌동 고분군
76-파괴분
석촌동 1호분
석촌동 2호분
석촌동 3호분
석촌동 4호분

서울 가락동 고분군
가락동 3호분
웅진백제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송산리 1~4호분
무령왕릉
송산리6호분

사비백제
부여 왕릉원
중하총 / 중상총
서하총 / 서상총
동하총 / 동상총

익산 쌍릉
대왕릉 / 소왕릉
백제의 도성과 궁궐




삼국시대 고분의 형태와 변천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파일:고구려 삼족오.png
1~2세기
~3세기
4세기
5세기
6세기
7세기~








고구려
무기단식/기단식 적석총

계장식
계단식 적석총

석곽
광실/석실
장군총형

석실 봉토분(벽화분)
발해 고분
생활풍속도
사신도
평양지역
낙랑고구려
전실분, 다실벽화분
→고구려/백제로 영향
파일:백제 진묘수.png
1~2세기
3세기
4세기
5세기
6세기
7세기








백제
즙석분구묘/방형주구묘
한성기 석실
석촌·가락·방이동
웅진기 석실
송산리형 석실

사비기 석실
능산리형 석실

마한*
호남지역
주구토광묘
옹관고분

전방후원분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1~2세기
3세기
4세기
5세기
6세기
7~9세기








신라
목관
목곽
적석목곽묘경주, 일부 지방
석실
석곽묘지방
단독 형성
고분군의 형성
고총/고총군 형성
고총 둔화
파일:가야의상징이라고칩시다심볼할게없네.png
1~2세기
3세기
4세기
5세기
6세기
7세기~








금관가야

아라가야

대가야

소가야




파일:석촌가락방이.jpg
▲가락동 고분군의 분포도. 석촌동 고분군방이동 고분군과의 관계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1. 개요
2. 주요 고분
2.1. 가락동 舊 2호
2.2. 가락동 1, 2호
2.3. 가락동 3호분
2.4. 가락동 4호분
2.5. 가락동 5호분
2.6. 가락동 6호분
3. 고분군의 성격



1. 개요[편집]


석촌동 고분군과 더불어 한성 백제의 중심 고분군으로 여겨지는 고분군이자 원룸촌. 지금은 남아 있는 것이 하나도 없으며 모두 개발되어 흔적이 남아 있지 않다.


2. 주요 고분[편집]



2.1. 가락동 舊 2호[편집]


일제강점기에 조사된 석실이다. 현재 가락동 구 2호는 정확한 위치를 모르는데, 아래의 가락동 5호분과 도면이 매우 유사하다. 학계에서는 가락동 구 2호가 현재의 가락동 5호분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2.2. 가락동 1, 2호[편집]


즙석봉토분. 정확한 위치는 보고서를 봐야하지만... 보고서가 음슴.


2.3. 가락동 3호분[편집]


주요한 쟁점이 되는 석실 중의 하나. 방이동 고분군 문서에 나와 있듯이 신라토기가 출토된 석실로써 백제 석실이냐 아니냐의 문제가 제기되어 있다.


2.4. 가락동 4호분[편집]


주요한 쟁점이 되는 석실 중의 하나. 삐딱한 묘도를 갖는 특이한 형태의 석실로써 신라 석실, 백제 석실 모두 확인되는 현상이다.


2.5. 가락동 5호분[편집]


일제강점기에 조사된 구 2호분으로 추정되는 석실.


2.6. 가락동 6호분[편집]


파괴가 심하여 석실의 바닥면만 조사된 석실로써 아무래도 정보가 부족하다보니 논의의 대상에서는 비교적 거론되지 않는 편에 속한다.


3. 고분군의 성격[편집]


행정구역의 구분 때문에 가락동 고분군이라고 불릴 뿐 사실상 가락동 고분군은 석촌동 고분군에 포함된 구역과 방이동 고분군에 포함된 구역으로 나뉜다. 석촌동 고분군에 포함되는 구역이라고 해봤자 가락동 3호 뿐이고 방이동 고분군에 포함되는 것이 가락동 고분군의 나머지 대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