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발바리

덤프버전 :

나무발바리
Treecreeper


파일:Certhia familiaris.jpg

학명
Certhia familiaris
Linnaeus, 1758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상목
신조상목(Neoaves)

참새목(Passeriformes)
아목
참새아목(Passeri)
하목
참새하목(Passerides)
상과
나무발바리상과(Certhioidea)

나무발바리과(Certhiidae)

나무발바리속(Certhia)

나무발바리(C. familiaris)

파일:나무발바리.jpg

1. 서식
2. 생김새
3. 생태
4. 아종
5. 명칭에 관해서




1. 서식[편집]


나무발바리는 참새목 나무발바리과의 이며, 유라시아대륙 전역의 온대나 야한대에서 번식한다. 국내에서는 흔하지 않은 겨울철새다. 10월 중순부터 도래하며 3월 하순까지 머문다. 설악산, 오대산 등 일부 지역에서 여름철에도 관찰되며, 2004년 오대산에서 번식이 확인되었다. 평지나 산지의 활엽수림, 침엽수림에 서식한다.


2. 생김새[편집]


몸 윗면은 갈색이며 회백색 점 또는 줄무늬가 흩어져 있다. 날개깃에 황갈색과 검은 줄무늬가 있다. 부리는 가늘고 길며 아래로 굽었다. 꼬리른 길며 양쪽으로 갈라졌다. 몸 아랫면은 흰색이다. 귀엽다.


3. 생태[편집]


고목의 나무 구멍, 나무의 갈라진 틈 속에 가는 나뭇조각을 거미줄로 엮어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내부에는 동물의 털을 깐다. 나무줄기의 밑에서부터 꼬리를 나무에 지탱해 기어오르며 나무껍질 속에 있는 곤충류, 거미류를 먹이로 한다. 천적으로는 맹금류딱따구리가 있다.


4. 아종[편집]


지리적으로 10~13개의 아종으로 나뉜다. 국내에는 3아종이 찾아올 가능성이 높다. daurica는 시베리아예니세이강에서 오호츠크 해 연안, 남쪽으로 몽골 북부에 분포하며, 겨울철새로 찾아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Orientalis는 아무르, 우수리, 중국 동북부의 지린성에서 허베이성 일원, 쿠릴 열도, 사할린, 홋카이도에 분포하며, 주로 중부 이북지역에 겨울철새로 찾아오고, 강원 일대에서 번식하는 무리는 분포지역으로 볼 때 본 아종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아종을 daurica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japonica는 일본 혼슈, 시코쿠에 분포하며, 겨울철새로 찾아오거나 이동시기에 한반도 남부를 통과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5. 명칭에 관해서[편집]


'나무발발이'라는 명칭이 혼재되어 사용된다. 이 이름이 더 익숙할 사람들도 많을텐데, 압축 프로그램인 알집을 설치 후 새 폴더를 생성시 나오는 새 이름에서 해당 새의 이름이 '나무발발이'로 표기돼서 나왔기 때문이다. 위키백과에서는 나무발바리과로 등록되어있는 반면 #, 국립생물자원관에서 관리하는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사이트에는 나무발발이라고 등록이 되어있다.# 일단 사전에 등재된 용어는 나무발바리이고, 발바리도 발발이가 아니라 발바리가 표준어이기 때문에 나무발바리가 옳은 표현으로 보인다.

바들바들 동물콘의 '저는기어다닐거예요' 새가 바로 이 녀석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22:41:10에 나무위키 나무발바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