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MBTI

덤프버전 : r (♥ 0)



1. 개요
2. 유의사항
3. 상세
3.1. E VS I (I의 보통 우세)
3.2. S VS N (S의 약한 우세)
3.3. T VS F (T의 강한 우세)
3.4. J VS P (J의 강한 우세)
3.5. 기질별
3.6. 표본평균으로 매긴 순위
3.6.1. 종합 순위
3.6.2. ‘수리(가)·과학탐구’ 조합
3.6.2.1. 외국어(영어) 영역 미포함
3.6.2.2. 외국어(영어) 영역 포함
3.6.3. ‘수리(나)·사회탐구’ 조합
3.6.3.1. 외국어(영어) 영역 미포함
3.6.3.2. 외국어(영어) 영역 포함
3.6.4. 특수한 조합
3.6.4.1. 수리(가)·과학탐구
3.6.4.2. 수리(나)·사회탐구
3.7. 계열별 유불리
4. 여담



1. 개요[편집]


200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표본을 토대로 MBTI와 그들의 성적과 어떤 관계성이 있는지 알아본다. 해당 내용은 엄연히 유료로 제공되고 있는 위의 논문을 토대로 기재된 것이기 때문에 모든 내용을 그대로 담아낼 수 없다. 여기서는 통계 표만 갖고 객관적이되 다양한 재해석을 하도록 한다.


2. 유의사항[편집]


고려할 점 1. 6차 교육과정이 적용되었던 2004 대수능(2003년 시행)을 비롯한 자료이다. 시기적으로 낡은 근거인 만큼 현재와 다소 맞지 않을 수 있다. 당시엔 아래와 같은 체제로 시험이 시행되었다. 2020년대 수능과는 문항, 배점, 계열 구분 면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교시영역계열 구분문항배점시간(분)
1언어 영역공통6012090
2수리 영역인문·예체능 (나)
자연 (가)
3080100
3사회탐구 영역인문·예체능4872120
자연3248
과학탐구 영역인문·예체능3248
자연4872
4외국어(영어) 영역공통508070
합계220400380

고려할 점 2. 당시 수능 범위였던 6차 교육과정의 교과목들의 수준과 시험 범위가 현 수능 체제에 비해 지나치게 어렵고 넓었다. 특히나 당시엔 3교시에 인문계열·예체능2015 개정 교육과정 정도의 과학Ⅰ에 해당하는 범위를 필수로 치렀고, 자연계열도 마찬가지로 일반선택과목 정도의 사회 교과목을 필수로 치렀었다. 이과 수학 역시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는 막론하고 그 이상의 범위(행렬, 공간 벡터, 일차변환 등)를 필수로 치렀다. 따라서 당시엔 충분히 지식적인 내용만으로도 변별이 가능했던 시기로, 2010년대~2020년대 수능처럼 킬러 문제가 상위권 당락을 좌우하는 흐름이 아니었다.[1]

고려할 점 3. MBTI 검사 표본이 생각보다 적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GPA 공통 표본으로 넘어가면, 한 유형에 해당하는 표본이 적게는 3명 내지 4명에 가까운 양상을 띠는데, 이 인원수로 대푯값을 산출해내는 것은 다소 비약적일 수 있다.


3. 상세[편집]


절대적인 점수가 얼마나 차이나냐는 유의미하지 않고 t-검정p-값이 0.05보다 작은지, 큰지를 보아야 한다. 0.05보다 작아야 두 성적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난다고 본다.


3.1. E VS I (I의 보통 우세)[편집]


파일:MBTI와_수능_EI.png
  • 모든 영역에서 I 유형이 E 유형보다 높았으나, '외국어(영어) 영역' 이외에는 통계적으로 크게 유의미하진 않았다. 특히나 언어 영역(국어 영역)은 E 유형과 I 유형 사이에서 아주 미미한 차이를 보였을 뿐, 거의 같은 수준이었다.
  • E: 국가과영 240.42 / 국나사영 253.35 / 국가과 174.79 / 국나사 187.72
  • I: 국가과영 255.21 / 국나사영 265.96 / 국가과 185.49 / 국나사 195.77
  • |E-I| ≒ 18

3.2. S VS N (S의 약한 우세)[편집]


파일:MBTI와_수능_SN.png
  • 수리 나형(수학 나형)에서 S 유형이 N 유형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치이다.
  • 언어 영역(국어 영역)과 과학탐구 영역에서는 N 유형이 S 유형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크게 유의미하진 않았다.
  • 사회탐구 영역, 수리 가형(수학 가형), 외국어(영어) 영역에서는 N 유형이 S 유형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크게 유의미하진 않았다.
  • S: 국가과영 247.02 / 국나사영 262.43 / 국가과 179.22 / 국나사 194.63
  • N: 국가과영 249.87 / 국나사영 252.9 / 국가과 182.48 / 국나사 185.51
  • |S-N| ≒ 6

3.3. T VS F (T의 강한 우세)[편집]


파일:MBTI와_수능_TF.png
  • 모든 영역에서 T 유형이 F 유형보다 높았으며, (수리 가형, 과학탐구를 제외한)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특히 언어 영역(국어 영역), 수리 나형(수학 나형), 사회탐구 영역에서는 T 유형이 F 유형보다 매우 강력한 우세를 보였다.
  • T: 국가과영 257.17 / 국나사영 274.88 / 국가과 187.29 / 국나사 205.0
  • F: 국가과영 236.44 / 국나사영 240.50 / 국가과 171.62 / 국나사 175.68
  • |T-F| ≒ 36

3.4. J VS P (J의 강한 우세)[편집]


파일:MBTI와_수능_JP.png
  • 모든 영역에서 J 유형이 P 유형보다 높았으며, (수리 가형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특히 언어 영역(국어 영역), 과학탐구 영역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 J: 국가과영 266.73 / 국나사영 277.27 / 국가과 195.35 / 국나사 205.89
  • P: 국가과영 237.24 / 국나사영 247.98 / 국가과 171.91 / 국나사 182.65
  • |J-P| ≒ 37

3.5. 기질별[편집]


파일:MBTI와_수능_기질별.png

  • 수리 나형(수학 나형) 성적은 SJ 유형이 타 유형들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 자연계열 표본에서는 MBTI에 따른 성적 차이가 크게 유효하지 않았으나, 크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던 과학탐구 영역 성적만 놓고 보면, J 유형이 P 유형보다 수능에서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 크게 유의미했던 통계적 우위 비교는 다음과 같다.
    • 언어 영역(국어 영역): NT > SP
    • 수리 영역(수학 영역)
      • 가형: -
      • 나형: SJ > SP, NT > NF
    • 외국어(영어) 영역: SJ > SP
    • 사회탐구 영역: SJ > SP, SJ > NF
    • 과학탐구 영역: -


3.6. 표본평균으로 매긴 순위[편집]


  • 모든 유형이 동일한 비율로 존재했을 때를 두고 매긴 가정치다. 표준화시켰기 때문에 평균으로부터 떨어진 순위끼리 점수가 대칭된다.
  • 과목 반영 비율은 균등하게 하였다.
  • z 점수가 높은 전형일수록 본인에게 유리해진다.


3.6.1. 종합 순위[편집]


수리 가형과 수리 나형의 새로운 대푯값은 {(수리 가형 표본 평균)×(인원 수)+(수학 나형 표본 평균)×(인원 수)}/전체 인원 수로 매겼다.

순위유형점수(z)
1ISTJ+1.7576
2INTJ+1.5366
3ESTJ+1.1304
4ENTJ+0.9094
5ISFJ+0.4508
6ISTP+0.3974
7INFJ+0.2298
8INTP+0.1764
평균
9ESFJ-0.1764
10ESTP-0.2298
11ENFJ-0.3974
12ENTP-0.4508
13ISFP-0.9094
14INFP-1.1304
15ESFP-1.5366
16ENFP-1.7576

새 대푯값
언 E=63.74 I=65.29 S=63.59 N=66.09 T=67.89 F=60.29 J=69.48 P=61.48
수 E=62.19 I=64.94 S=65.33 N=60.34 T=66.98 F=59.24 J=68.37 P=60.59
영 E=65.63 I=69.72 S=67.8 N=67.39 T=69.88 F=64.82 J=71.38 P=65.33
사 E=59.57 I=63.93 S=62.89 N=58.8 T=66.51 F=55.56 J=65.63 P=58.82
탐 E=53.57 I=58.19 S=55.61 N=56.48 T=58.10 F=53.26 J=61.85 P=52.82
E 304.7
I 322.07
S 315.22
N 309.1
T 329.36
F 293.17
J 336.71
P 299.04
계산
평균=1254.685, 표준편차=27.694387
ISTJ 322.07+315.22+329.36+336.71=1303.36 / +1.7576
ISFJ 322.07+315.22+293.17+336.71=1267.17 / +0.4508
INFJ 322.07+309.1+293.17+336.71=1261.05 / +0.2298
INTJ 322.07+309.1+329.36+336.71=1297.24 / +1.5366
ISTP 322.07+315.22+329.36+299.04=1265.69 / +0.3974
ISFP 322.07+315.22+293.17+299.04=1229.5 / -0.9094
INFP 322.07+309.1+293.17+299.04=1223.38 / -1.1304
INTP 322.07+309.1+329.36+299.04=1259.57 / +0.1764
ESTP 304.7+315.22+329.36+299.04=1248.32 / -0.2298
ESFP 304.7+315.22+293.17+299.04=1212.13 / -1.5366
ENFP 304.7+309.1+293.17+299.04=1206.01 / -1.7576
ENTP 304.7+309.1+329.36+299.04=1242.2 / -0.4508
ESTJ 304.7+315.22+329.36+336.71=1285.99 / +1.1304
ESFJ 304.7+315.22+293.17+336.71=1249.8 / -0.1764
ENFJ 304.7+309.1+293.17+336.71=1243.68 / -0.3974
ENTJ 304.7+309.1+329.36+336.71=1279.87 / +0.9094

3.6.2. ‘수리(가)·과학탐구’ 조합[편집]



3.6.2.1. 외국어(영어) 영역 미포함[편집]

순위유형점수(z)
1INTJ+1.7496
2ISTJ+1.5346
3ENTJ+1.0441
4ESTJ+0.8291
5INFJ+0.7164
6ISFJ+0.5014
7INTP+0.2041
8ENFJ+0.0109
평균
9ISTP-0.0109
10ESFJ-0.2041
11ENTP-0.5014
12ESTP-0.7164
13INFP-0.8291
14ISFP-1.0441
15ENFP-1.5346
16ESFP-1.7496

계산
평균=724.075000 , 표준편차=15.166576
ISTJ185.49+179.22+187.29+195.35=747.35+153.46
ISFJ185.49+179.22+171.62+195.35=731.68+50.14
INFJ185.49+182.48+171.62+195.35=734.94+71.64
INTJ185.49+182.48+187.29+195.35=750.61+174.96
ISTP185.49+179.22+187.29+171.91=723.91-1.09
ISFP185.49+179.22+171.62+171.91=708.24-104.41
INFP185.49+182.48+171.62+171.91=711.5-82.91
INTP185.49+182.48+187.29+171.91=727.17+20.41
ESTP174.79+179.22+187.29+171.91=713.21-71.64
ESFP174.79+179.22+171.62+171.91=697.54-174.96
ENFP174.79+182.48+171.62+171.91=700.8-153.46
ENTP174.79+182.48+187.29+171.91=716.47-50.14
ESTJ174.79+179.22+187.29+195.35=736.65+82.91
ESFJ174.79+179.22+171.62+195.35=720.98-20.41
ENFJ174.79+182.48+171.62+195.35=724.24+1.09
ENTJ174.79+182.48+187.29+195.35=739.91+104.41


3.6.2.2. 외국어(영어) 영역 포함[편집]

영어를 포함시키면 표준편차가 크게 늘어나서 변별력이 강화된다.

순위유형점수(z)
1INTJ+1.7370
2ISTJ+1.5911
3ENTJ+0.9798
4ESTJ+0.8339
5INFJ+0.6758
6ISFJ+0.5299
7INTP+0.2273
8ISTP+0.0814
평균
9ENFJ-0.0814
10ESFJ-0.2273
11ENTP-0.5299
12ESTP-0.6758
13INFP-0.8339
14ISFP-0.9798
15ENFP-1.5911
16ESFP-1.7370

계산
평균=995.05, 표준편차=19.533686
ISTJ 255.21+247.02+257.17+266.73 = 1,026.13 / +1.5911
ISFJ 255.21+247.02+236.44+266.73 = 1,005.4 / +0.5299
INFJ 255.21+249.87+236.44+ 266.73 = 1,008.25 / +0.6758
INTJ 255.21+249.87+257.17+266.73 = 1,028.98 / +1.7370
ISTP 255.21+247.02+257.17+237.24 = 996.64 / +0.0814
ISFP 255.21+247.02+236.44+237.24 = 975.91 / -0.9798
INFP 255.21+249.87+236.44+237.24 = 978.76 / -0.8339
INTP 255.21+249.87+257.17+237.24 = 999.49 / +0.2273
ESTP 240.42+247.02+257.17+237.24 = 981.85 / -0.6758
ESFP 240.42+247.02+236.44+237.24 = 961.12 / -1.7370
ENFP 240.42+249.87+236.44+237.24 = 963.97 / -1.5911
ENTP 240.42+249.87+257.17+237.24 = 984.7 / -0.5299
ESTJ 240.42+247.02+257.17+266.73 = 1,011.34 / +0.8339
ESFJ 240.42+247.02+236.44+266.73 = 990.61 / -0.2273
ENFJ 240.42+249.87+236.44+266.73 = 993.46 / -0.0814
ENTJ 240.42+249.87+257.17+266.73 = 1,014.19 / +0.9798


3.6.3. ‘수리(나)·사회탐구’ 조합[편집]



3.6.3.1. 외국어(영어) 영역 미포함[편집]

순위유형점수(z)
1ISTJ+1.7724
2ESTJ+1.3632
3INTJ+1.3088
4ENTJ+0.8996
5ISTP+0.5910
6ISFJ+0.2819
7ESTP+0.1817
8INTP+0.1273
평균
9ESFJ-0.1273
10INFJ-0.1817
11ENTP-0.2819
12ENFJ-0.5910
13ISFP-0.8996
14ESFP-1.3088
15INFP-1.3632
16ENFP-1.7724

계산
평균=766.425, 표준편차=19.670644
ISTJ 195.77+194.63+205.0+205.89=801.29 / +1.7724
ISFJ 195.77+194.63+175.68+205.89=771.97 / +0.2819
INFJ 195.77+185.51+175.68+205.89=762.85 / -0.1817
INTJ 195.77+185.51+205.0+205.89=792.17 / +1.3088
ISTP 195.77+194.63+205.0+182.65=778.05 / +0.5910
ISFP 195.77+194.63+175.68+182.65=748.73 / -0.8996
INFP 195.77+185.51+175.68+182.65=739.61 / -1.3632
INTP 195.77+185.51+205.0+182.65=768.93 / +0.1273
ESTP 187.72+194.63+205.0+182.65=770 / +0.1817
ESFP 187.72+194.63+175.68+182.65=740.68 / -1.3088
ENFP 187.72+185.51+175.68+182.65=731.56 / -1.7724
ENTP 187.72+185.51+205.0+182.65=760.88 / -0.2819
ESTJ 187.72+194.63+205.0+205.89=793.24 / +1.3632
ESFJ 187.72+194.63+175.68+205.89=763.92 / -0.1273
ENFJ 187.72+185.51+175.68+205.89=754.8 / -0.5910
ENTJ 187.72+185.51+205.0+205.89=784.12 / +0.8996


3.6.3.2. 외국어(영어) 영역 포함[편집]

영어를 포함시키면 표준편차가 크게 늘어나서 변별력이 강화된다.

순위유형점수(z)
1ISTJ+1.7933
2INTJ+1.3950
3ESTJ+1.2662
4ENTJ+0.8679
5ISTP+0.5691
6ISFJ+0.3563
7INTP+0.1707
8ESTP+0.0420
평균
9INFJ-0.0420
10ESFJ-0.1707
11ENTP-0.3563
12ENFJ-0.5691
13ISFP-0.8679
14INFP-1.2662
15ESFP-1.3950
16ENFP-1.7933

계산
평균=1037.635, 표준편차=23.925517
ISTJ 265.96+262.43+274.88+277.27 = 1,080.54 / +1.7933
ISFJ 265.96+262.43+240.50+277.27 = 1,046.16 / +0.3563
INFJ 265.96+252.9+240.50+277.27 = 1,036.63 / -0.0420
INTJ 265.96+252.9+274.88+277.27 = 1,071.01 / +1.3950
ISTP 265.96+262.43+274.88+247.98 = 1,051.25 / +0.5691
ISFP 265.96+262.43+240.50+247.98 = 1,016.87 / -0.8679
INFP 265.96+252.9+240.50+247.98 = 1,007.34 / -1.2662
INTP 265.96+252.9+274.88+247.98 = 1,041.72 / +0.1707
ESTP 253.35+262.43+274.88+247.98 = 1,038.64 / +0.0420
ESFP 253.35+262.43+240.50+247.98 = 1,004.26 / -1.3950
ENFP 253.35+252.9+240.50+247.98 = 994.73 / -1.7933
ENTP 253.35+252.9+274.88+247.98 = 1,029.11 / -0.3563
ESTJ 253.35+262.43+274.88+277.27 = 1,067.93 / +1.2662
ESFJ 253.35+262.43+240.50+277.27 = 1,033.55 / -0.1707
ENFJ 253.35+252.9+240.50+277.27 = 1,024.02 / -0.5691
ENTJ 253.35+252.9+274.88+277.27 = 1,058.4 / +0.8679


3.6.4. 특수한 조합[편집]


이 기준은 모든 과목을 균등하게 부여한 것이 아니라 서울대학교 기준으로 수학 40%, 국어 33.3%, 탐구 26.7%로 놓고, 여기에 절대평가 및 감점 폭이 적은 영어 영역에 소폭의 가중치를 가상으로 부여하여 총합하여 계산하였다.(배수: 6, 5, 4, 1) 서울대학교 입시를 노리는 학생 입장에서는 이것이 조금 더 표준이 될 수 있겠다. 최근과 입시 트렌드가 바뀌어 아주 유사하다고 보긴 어렵지만, 적어도 위의 기준보다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참고로 문과는 사탐, 이과는 과탐을 선택했을 때의 기준이며 과목별 유불리를 고려한 값이 아니다.

가중치 반영값
E 언(318.7) 수가(344.88) 수나(386.46) 영(65.63) 사(238.28) 과(214.28)
I 언(326.45) 수가(372.06) 수나(402.12) 영(69.72) 사(255.72) 과(232.76)
S 언(317.95) 수가(360.12) 수나(408.9) 영(67.80) 사(251.56) 과(222.44)
N 언(330.45) 수가(359.46) 수나(363.72) 영(67.39) 사(235.2) 과(225.92)
T 언(339.45) 수가(367.8) 수나(423.6) 영(69.88) 사(266.04) 과(232.4)
F 언(301.45) 수가(348.42) 수나(358.98) 영(64.82) 사(222.24) 과(213.04)
J 언(347.4) 수가(384.12) 수나(424.68) 영(71.38) 사(262.52) 과(247.4)
P 언(307.4) 수가(345.66) 수나(374.10) 영(65.33) 사(235.28) 과(211.28)


3.6.4.1. 수리(가)·과학탐구[편집]

하지만 동등한 비율로 반영했을 때와 z-점수나 순위 등에 변화는 거의 없었다.

순위유형점수(z)
1INTJ+1.7425
2ISTJ+1.5499
3ENTJ+0.9997
4ESTJ+0.8071
5INFJ+0.7512
6ISFJ+0.5586
7INTP+0.1842
8ENFJ+0.0084
평균
9ISTP-0.0084
10ESFJ-0.1842
11ENTP-0.5589
12ESTP-0.7512
13INFP-0.8071
14ISFP-0.9997
15ENFP-1.5499
16ESFP-1.7425

국가과영 합산값
E 318.7+344.88+214.28+65.63=943.49
I 326.45+372.06+232.76+69.72=1,000.99
S 317.95+360.12+222.44+67.80=968.31
N 330.45+359.46+225.92+67.39=983.22
T 339.45+367.8+232.4+64.82=1,004.47
F 301.45+348.42+213.04+64.82=927.73
J 347.4+384.12+247.4+71.38=1,050.3
P 307.4+345.66+211.28+65.33=929.67
계산
평균=3904.09, 표준편차=77.40992
ISTJ 1,000.99+968.31+1,004.47+1,050.3=4,024.07
ISFJ 1,000.99+968.31+927.73+1,050.3=3,947.33
INFJ 1,000.99+983.22+927.73+1,050.3=3,962.24
INTJ 1,000.99+983.22+1,004.47+1,050.3=4,038.98
ISTP 1,000.99+968.31+1,004.47+929.67=3,903.44
ISFP 1,000.99+968.31+927.73+929.67=3,826.7
INFP 1,000.99+983.22+927.73+929.67=3,841.61
INTP 1,000.99+983.22+1,004.47+929.67=3,918.35
ESTP 943.49+968.31+1,004.47+929.67=3,845.94
ESFP 943.49+968.31+927.73+929.67=3,769.2
ENFP 943.49+983.22+927.73+929.67=3,784.11
ENTP 943.49+983.22+1,004.47+929.67=3,860.85
ESTJ 943.49+968.31+1,004.47+1,050.3=3,966.57
ESFJ 943.49+968.31+927.73+1,050.3=3,889.83
ENFJ 943.49+983.22+927.73+1,050.3=3,904.74
ENTJ 943.49+983.22+1,004.47+1,050.3=3,981.48


3.6.4.2. 수리(나)·사회탐구[편집]

동등한 비율로 반영했을 때와 크게 차이는 없다. 다만, 수학을 잘해야 좀 더 유리해지므로 S 유형이 다소 유리해졌다.

순위유형점수(z)
1ISTJ+1.7956
2ESTJ+1.3531
3INTJ+1.3086
4ENTJ+0.8661
5ISTP+0.5758
6ISFJ+0.3537
7ESTP+0.1332
8INTP+0.0888
평균
9ESFJ-0.0888
10INFJ-0.1817
11ENTP-0.3537
12ENFJ-0.5758
13ISFP-0.8661
14ESFP-1.3086
15INFP-1.3531
16ENFP-1.7956

국나사영 합산값
E 318.7+386.46+238.28+65.63=1,009.07
I 326.45+402.12+255.72+69.72=1,054.01
S 317.95+408.9+251.56+67.80=1,046.21
N 330.45+363.72+235.2+67.39=996.76
T 339.45+423.6+266.04+64.82=1,093.91
F 301.45+358.98+222.24+64.82=947.49
J 347.4+424.68+262.52+71.38=1,105.98
P 307.4+374.10+235.28+65.33=982.11
계산
평균=4117.77, 표준편차=101.547402
ISTJ 1,054.01+1,046.21+1,093.91+1,105.98=4,300.11
ISFJ 1,054.01+1,046.21+947.49+1,105.98=4,153.69
INFJ 1,054.01+996.76+947.49+1,105.98=4,104.24
INTJ 1,054.01+996.76+1,093.91+1,105.98=4,250.66
ISTP 1,054.01+1,046.21+1,093.91+982.11=4,176.24
ISFP 1,054.01+1,046.21+947.49+982.11=4,029.82
INFP 1,054.01+996.76+947.49+982.11=3,980.37
INTP 1,054.01+996.76+1,093.91+982.11=4,126.79
ESTP 1,009.07+1,046.21+1,093.91+982.11=4,131.3
ESFP 1,009.07+1,046.21+947.49+982.11=3,984.88
ENFP 1,009.07+996.76+947.49+982.11=3,935.43
ENTP 1,009.07+996.76+1,093.91+982.11=4,081.85
ESTJ 1,009.07+1,046.21+1,093.91+1,105.98=4,255.17
ESFJ 1,009.07+1,046.21+947.49+1,105.98=4,108.75
ENFJ 1,009.07+996.76+947.49+1,105.98=4,059.3
ENTJ 1,009.07+996.76+1,093.91+1,105.98=4,205.72


3.7. 계열별 유불리[편집]


사실 본인 유형이 위에서 순위가 너무 높게 나오든, 너무 낮게 나오든 평균치로 따진 것일 뿐이지 저러한 점수를 보장하는게 아니다. 당연히 높다고 기뻐하고 낮다고 슬퍼할 필요가 없다. 물론 경향은 있으니 본인에게 점수가 잘 나올 만한 계열을 선택하는 것이 입시에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래에 적힌 숫자는 편향도이며 수학(가)·과학탐구 조합에서 수학(나)·사회탐구 조합 z-점수 차이를 표준화하여 나타낸 퍼센테이지다. 영어 포함 여부는 크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유형영어 포함영어 미포함
ESTP47.6%46.7%
ISTP39.4%39.2%
ESTJ36.5%36.4%
ESFP31.0%31.9%
ISTJ19.5%18.8%
ENTP17.0%17.4%
ISFP11.4%11.8%
ESFJ5.6%6.4%
문과 입시 유리
이과 입시 유리 ↓
INTP5.6%6.4%
ENTJ11.4%11.8%
ISFJ17.0%17.4%
ENFP19.5%18.8%
INTJ31.0%31.9%
INFP36.5%36.4%
ENFJ39.4%39.2%
INFJ46.7%46.7%

[예시 1] ESTP가 이과 입시 과목을 선택하는 것보다 문과 입시 과목을 선택하여 응시하는 것이 47% 정도 유리했었다.
[예시 2] ENFP가 문과 입시 과목을 선택하는 것보다 이과 입시 과목을 선택하여 응시하는 것이 19% 정도 유리했었다.
-성향상으론 f유형이 문과, t유형이 이과인데, 유불리에서는 s유형이 문과 계열, n유형이 이과계열 이라고 한다.

영어 포함 계산
INTJ 0.342 / 0.88 (31.0%)
ISTJ -0.2022 / 0.52 (-19.5%)
ENTJ 0.1119 / 0.29 (11.4%)
ESTJ -0.4323 / 1.11 (-36.5%)
INFJ 0.7178 / 1.84 (46.7%)
ISFJ 0.1736 / 0.44 (17.0%)
INTP 0.0566 / 0.14 (5.6%)
ISTP -0.4877 / 1.25 (-39.4%)
ENFJ 0.4877 / 1.25 (-39.4%)
ESFJ -0.0566 / 0.14 (-5.6%)
ENTP -0.1736 / 0.44 (-17.0%)
ESTP -0.7178 / 1.84 (-46.7%)
INFP 0.4323 / 1.11 (36.5%)
ISFP -0.1119 / 0.29 (-11.4%)
ENFP 0.2022 / 0.52 (19.5%)
ESFP -0.342 / 0.88 (-31.0%)
영어 미포함 계산
INTJ +1.7498-1.3088=0.4408 / 0.91 31.9
ISTJ +1.5346-1.7724=-0.2378 / 0.49 18.8
ENTJ +1.0441-0.8996=0.1445 / 0.3 11.8
ESTJ +0.8291-1.3632=-0.5341 / 1.1 36.4
INFJ +0.7164+0.1817=0.8981 / 1.84 46.7
ISFJ +0.5014-0.2819=0.2195 / 0.45 17.4
INTP +0.2041-0.1273=0.0768 / 0.16 6.4
ENFJ +0.0109+0.5910=0.6019 / 1.24 39.2
ISTP -0.0109-0.5910=-0.6019 / 1.24
ESFJ -0.2041+0.1273=-0.0768 / 0.16
ENTP -0.5014+0.2819=-0.2195 / 0.45
ESTP -0.7164-0.1817=-0.8981 / 1.84
INFP -0.8291+1.3632=0.5341 / 1.1
ISFP -1.0441+0.8996=-0.1445 / 0.3
ENFP -1.5346+1.7724=0.2378 / 0.49
ESFP -1.7498+1.3088=-0.4408 / 0.91


4. 여담[편집]


  • IQ(지능 지수) 등에서는 1, 2위를 겨루는 INTPINTJ 등이 대학수학능력시험 역시 최적화되었을 것이라고 결론 짓기 어렵다. 입시나 수험은 환경적 요인, 트렌드에 영향을 받는다. INTJ는 어느 정도 비례했으나 INTP는 평균적으로 높은 IQ에 비하여 수능 점수는 중위권에 머무르고 있다. 마찬가지로 지능지수 4위로 상위권에 머무르고 있는 ENTP도 중하위권에 머무른다.
  • 과거 나무위키로부터 INTJ가 종합 점수 1위라고 알려졌으나 이는 자연계에서만 1위이다. 종합 점수는 ISTJ가 1위였다. INTJ는 인문계 2~3위, 종합 2위였다.
  • 조금 더 자세한 결과를 도출해내려면 종속적인 영향 여부에 따른 또다른 조사가 필요하다.

[1] 평이한 문항들 다 맞혔다고 가정하였을 때, 당시 킬러 문제는 그냥 안 맞혀도 그만인 서비스 문항격이었으며, 버리는 것이 가능했다. 현재처럼 만점에 가까운 점수를 얻어야만 최상위권 대학을 진학할 수 있는 시기가 아니었다. 또 당시엔 수능 위주의 정시 전형이 80%이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수능만 적당히 잘 보면 의과대학 진학이 훨씬 수월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18 17:50:12에 나무위키 대학수학능력시험/MBTI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