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맹군 3대 장관

덤프버전 :

1. 개요
2. 구성
2.1. 국방위원장
2.2. 통합작전본부장
2.3. 우주함대 사령장관
3. 역대 동맹군 3대 장관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은하영웅전설에서 등장하는 직위. 자유행성동맹군 지휘중추인 국방위원장 - 통합작전본부장 - 우주함대 사령장관을 의미한다. 더불어 제국군 3대 장관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 대응시킬 수 있다. 국방위원장은 군무상서에, 통합작전본부장은 통수본부총장에 대응시킬 수 있으며, 우주함대 사령장관은 동일한 직함을 쓴다.

이름은 동맹군 3대 장관이지만, 제국군 3대 장관과 달리 동맹군 3대 장관이라는 용어는 작중에 나온 적이 없고, 제국군 3대 장관과 100% 대응되는 것도 아니다.[1] 다른 부분을 다 떠나서 동맹의 국방위원장은 '동맹군'의 직위가 아니라 문민통제 원칙에 따라 정치인이 담당하는 직위이므로 엄밀히 말하면 <동맹 3대 장관>이라는 표현 자체가 틀린 부분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2][3]. 그러나 제국군 3대 장관과 동맹군 국방위원장, 통합작전본부장, 우주함대 사령장관이 100%는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대응되기 때문에 나무위키에서는 편의상 이 같은 용어를 만들어 기재한다.

여담으로 제국군 3대 장관이 암묵적으로 겸직시키지 않을 뿐, 겸직 자체는 가능한 것처럼 동맹군 3대 장관도 일단 평소엔 세 사람이 각자 자리를 맡더라도 적어도 우주함대 사령장관과 통합작전본부장은 위기상황에서는 겸직이 가능한지 쿠브르슬리 대장 암살미수사건으로 당시 통합작전본부장이던 쿠브르슬리가 쓰러지자 우주함대 사령장관이었던 뷰코크가 대행이지만 물망에 오르기도 했고, 양 웬리도 궁지에 몰린 동맹정부가 우주함대 사령장관과 통합작전본부장을 겸하는 조건으로 복귀를 요청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기도 했다. 다만 뷰코크 본인이 "독재를 피한다"[4]는 명목으로 거절한 것을 보면 평소에 할 행동으로 비춰지진 않는 모양.


2. 구성[편집]



2.1. 국방위원장[편집]


자유행성동맹 국방위원회의 수장, 그리고 자유행성동맹 최고평의회를 구성하는 11명의 의원 중 한 명이다. 이 직위에 대응되는 은하제국의 군무상서는 현역 군인 출신의 제국원수 계급을 부여받은 자만이 임명되지만, 동맹의 국방위원장은 문민통제 원칙에 따라 현역 군인이 취임할 수 없다.[5][6]

국방위원장의 권한은 군정권, 이 외에 제한적인 인사권을 보유하고 있는데 후방 지역 직책에 대해서는 국방위원장이 인사권을 사용하고, 전방 지역 직책에 대해서는 자유행성동맹군 통합작전본부에서 인사권을 가지고 있다.[7]

제국군 3대 장관의 경우 모두 현역 원수 계급인데다가 서열상 동등한 대우를 받게 되어있다. 반면 동맹군 3대 장관의 경우 국방위원장 -> 통합작전본부장 -> 우주함대 사령장관 순으로 직책의 상하가 명확하게 지정되어 있다. 동맹군 최고 지휘 기구인 통합작전본부는 아예 국방위원회의 하부 조직으로 위치하고 있을 정도.[8]

국방위원회 밑에는 통합작전본부, 후방근무본부, 기술과학본부와 방위, 사열, 경리, 정보, 인사, 장비, 교육, 시설, 위생, 통신, 전략 등 총 11개 부국이 존재한다. 각 부국의 수장은 민간인이 아닌 현역 군인도 임명될 수 있는데, 중장 이상의 장성들이 임명된다.


2.2. 통합작전본부장[편집]


통합작전본부장은 자유행성동맹군 통합작전본부의 장으로, 군령권을 행사한다. 대한민국 국군으로 치면 합동참모의장에 해당한다. 군부 내 1인자로, 제복군인으로서 올라갈 수 있는 가장 높은 자리이다. 보통 대장~원수 급 장교가 임명된다. 임기는 불명이며,[9] 연임이 가능하다.

통합작전본부장은 전시가 되면 최고사령관 대리 칭호를 받는다. 문민통제 원칙에 의해 본래 동맹군 최고사령관은 통수권자인 자유행성동맹 최고평의회 의장이지만, 국가원수가 군대를 직접 지휘하기에는 여러가지 애로 사항들이 존재하여[10] 본부장이 전시에 한정하여 최고사령관 대행직을 일임받는 것이다.

자유행성동맹군 통합작전본부는 제국 군 조직과는 업무와 권한에서 큰 차이가 있다. 기본적으로 제국 군무성과 통수본부의 업무를 모두 아우르고 있으며 더불어 우주함대의 인사권 역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예를 들자면 외전 5권에서 통합작전본부 인사참모부는 양 웬리 소령을 8함대 사령부 작전과에 배속시켰다. 또한 정전 1권에서 시드니 시톨레 원수는 제13함대를 창설하고, 사령관에 양 웬리 준장을 내정하기도 했다. 5권에서도 우주함대 사령장관인 알렉산드르 뷰코크 대장은 라이오넬 모튼 소장을 제14함대 사령관에, 랄프 칼센 소장을 제15함대 사령관에 임명해 달라고 요청했다. OVA에서는 제3차 티아마트 회전에서 시톨레 본부장의 의향에 따라 제5함대 알렉산드르 뷰코크 중장과 제9함대 우란푸 중장이 출진하였다. 최후의 통합작전본부장은 록웰 대장.


2.3. 우주함대 사령장관[편집]


우주함대 사령장관은 동맹군 우주함대를 지휘하며, 전시에는 전선의 최고 지휘관 역할을 수행한다. 통합작전본부장 다음가는 군부 내 2인자로 취급받으며, 대장~원수급 장교가 임명된다.

자유행성동맹군의 우주함대 사령장관은 은하제국의 상대방보다 순수하게 전선에서 우주함대를 지휘하는 '전선의 최고 지휘관'에 보다 가깝다고 볼 수 있으며, 통수본부총장과 우주함대사령장관의 위상이 비슷한 제국과 달리 동맹의 우주함대 사령장관은 본부장보다 확실히 아래로 묘사된다.

통합작전본부장은 제복군인의 최고봉이며, 전시에는 동맹군 최고사령관 대리라는 칭호가 주어진다. 최고사령관은 동맹의 국가원수인 최고평의회 의장이다. 그 밑에서 국방위원장이 군정,軍政,을, 통합작전본부장은 군령,軍令,을 담당하는 것이다.

- 은하영웅전설 여명편, 제 4장 챕터 IV 中.


은하제국과 마찬가지로 자유행성동맹에도 과거에는 우주함대 부사령장관이라는 직책이 있었지만,[11] 본작의 진행 시점에서는 해당 직책은 사라졌고, 대신 우주함대 총참모장이 2인자로 활동하고 있다.


3. 역대 동맹군 3대 장관[편집]


  • 다곤 성역 회전
    • 국방위원장: 코넬 영블러드
    • 통합작전본부장: 비로라이넨
    • 우주함대 사령장관: ???[12][15]


  • 제2차 티아마트 회전 이후
    • 국방위원장: 월리스 워릭(SE760 ~ SE ???) - 각종 스캔들과 내부 조직의 비리가 발각되어 명예가 실추되는 바람에[16] 자진 사퇴.
    • 통합작전본부장: 팡 추링(SE 755 ~ 761) → ??? → 프레드릭 재스퍼(SE 770 ~ 771)[17]
    • 우주함대 사령장관: 월리스 워릭(SE 751 ~ SE 753) → 프레드릭 재스퍼(SE 753 ~ 770)[18]

  • 제5차 이제르론 공방전
    • 국방위원장: ???
    • 통합작전본부장: ???
    • 우주함대 사령장관: 시드니 시톨레[19]



4. 관련 문서[편집]



[1] 당장 통합작전본부장은 그 모티브나 현실에서나 해군작전부장(해군참모총장을 영어로 하면 Chief of Naval Operations이다.)에 가깝고 우주함대 사령장관 역시 서방국가들의 해군작전사령관에 구 일본제국 해군의 연합함대(본격적으로 군령부의 말을 듣지 않고 막나가는 1942~1943년 이전, 1941년 까지의)의 성격을 가미한 직위에 가깝기 때문이다. 그리고 3대 장관 중 원톱인 군무상서/국방위원장도 제국은 군인이 맡지만 동맹은 민간 정치인이 맡는다.[2] 이 부분은 단순하 세부적인 설정차이 정도가 아니라, 전제군주정 제국과 민주공화정 동맹의 본질적인 차이를 보여주는 장치 중 하나이다.[3] 게임 은하영웅전설 4를 보면 이런 특성을 반영하여 제국군 3장관으로 군무상서, 통수본부총장, 우주함대사령장관을 등장시키는데 비해 동맹군의 3대 장관에는 통합작전본부장과 우주함대사령장관 이외에는 (아무 의미 없는 무쓸모 보직인) 통합작전본부차장을 등장시키고 있어 현역 군인은 절대로 국방위원장 직위에 오를 수 없다.(쿠데타로 동맹의 민주주의를 무너트린 뒤 동맹군 최고사령관 직위에 오르는 것만 가능하다.) 묘사상 이에 해당하는 직책이 필요할 때는 트류니히트 얼굴의 '자유행성동맹 최고평의회'가 나온다.[4] 실제로는 쿠브르슬리가 쓰러진 이상 자기까지 쓰러진다면 통합작전본부와 우주함대 사령부 둘 다 모두 마비될까봐 거절.[5] 다만 퇴역한 이후 민간인 신분으로 전환된 전직 군인은 취임이 가능하다. 퇴역 이후 국방위원장으로 임명된 월리스 워릭이 그 예시.[6] 현실의 미국처럼 퇴역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나야 취임이 가능한 것인지 여부는 불명. 일단 워릭의 경우 모 사랍대학 학장으로 3년, 지역 행성 지사로 4년 동안 활동한 이후에 국방위원장이 되었다.[7] 이 덕분에 현역 군인들은 인사발령을 받았을 때, 국방위원회 혹은 통합작전본부 중 어디에서 인사명령이 하달되는지에 따라 자신이 어디로 발령될지 대충 감을 잡을 수 있다고 한다.[8] 통합작전본부장과 우주함대 사령장관의 경우 서열이 정해져있긴 하지만 군 경력이나 계급에 따라 동등한 위치로 취급받는 경우도 존재한다. 시드니 시톨레라자르 로보스 의 관계가 그 예시. 특히 로보스는 시톨레를 상급자가 아닌 자기 군 경력의 경쟁자로 간주해서 잡음이 상당했다.[9] 다만 프레드릭 재스퍼가 고작 1년만에 임기가 만료되었다는 언급을 보면 1년 내외인 듯하다.[10] 비전문가인 정치인이 군대를 통솔할 능력이 있을 리 만무하고, 군인 출신이라고 해도 국가원수가 최전선에서 군대를 지휘한다는 건 극히 비효율적인 일이다.[11] 존 드링커 코프가 부사령장관 직 수행 중 전사했다.[12] 정황상 우주함대 사령장관이라는 직책 자체가 없었다가 림 파오와 유스프 트패로울이 임명된 것을 계기로 생겼을 가능성도 있다. 이 가설이 맞다면 이 당시 우주함대 사령장관이자 초대 사령장관은 림 파오라고 할 수 있다.[13] 제7차 이제르론 공방전이 5월 14일에 벌어졌고 작전기간이 30일, 준비기간이 40일 걸린 것에서 역산한 대략적인 값[14] 예외적으로 양 웬리는 소장 신분으로 1개 함대를 지휘해본 경력이 있지만 이 1개 함대, 즉 13함대도 특수 목적을 위해 패잔 함대 2개를 통합하여 만든 임시함대 인데다 그 숫자도 6천여척 정도로 통상 함대의 절반 뿐인, 창설 당시 별명인 '절름발이 함대'라는 말이 잘 어울리는 수준인 제대로 된 함대가 아니었다. 게다가 이것도 어디까지나 임시로 했던 조치일 뿐 창설 목적인 제7차 이제르론 공방전이 끝난 후 2함대 잔존병력까지 흡수해 정식 함대 규모로 불려 정규함대가 된 후 양 역시도 이제르론 함락의 공적으로 중장으로 진급해서 양 웬리가 소장으로서 사령관이었던 기간은 우주력 796년 3월 즈음[13]에서 우주력 796년 8월까지 다섯 달 정도였다.[15] 이에 대한 단서를 반쯤 제공할만한 것도 있긴 한데 링 파오와 유수프 토패롤은 다곤 성역 회전 당시 중장밖에 되지 않았지만 일단 다곤 성역 회전을 지휘한 제독이기는 하다. 일단 지휘권을 잡았다는데서 이들, 특히 사령관이었던 링 파오는 확실하게 우주함대 사령장관감이기는 하다. 그러나 그들은 고작 중장이다. 후대의 우주함대 사령장관들은 대장~원수 계급이고 또한 중장이 통상적인 1개 함대 지휘관 커트라인이라는 점을 감안하면[14] 고작 중장 신분이 전체 우주함대를 이끌만한 지위에 앉는건 부자연스럽다. 그렇다고 이 시기에 우주함대 사령장관이 있었다기엔 그런 사람이 있다면 그런 사람을 다곤 성역 회전 같은 곳에서 이름도 내밀지 못한게 이해될 수가 없다. 그렇다고 다곤 성역 회전때 급하게 신설된 자리도 아닌 것이 적어도 링 파오에게 그런 자리를 줬다는 묘사가 없다. 즉 우주함대 사령장관이라는 자리는 다곤 성역 회전 시점에서는 없었다고 봐야 한다.[16] 작중 언급으로는 이 모든 사건들에 워릭 자신은 연루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주변 인물들이 워낙 크게 사고를 친 바람에 그냥 넘어가질 수 없었던 모양. 이를 두고 한 때 그를 모셨던 창 타오 일병은 우리같은 병사들에게도 잘 대해주실 정도로 좋은 분이나 불행히도 사람 보는 눈이 부족해서 개차반들을 등용하는 바람에 고생을 많이 하셨다고 안타까워했다.[17] 우주함대 사령장관 시기와는 달리 별다른 실적이 없어서 1년만에 물러났고 그대로 퇴역했다.[18] 자유행성동맹군 사상 최장 재임기간이라고 한다.[19] 이후 제5차 이제르론 공방전에서의 전공을 높이 인정받아 원수로 승진한다.[20] 통합작전본부장이 되기 전에는 후방근무본부장었다는데 사실 통상적으로는 우주함대 사령장관이던 뷰코크가 이 자리를 맡아야 했으나 그는 퇴역했기에 대신 록웰이 자리를 맡은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1:41:21에 나무위키 동맹군 3대 장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