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 아일랜드 아이스 티

덤프버전 :

International Bartenders Association>
2020년 IBA 공식 칵테일
[ 펼치기 · 접기 ]
The Unforgettables
네그로니다이키리드라이 마티니라모스 피즈라스트 워드러스티 네일
마르티네스맨해튼메리 픽포드몽키 글랜드불바디에뷰 카레
브랜디 크러스타비트윈 더 시트사이드카사제락스팅어아메리카노
알렉산더애비에이션엔젤 페이스올드 패션드위스키 사워존 콜린스
진 피즈카지노클로버 클럽턱시도파라다이스포르토 플립
플랜터즈 펀치행키팽키화이트 레이디더비바카디스크루드라이버
Contemporary Classics
골든 드림그래스호퍼데킬라 선라이즈롱 아일랜드 아이스 티마가리타마이타이
모스코 뮬모히토미모사민트 줄렙베스퍼벨리니
블랙 러시안블러디 메리샴페인 칵테일섹스 온 더 비치시 브리즈싱가폴 슬링
아이리시 커피좀비카이피리냐코스모폴리탄콥스 리바이버 No.2쿠바 리브레
키르프렌치 75프렌치 커넥션피나 콜라다피스코 사워헤밍웨이 스페셜
홀시스 넥갓마더갓파더로즈하비 월뱅어
New Era Drinks
네이키드 앤 페이머스뉴욕 사워다크 앤 스토미러시안 스프링 펀치레몬 드롭 마티니바라쿠다
VE.N.TO브램블비스 니즈사우스사이드서퍼링 바스타드스파이시 피프티
아페롤 스프리츠에스프레소 마티니옐로 버드올드 쿠반일레갈칸찬차라
토미스 마가리타트리니다드 사워티퍼러리팔로마페니실린페르난디토
페이퍼 플레인프렌치 마티니더티 마티니뱀피로B-52카미카제
※ 취소선 : 2011년 공식 레시피였으나 2020년 제외
IBA 제외 칵테일 목록 보러가기


파일:logo-iba.png IBA Cocktail, Contemporary Classics
파일:롱티.jpg
Long Island Iced Tea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레시피
4.1. IBA 레시피
4.2. 조주기능사 레시피
4.3. 변형
5. 여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데킬라, , 보드카 등 여러 양주를 베이스로 하는 칵테일이며, 한국의 에서는 줄여서 롱티라고 흔히 부른다.


2. 역사[편집]


재료가 무척 많이 들어가며,[1][2] 홍차맛을 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고안된 조합이라는 설도 있지만 가장 정설로 받아지는 것은 미국의 금주법 시대에 밀주된 술을 팔거나 마셔놓고 소량으로 남겨둘 수 없기 때문에 남는 술을 종류불문 일단 다 넣어서 한번에 마실 생각으로 만들어진 잡탕술이 칵테일 레시피로 정립된 것. 쉽게 말해 폭탄주다.

이 설에 따르면, 이 칵테일의 이름인 롱 아일랜드 아이스 티도 '이건 술이 아니라 우리 동네에서 마시는 홍차거든요?' 하는 식의 농담혹은 발뺌[3]이라고 한다. 스님들이 술을 "곡차"라고 돌려 말하는 것과 비슷하다. 당연히 굳이 홍차맛을 내기 위해 노력할 필요도 없고, 콜라를 첨가하는 것도 나중에 덧붙여진 레시피라고 한다. 다만, 이 레시피를 처음 선보인 바텐더가 일하던 바가 롱 아일랜드에 있어서 이런 이름이 붙은 건 사실이다.


3. 특징[편집]


들어가는 재료가 많아 꺼내는 것부터가 매우 귀찮기 때문에 일부 칵테일 바에서는 시판 롱티 믹스를 사용해 만드는 경우도 많다고 하는데, 실제로 미국에서는 롱 아일랜드 아이스 티 핵심재료들을 미리 섞어서 1.75리터짜리 병에 싸게 파는 브랜드로, 스파이스드 럼으로 유명한 캡틴 모건의 제품이 자주 사용된다. 판매처 구입하여 그대로 얼음에 끼얹어 마셔도 되고, 콜라를 더 넣고 얼음과 마셔도 된다.

일단 대충 레몬맛이 강한 아이스 티와 어느 정도 비슷하고, 콜라의 단맛이 알콜 맛을 어느 정도 감춰주어 마시기 쉽기 때문에 인기 있는 칵테일 중 하나다. 그러나 실제로 도수를 계산해 보면 대략 10-20도 전후. 양이 많기 때문에[4] 조주사에 따라 많게는 30도 정도다.


4. 레시피[편집]


재료 목록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티’에 해당하는 재료가 단 한가지도 들어가지 않는다.

IBA 공식 레시피에서는 하이볼 글라스에 담으라고 하고 조주기능사 레시피에서는 콜린스 글라스에 담으라고 하는데, 두 글라스의 큰 차이는 없다. 집에서 만들 때에는 그냥 길쭉한 유리잔에 담으면 된다.


4.1. IBA 레시피[편집]


* - 15 ml (1/2 oz)
* 보드카 - 15 ml (1/2 oz)
* 화이트 - 15 ml (1/2 oz)
* 데킬라 - 15 ml (1/2 oz)
* 코앵트로 - 15 ml (1/2 oz)
* 레몬 주스 - 30 ml (1 oz)
* 심플 시럽 - 20 ml (2/3 oz)
* 콜라 - Full Up
-
콜라를 제외한 위의 재료들을 얼음이 담긴 하이볼 글라스에 모두 부어준 다음, 콜라를 잔에 가득 부어준다. 이후 레몬으로 가니쉬해주면 완성.


4.2. 조주기능사 레시피[편집]


* 드라이 - 15 ml (1/2 oz)
* 보드카 - 15 ml (1/2 oz)
* 화이트 - 15 ml (1/2 oz)
* 데킬라 - 15 ml (1/2 oz)
* 트리플 섹 - 15 ml (1/2 oz)
* 스윗 앤 사워 믹스 - 45 ml (1 1/2 oz)
* 콜라 - Full Up
-
콜라를 제외한 위의 재료들을 콜린스 글라스에 모두 부어준 다음, 콜라를 잔에 가득 부어준다. 이후 레몬 웨지로 가니쉬해주면 완성.


4.3. 변형[편집]


레시피 바리에이션이 무척 많은 칵테일이다. 그만큼 가게마다 맛도 천차만별이다.
  • 데킬라를 빼고 스윗 앤 사워 믹스레몬 주스 15ml를 더해 셰이킹[5]하는 웨스턴 스타일 역시 많이 만드는 방식이다.

  • 트리플 섹블루 큐라소로 바꾸고 콜라사이다로 바꾸면 아디오스 마더 퍼커(Adios Mother Fucker, AMF)가 된다.[6]



  • 콜라 대신 크랜베리 주스를 넣으면 롱 비치 아이스 티(Long Beach Iced Tea)가 된다.



5. 여담[편집]


  • 도수에 비해 술맛은 거의 안 느껴지는지라, 미국 드라마 빅뱅 이론에서 술에 무지 약한 셸든 쿠퍼가 이걸 아주 넙죽넙죽 받아마시고 술주정을 부리는 장면이 있다. 이름 때문에 진짜 차라고 생각했는지 맛있다며 빨대로 쭉쭉 들이켜는데, 3분도 안 돼서 큰 컵 두 잔을 싹 비워버리니 안 취할 리가 없다.

  • 대표적인 작업주로 악명이 높다. 상술했듯 술맛은 거의 나지 않는데다 양은 많고, 그에 비해 도수는 높다보니 칵테일을 잘 모르는 경우는 악용당하는 경우도 있는데, 반대로 잘 아는 경우라도 오히려 빨리 취하기 좋다며 좋아하는 경우도 있다.

  • 미국 드라마 길모어 걸스에서 로렐라이가 결혼 전 처녀파티에서 이것을 마시고 전 남자친구에게 전화를 한 후, 다 롱 아일랜드 아이스 티 때문이라고 둘러댄다.

  • 진짜 립톤 아이스티로 롱 아일랜드 아이스 티를 만드는 바텐더가 있다는 도시전설도 있다.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0:26:12에 나무위키 롱 아일랜드 아이스 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보통 증류주가 두 가지 이상 들어가는 칵테일은 적절한 배합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종류가 많지 않다.[2] 그렇게 재료가 여럿 들어가다 보니 간단히 한다며 모든 재료를 4가지 정도에서 때우는 바텐더도 많다.[3] 정말로 그럴 가능성이 높은 것이, 롱아일랜드라는 지역은 뉴욕 주 동남쪽에 있는 큰 섬으로, 금주법 당시에도 가장 큰 도시였던 뉴욕에서 이런 잡탕술을 마신 사람들이 검문을 피할때 "내가 마신건 옆동네 롱아일랜드에서 만든 아이스 티라고요!"라고 발뺌할 수 있기 때문.[4] 보통 바에서는 블랙 러시안 같이 도수가 센 칵테일은 양이 적게 나오고, 미도리 사워같이 도수가 약한 칵테일은 양이 많이 나온다.[5] 당연하지만 콜라는 붓기 전이다.[6] 이름이 모욕적이다보니 대부분은 약자인 AMF만 쓰고, 가끔씩 알래스카 아이스 티(Alaska Iced Tea)라고 되어있는 곳도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