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해군 vs 러시아 해군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미군 vs 러시아군




미합중국 해군
VS
러시아 해군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파일:러시아 해군 휘장.svg
전체 배수량 : 3,611,220 톤
전체 배수량 : 약 900,000 톤
1. 개요
2. 미해군의 우위
3. 총 전력 비교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냉전 시절부터 주요 떡밥이었던 미군 vs 소련군부터 시작해서 미군 vs 러시아군까지 이어지는 두 강대국의 군사력 중에서 해군력을 비교하는 문서. 알다시피 미국소련의 대결은 인류를 멸망시키기 딱 적절했고 소련이 붕괴한 이후 지금은 러시아가 소련의 지위를 이어받아 서 미해군과 대립하며 긴장을 어느정도 이어가고 있다.

전 세계 항공모함 3분의 2를 차지하는 막강한 군사력은 미국의 경제를 바탕으로 그 폭을 넓혀 갔으나, 미국의 부채가 늘어나서 군축을 한 적도 있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며 군비증가에 들어섰으며. 여전히 미해군은 세계 최강의 전력을 자랑하고 있다.

반면 러시아 해군소련 시절의 해군력에도 미해군보다는 열세였다. 그 후예인 러시아 해군은 소련 해체 이후 소련 시절의 해군력 비해 약화된 채 시작됬고 태생적인 지형상의 불리함도 있었다, 각 해안이 연결이 되지 않으면서 연대가 거의 불가능 했고 미해군이 한 곳을 노려 공격하면 쉽게 당한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존재했던 것이다.[1]물론 후에 어느정도 회복되었지만 러시아 해군은 미합중국 해군을 이기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격차가 매우 크다.


2. 미해군의 우위[편집]


전력상 미해군이 우세한 상황이며, 일단 선술했듯 지리상의 위치부터 불리하다.

파일:attachment/Russian_Federation_(orthographic_projection)_-_Crimea_disputed_svg.png

러시아의 지도인데 북에는 북극과 북극해가 있고[2] 동에는 태평양과 북극해의 사이이고 미국의 알래스카가 있으며 남에는 태평양과 일본이 있는데 이는 전력이 모아져서 저항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며 미국과 전쟁을 치를 시 해상자위대가 해전에 참가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가정하에 두고 보면 러시아 해군은 전력이 모아지지 않고 분산될 것이며 이는 곧 각개격파를 의미한다.

연해주(블라디보스토크) 지역의 항구는 겨울이 되면 얼어서 배가 지나가기 불편하거나 불가능하고 아예 협력이 되지 않는 지역도 있다, 실제로 크림 전쟁 때 당시 지금의 미 해군처럼 압도적으로 강했던 영국 해군캄차카 반도, 백해, 발트해를 동시다발적으로 공격했을 때 러시아군은 각개 격파당했다. 또한 소련 시절에도 이미 자각했던 문제점이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친소 국가들의 항구를 받아 미국처럼 다양한 방면에서 공격을 하려 했으나 현실은 시궁창, 소련 해군의 아버지와 어머니로 불리는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세르게이 고르시코프도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 했다. 다만 받은 항구가 너무 작거나 항구를 내주기를 거부해서 실질적인 항구의 확보는 수포로 돌아갔다. 당장 니미츠급 항공모함의 신형으로 평가받는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은 핵-전기 추진 방식으로 웬만한 항공모함과는 비교를 불허하며, 2009년 11월에 가공을 시작해 2013년 11월에 진수하고 2016년 3월에 취역한 CVN-78 제럴드 R. 포드함 외에 2척을 추가 건조하여 총 3척을 취역할 예정인데 이 항공모함 3척만으로 왠만한 해군과 공군력과 같거나 뛰어 넘을 지경이니...[3]

파일:attachment/worldcarriers.gif

전 세계 항공모함 3분의 2를 차지하는 미 해군의 물량은 실로 경악할 지경이다. 그나마 러시아의 유일한 항공모함으로 보유하고 있는 쿠즈네초프급도 스키점프대 방식이라 운용 효율이 많이 모자라고, 정비 중에 크레인이 붕괴되는 사고가 나면서 갑판이 파손되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화재까지 발생해 내년에야 재취역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3. 총 전력 비교[편집]


배수량 기준 요약
국가
항공모함
수상 전투함
공격용 잠수함
준이지스 이상
3,000톤 이상 총계
공격원잠
재래식 포함 총계
미국
11 척
1,161,000 톤
88 척
869,720 톤
110 척
941,520 톤
50 척
431,800 톤
50 척
431,800 톤
러시아
1 척
58,600 톤
5 척
90,800 톤
22 척
187,310 톤
22 척
338,530 톤
44 척
402,750 톤


3.1. 수상 전투함[편집]


미러 양국의 1,000톤 이상 수상 전투함 비교 (취역 + 건조중)
만재배수량
미국
러시아
함급
만재배수량
VLS /
경사발사대
수량
함급
만재배수량
VLS[4] /
경사발사대
수량
10,000톤급 이상
줌왈트급
15,900 톤
80 / 0
2(+1) 척
키로프급
28,000 톤
116+(64) / 0
1 척
타이콘데로가급
9,800 톤
122 / 8
13 척
슬라바급
12,000 톤
64 / 16
2 척
알레이 버크급
(Flight IIA, III)
9,500+ 톤
96 / 0
44(+5) 척




5,000톤 이상
알레이 버크급
(Flight I, II)[5]
8,315+ 톤
90 / 8
28 척
고르시코프급
5,400 톤
48[U] / 0
2(+6) 척
컨스텔레이션급
7,400 톤
32 / 16
0(+1) 척




준이지스함 이상 구분선




소브레멘니급
8,000 톤
0 / 8
2 척#




우달로이급
7,570 톤
0[6]+(64) / 8
8 척
3,000톤 이상
인디펜던스급
3,100 톤
0 / 0
13(+4) 척
그리고로비치급
4,000 톤
32[u] / 0
3 척
프리덤급
3,500 톤
0 / 0
11(+4) 척
뉴스트라시미급
4,400 톤
(32) / 8
2 척




크리박급
3,575 톤
0 / 4
2 척




머큐리급
3,400 톤
24[u] / 0
0(+1) 척
3,000톤 이상 구분선
1,000톤 이상




그리먀시급
2,500 톤
24[u] / 0
1(+2) 척




스테레구시급
2,200 톤
12 / 8
8(+4) 척




게파르트급
1,930 톤
0 / 8
2 척


3.2. 항공모함, 강습상륙함, 상륙함[편집]


미러 양국의 항공모함, 강습상륙함, 상륙함 비교 (취역 + 건조중)
분류
미국
러시아
함급
배수량
수용능력
수량
함급
배수량
수용능력
수량
항공모함
제럴드 포드급
101,000톤
고정익 58기
헬기 12기
1(+2) 척
쿠즈네초프급
58,600 톤
고정익 20기
헬기 12기
1 척
니미츠급
106,000톤
고정익 58기
헬기 12기
10 척




LHA
아메리카급
45,000 톤
F-35B 14기[7]
헬기 6기
2(+1) 척




LHD
와스프급
41,000 톤
헬기 40기
LCAC 3척
장갑차량 20대
7 척




LPD
샌 안토니오급
25,000 톤
헬기 6기
LCAC 2척
장갑차량 14대
11(+3) 척




LSD
하퍼스 페리급
16,000 톤
LCAC 2척
장갑차량 14대
4 척




위드비 아일랜드급
16,000 톤
LCAC 4척
6 척




LST




이반 그렌급
6,600 톤
장갑차량 20대
2(+2) 척




로푸카급
4,080 톤
전차 10대
15 척




앨리게이터급
4,700 톤
3 척


3.3. 잠수함[편집]


미러 양국의 잠수함 비교 (취역 + 건조중)
분류
미국
러시아
함급
수중배수량
수량
함급
수중배수량
수량
SSBN
컬럼비아급
21,140 톤
0(+12) 척
보레이급
24,000 톤
7(+3) 척
오하이오급
18,750 톤
14 척
델타급IV급
18,200 톤
5 척
SSGN
오하이오급
18,750 톤
4 척
오스카II급
19,400 톤
6 척
SSN
씨울프급
9,100 톤
3 척
야센급
13,800 톤
3(+6) 척
버지니아급
7,900 톤
21(+27) 척
아쿨라급
12,770 톤
9 척
LA급
6,900 톤
26 척
시에라II급
9,100 톤
2 척
-
-
-
빅터III급
7,250 톤
2 척
-
-
-
델타급III급[8]
13,700 톤
1 척
SSK
-
-
-
라다급
2,700 톤
1(+4) 척
-
-
-
킬로급 개량형
3,076 톤
9(+3) 척
-
-
-
킬로급
3,076 톤
11 척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7:05:06에 나무위키 미해군 vs 러시아 해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러일전쟁 당시 일본 해군에게 크게 당한 원인. 넓은 해역에 해군력이 분산되어 있다 보니 일본 함대에게 각개격파 당한 것.[2] 지도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다들 알듯이 북극에는 거대한 유빙이 굉장히 많다, 까딱하면 침몰될 수 있는 위협이 상시 대기 중인것이다.[3] 애초에 미해군은 미해군 자체를 제외한 전세계 해군력보다 강하다.[4] 괄호 표기는 CIWS에 가까운 수준의 단거리 대공 미사일 전용 VLS[5] 후기형과 무장, 센서, 전투체계 등에서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사실상 10,000톤급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헬기 격납고가 없는 점을 고려하여 실제 배수량대로 분류함[U] 16셀은 UKSK VLS 채용하여 지르콘 극초음속 대함 미사일, 야혼트 초음속 대함 미사일, 클럽 대함 미사일 등을 운용 가능[6] 1척(마샬 샤포시니코프)에는 UKSK VLS 16셀 설치됨[u] A B C 8셀은 UKSK VLS 채용하여 지르콘 극초음속 대함 미사일, 야혼트 초음속 대함 미사일, 클럽 대함 미사일 등을 운용 가능[7] 미 해병대 항공 전력 보고서(2017)[8] 재분류되면서 SSN 목록에 포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