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도유격대

덤프버전 :





미 해군의 APD[1]-127 USS Begor 함의 상륙용 주정에 탑승한 영도유격대원들

1. 개요
2. 활약상
2.1. 해상대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국전쟁 당시 지금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대에 미국 중앙정보국(CIA) 소속 제8241부대인 '주한합동고문단(JACK)'이 1951년 3월 조직하여 1952년 12월까지 존재했던 유격대다.

부산 영도[2]에 본부와 훈련장을 두었고 한국전쟁에서 활약했던 영도유격대는 휴전 후에도 문서가 공개되지 않아서 여러 소문만 종종 있었지 어느 기관 소속이었는지 조차도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베일에 가린 유격대였다.

먼 훗날, 미국의 정보기관인 CIA가 한국인들을 훈련시켜 북쪽으로 보내 각종 비정규전을 수행하게 했던 유격대였다는 것이 알려졌다. 즉, 이들은 적어도 군 예하에 있던 KLO와 달리 완전히 민간정보기관에 고용된 민간인들이었으며, 국군도 미군도 아닌 군번 없는 용사들이었던 것이다.

자원자 1,200여 명[3]을 중심으로 1951년 3월 극비리에 창설했다. 주 구성원은 함경남북도와 강원도 출신 피난민 청년들. 이들은 3~4개월 동안 특수훈련을 받고 강원도 일대와 함경남·북도까지 공중/해상으로 침투해 비정규전 임무를 수행했다. Y부대, 파라슈트 부대 등으로도 불렸으며 적 사살 4,800여 명, 무기류 노획 1,100여 건, 군사통신 시설 파괴 855곳 등의 전과를 올렸다. 그러나 1952년 12월 정전협상 분위기가 무르익자 부대를 해체했다.

2. 활약상[편집]


美 CIA는 두 개의 외견상 독립적인 조직을 갖고 있었는데, 하나가 조지 오웰(George Aurell)이 지휘한 OSO(Office of Special Operartion)와 한스 토프(Hans Tofte)가 이끄는 OPC(Office of Policy Coordination)가 그것이다. OSO가 스파이에 의한 첩보를 주로 담당하였고, OPC는 비밀공작활동을 주로 담당하였다. 이 두 개의 조직은 이후 JACK으로 통합되었다. JACK부대의 명칭은 '주한 합동 고문단'(Joint Advisory Commission in Korea)이며, 북파요원들의 거점은 부산 영도, 본부는 부산 동래에 있던 베이커 캠프였다. JACK부대는 아주 잘 훈련된 게릴라 부대로 더치 크래머(Dutch Kramer), 톰 커티스(Tom Curtis), 조지 애치슨(George Atcheson), 조 파그넬라(Joe Pagnella)라는 CIA의 선임 CO(Case Officer. 담당관)들이 훈련과 작전수립, 지휘 등을 맡았다고 한다. 북파공작원들은 이 JACK을 '한·미합동고문첩보부대'라고 이야기 한다.

OSO는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한국인 공작원을 모집하였는데, OSO팀들은 남과 북에 모두 존재했었다. 토프(Tofte)는 그 당시 부산 영도에 있는 CIA OPC 캠프를 지휘하기 위해 한철민을 기용하고, 이 영도부대의 주 임무는 적진 후방에서 적을 교란하는 유격대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그는 이를 위해 주로 이북 출신 피난민들을 공작원으로 양성하게 된다. 기밀관계로 영도부대는 이후 Y부대로 불리었으며 약 1,200명의 대원으로 구성되었다. Y부대는 북한작전지역별로 4개의 소부대로 나뉘어졌는데, 강원도 북부와 함경남도 남부를 맡은 'Yellow Dragon', 함경남도 중부를 맡은 'Blue Dragon', 함경남도 북부와 함경북도 남부를 맡은 'White Tiger', 함경북도 북부를 담당한 'Owl'부대가 바로 그것이다.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 이후 영도에 있던 CIA OPC기지는 폐쇄되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첩보활동이 계속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휴전협정 후 무력충돌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CIA는 한국인 공작원을 훈련시켜 인민해방군 해군 함정 나포, 왕가도에 있는 수송저장소 폭파, 상하이진남포를 연결하는 해저케이블 절단 등 주로 해상작전을 수행했다.

영도유격대와 비슷하게 미국 기관이 한국인들을 활용해서 비정규전을 수행하게 했던 KLO 부대, 즉 제8240부대는 그나마 6.25 전쟁 휴전 후에는 한국군으로 이관되어서 KLO 대원들 중 상당수가 대한민국 육군의 정식 군인 신분을 얻었고 원하는 이들은 그 뒤로 계속 육군에서 군생활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영도유격대는 6.25 전쟁 휴전 후 대한민국 국군으로의 이관이나 편입 조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채 방치되어버려서, 병적 기록이 없다는 이유로 심지어 병역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국군으로 다시 신병으로 입대를 해야하는 일까지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개별명단 기록 자료같은 것도 거의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유공자 지정 등의 혜택을 받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영도유격대는 한국 민간인 청년들로 이루어지긴 했지만 애초에 한국군하고는 무관한 부대였고, 영도유격대를 만들고 운용한 미국측에서도 휴전 후 아무런 보장도 해 주지 않았으며, 사실상 용도 폐기 해 버렸기 때문에 영도유격대 대원들은 고스란히 버림받은 희생자가 된 것이다.


2.1. 해상대[편집]


해상대의 창설배경은 1951년중 대원을 대규모로 침투시켜 장기간 작전을 펼치도록 했으나 연락이 두절된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귀환율이 낮아, 작전방침을 바꾸어 해안선 근처에서 단기간의 소규모 침투작전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대두되어 1951년 6월경 해상대가 창설되었다.
해상대는 오박을 대장으로 대원 10인에 불과한 소부대로 출발, 기존 게릴라 대원과 해상대 교육대에서 엄선한 대원들로 구성하여 58명까지 늘어났다.

해상대원의 훈련은 모든 유격훈련과정을 마친 대원들 가운데 수영에 능숙하고 배를 잘 탈 수 있는 대원들을 선발하여 미국 UDT 조지 애치슨 대위(George Atcheson)와 조 패그넬라 상사(James C. "Joe" Pagnella)가 그들이 받았던 16주의 미국 UDT 과정을 대원들에게 전수했다. 이들은 미해군의 정규 UDT 과정에 입교한 사례는 아니지만 최초의 비공식 UDT 교육을 받은 한국인들이다. 영도유격대 해상대 출신의 한인섭 영도부대 전우회장은 후에 “한국 UDT 정식 창설 당시 교관으로 영도유격대 해상대 출신들이 지원나가기도 했다”고 증언했다.



파일:y해상 회장님.jpg

영도유격대 해상대 출신의 한인섭 영도부대 전우회장. 베레모엔 한국 UDT 철제 휘장이 붙어 있다.
영도유격대 해상대는 비공식적인 최초의 한국 UDT이자, 공식 한국 UDT의 산파 역할을 하였다.


파일:y해상총책.jpg


파일:애치슨+대위.jpg



파일:오박대장.jpg


파일:y해상1.jpg



파일:y해상2.jpg


파일:y해상3.jpg



파일:y해상4.jpg


파일:y해상5.jpg



3. 관련 문서[편집]



[1] 고속수송함이라는 상륙전 지원함이나, 구축함을 개조한 것이라 대수상전이나 대지 함포사격 등은 문제가 없다. 실제로 대한민국 해군도 경남급이라는 이름으로 6척을 도입해서 당시 보유하고 있던 다른 2차대전형 구축함들처럼 운영했다고 한다.[2] 현재 태종대 공원안에 기념비가 있으며 실제 공원안에 작은 운동장이 있었는데 그 운동장이 유격대의 연병장이라고 한다.[3] 현 기록으로는 약 1,200명의 대원중 900명이 전사하였다고 되어 있지만 이름도 출신도 모른채 북한 지역에서 사라진 이들이 수천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8:06:01에 나무위키 영도유격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