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초(드라마)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유심초 문서
유심초번 문단을
유심초#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0C79BC> 9시 드라마 (1992~1995) ||
||<width=25%> 궁합이 맞습니다
(1992) ||<width=25%> 사랑하는 당신
(1992~1993) ||<width=25%> 한강 뻐꾸기
(1993) ||<width=25%> 친애하는 기타 여러분
(1993~1994) ||
|| 이 남자가 사는 법
(1994) || 좋은걸 어떡해
(1994) || 서울 야상곡
(1995) || 사랑은 블루
(1995) ||
|| 우리들의 넝쿨
(1995) || 다시 만날 때까지
(1995) ||<-2> ||
||<-4><bgcolor=#0C79BC> 10시 드라마 (1992~1995) ||
|| 유심초
(1992) || 이 남자가 사는 법
(1994) || 사랑은 없다
(1994) || 파일:모래시계 로고.png
(1995) ||
|| 다시 만날 때까지
(1995) || 아스팔트 사나이
(1995) || 신비의 거울속으로
(1995) || 째즈
(1995) ||
|| 해빙
(1995) ||<-3> ||
||<-4> ||




1. 개요
2. 등장인물
2.1. 윤보배 가문 관련 인물
2.2. 조경조(풍양조씨 가문) 관련 인물
2.3. 화영 / 민진녀 관련 인물
2.4. 왕실 관련 인물
2.5. 조정 관련 인물
2.6. 그 외
3. 여담



1. 개요[편집]



유심초1991년 12월 16일부터 1992년 5월 14일까지 방영되었던 SBS 일일/주간연속사극으로, 1992년 3월 26일까지는 일일극으로 방송되었다가 1992년 4월 1일부터 종영 시까지는 수목드라마로 편성되었다.[1] 극본은 신봉승, 연출은 KBS에서 스카웃된 김재순 PD, 미술감독은 서상정, 카메라감독은 김용정, 글씨는 서예가 우현 정상옥, 음악은 임효택, 타이틀 제작은 동방기획(현 BBDO코리아) 등이 각각 맡았고, 해설은 초기에 성우 성선녀였으나 양지운으로 바뀌었다.

조선 중종 시기를 배경으로 각자 다른 삶을 사는 세 여인의 삶을 통해 인간의 진솔함과 아름다움, 그리고 사악함을 그림으로써 현대인들에게 교훈을 주고자 하는 창작 사극이며 1991년 8월 13일부터 한국민속촌에서 첫 촬영에 들어갔다. 또한 개국 초기 드라마이니만큼 이인철, 최청, 임홍식, 안태랑 등 연극배우들을 과감히 등용하기도 했다. 특히 CF모델 출신의 신진 배우 이주나는 커리어 사상 첫 주연인 정순옹주 역을 맡아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방영 전에 MBC 전속계약 중이던 박지영과 변소정을 주연으로 낚아챈 탓에 MBC가 계약 위반이라 주장하며 위 배우 2명에게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SBS에겐 출연정지 가처분신청을 각각 내자, 변소정은 이를 위해 <산너머 저쪽>에서 중도 하차했다. 또한 일일사극으로 편성하던 때에는 당대 시청자들의 패턴을 무시한 편성이란 비판도 받았으며, 당시에는 SBS가 수도권에서만 방송하던 터라 지방 시청자들에겐 존재 자체가 생소해서 본 작품 역시 수도권 외의 지역에선 인지도가 낮았다.

그런고로 종영 후 한동안 잊혀지다 2016년 SBS가 방송 테이프들을 국립중앙도서관에 기증하면서 디지털도서관 내 컴퓨터로만 열람이 가능했다가, 2022년부터 SBS 홈페이지에서 다시보기 서비스 중이다.[2]


2. 등장인물[편집]



2.1. 윤보배 가문 관련 인물[편집]



2.2. 조경조(풍양조씨 가문) 관련 인물[편집]


조경조의 형.

2.3. 화영 / 민진녀 관련 인물[편집]



2.4. 왕실 관련 인물[편집]



2.5. 조정 관련 인물[편집]


제69회부터 등장.

2.6. 그 외[편집]


  • 정상철
  • 김윤재
  • 사상기
  • 최현기
  • 전영민
  • 최상근
  • 김민옥
  • 최청
  • 이필훈
  • 김종철
  • 안태랑
  • 최정화
  • 장정희
  • 한현배
  • 박종설
  • 임홍식
  • 정사용
  • 박주일
  • 이웅준
  • 원풍연
  • 허규형
  • 김선도
  • 조성숙
  • 신성호


3. 여담[편집]


  • 주제가 작곡은 임택수, 노래는 조용필이 각각 불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02:55:48에 나무위키 유심초(드라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는 2000년 KBS2에서 방송한 소설 목민심서와도 비슷한 케이스이다.[2] 2023년까지는 유료였다가, 이후 무료로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