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SEVENS/주제가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유희왕 SEVENS




1. 일본판
1.1. OP
1.1.1. 1기(러시 듀얼 탄생 편~팀 배틀로얄 편)
1.1.2. 2기(고하 6형제 편~듀얼의 왕 편)
1.2. ED
1.2.1. 1기(러시 듀얼 탄생 편~팀 배틀로얄 편)
1.2.1.1. 13화 특별 엔딩
1.2.2. 2기(고하 6형제 편~듀얼의 왕 편)
1.2.2.1. 87화 특별 엔딩
2. 한국어 더빙판
2.1. OP
2.2. ED
2.2.1. 13화 특별 엔딩



1. 일본판[편집]



1.1. OP[편집]



1.1.1. 1기(러시 듀얼 탄생 편~팀 배틀로얄 편)[편집]


파일:5f34e5a278360.jpg
나나나나나나나(ナナナナナナナ)[1]
(1화~52화)
작사
사에키 유스케(佐伯ユウスケ)[2]
작곡
편곡
아티스트




겁쟁이 페달 애니메이션 3기 / 4기 주제가를 담당한 적이 있는 사에키 유스케가 부른 곡. 곡이 수록된 싱글은 2020년 9월 9일에 발매된다. 뮤직 비디오

VRAINS처럼 한 곡이 약 1년(4쿨 분량) 동안 오프닝으로 사용되었다.[3] 앞으로는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 ZEXAL, ARC-V처럼 2쿨마다 오프닝이 바뀌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오프닝 영상이 조금씩 수정되었는데, 수정된 부분은 이하와 같다.

  • 6화
  • 12화
  • 19화
    • ドロー!ドロー!ドロー!カモン! 부분의 배경이 변경되었다.
    • 후반에 나오던 크리봇속삭임의 요정으로 변경되었다.
  • 20화
  • 21화
  • 22화
  • 23화
    • 이 화부터는 21, 22화에서 바뀌었던 부분이 매 화마다 랜덤하게 변경된다.
  • 32화
    • 로아가 나오던 부분이 3기까지의 역대 보스(키리시마 로아, 사이온지 네일, 무츠바 아사나)와 오도 유가가 7개의 빛과 함께 차례대로 등장하고 맨 위에는 오티스의 뒷모습이 나오는 장면으로 바뀌었다. 추후 스토리 전개를 상징하는 장면으로 보는 의견이 많다.
  • 42화
    • 러시 듀얼 로봇이 나오는 장면이 쿠마몬이 나오는 장면으로 변경되었다.[4]
  • 45화
    • 후반 장면의 다수가 작중에 나온 몬스터들의 소환 및 공격 씬으로 변경되었다.


1.1.2. 2기(고하 6형제 편~듀얼의 왕 편)[편집]


파일:60cf2d364d20d.jpg
하레부타이(ハレヴタイ)[5]
(53화~90화)[6]
작사
HAKUEI, Ryuji
작곡
HAKUEI
편곡
tatsuo
아티스트
The Brow Beat[7]




The Brow Beat의 메이저 데뷔 곡이다. 2021년 6월 21일에 TV판 음원이 선행 발매되었으며, 싱글 발매일은 같은 해 7월 7일이다.

해룡-다이달로스, 천년 방패, 대역전의 여신[8]이 등장하여 공개되자마자 화제를 모았다. 특히 No.39 유토피아매우 닮은 몬스터가 가장 주목을 받았다.

하이라이트에서 고하 형제들의 에이스 몬스터가 지나가는 파트를 자세히 보면[9], 유가와 루크의 몬스터만 형제들의 몬스터와 투샷으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작중에서 유가와 루크만 유로, 유진과의 듀얼에서 승리할 것이라는 복선이었다.

또한 최후반부에는 고하 시 전체에 발생한 파란 스파크가 하나로 합쳐져 푸른 용이 되는 연출이 있다. 루크멘의 정체를 생각하면 이 또한 복선이었다.

영상 말미에서는 작중의 대진표와 동일한 배치[10]로 형제들과 유가 일행의 모습이 지나간다.

67화부터는 더☆루크멘의 실루엣이 벗겨졌다.

77화부터는 고하 형제들의 에이스 몬스터가 나오는 하이라이트 파트가 유가 일행의 퓨전 몬스터 및 유가의 에이스 몬스터들을 비춰주는 것으로 바뀌었다.

89화부터는 고하 유가의 실루엣이 벗겨졌다. 또한 마지막에 유가 일행과 고하 형제들이 대립각을 세우는 듯한 장면에서 고하 형제들이 빠지고 로아, 네일, 아사나, 카이조가 나온다. 이 부분의 사이사이에 나오는 몬스터 씬에서도 CAN-Re:D, 월마장 키메루나가 빠지고 채광의 프리마기타나, 마장 야메룰러가 들어가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문제는 이 때가 완결까지 4화밖에 안 남은 시점이었다는 건데, 후속작 홍보까지 들어간 마당에 계속 안 바꾸긴 뭐해서 늦게나마 바꿨다고 오프닝 연출을 맡은 하시모토 나오토가 셀프 디스 코멘트를 남겼다. 더 일찍 바꾸기에는 여러모로 여건이 안 됐던 모양.

여담으로 풀 버전 2절 가사에서는 '너와 융합'이라는 가사가 나온다. 퓨전 소환의 등장을 대놓고 암시하고 있었던 것.


1.2. ED[편집]



1.2.1. 1기(러시 듀얼 탄생 편~팀 배틀로얄 편)[편집]


고하 제7초등학교 교가(ゴーハ第7小学校校歌)
(1화~12화, 14화~52화)
작사
사에키 유스케(佐伯ユウスケ)
작곡
편곡
아티스트
유가(CV: 이시바시 히이로)
루크(CV: 야시로 타쿠)
가쿠토(CV: 하나에 나츠키)
로민(CV: 쿠스노키 토모리)[11]




1기 오프닝과 마찬가지로 사에키 유스케가 작사 / 작곡 / 편곡을 맡았다. 또한 주역 성우진들이 캐릭터 명의로 주제가를 담당한 것은 유희왕 ARC-V 2기 엔딩 이후 최초. 곡이 수록된 싱글은 2020년 9월 9일에 발매된다.

1기 오프닝 싱글의 애니메이션반에는 사에키 유스케가 TV 사이즈를 셀프 커버한 버전이 수록되었다. 반주가 바뀌어 감성적인 분위기가 되었다.

27화부터는 로민도 같이 부르기 시작한다. 영상도 노래를 부르는 장면에서 로민이 추가되었으며, 에이스 몬스터가 나올 때 채광의 프리마기타나도 나온다. 또한 이 에피소드부터는 4명 대표 중 에피소드의 주역 캐릭터가 곡의 절반 정도를 독창하게 되며[12], 후반부 영상에서 주역 4인방의 일상을 보여주는 장면 역시 매화마다 변경된다.

에피소드
일상 묘사
27화, 31화, 42화, 47화
루크의 일상
28화
멘자부로, 야기 닉, 마키 스시코의 요리 장면, 신지츠 바쿠로 외 신문부 멤버들의 일상
29화
하쿠부츠 칸 일행의 발굴 작업
30화, 43화, 45화, 51화
오도 유가의 일상
33화, 41화, 50화
소게츠 가쿠토의 일상
34화
러시 듀얼 클럽, 중기 듀얼 클럽, 헤이븐의 일상
40화, 49화
키리시마 로민의 일상
44화
키리시마 로아의 일상
46화
멘자부로, 야기 닉, 마키 스시코의 요리 장면, 신지츠 바쿠로 외 신문부 멤버, 아타치 미미아타치 요시오의 일상
48화
카미조 하루카(Feat. 루크)의 일상, 중기 듀얼 클럽, 사이온지 네일의 일상

에피소드
독창하는 캐릭터
27화, 31화, 42화, 47화
루크 독창
43화, 51화
유가 독창
40화, 44화, 49화
로민 독창 및 기타 파트 추가
33화, 41화, 50화
가쿠토 독창

40화부터는 달리는 장소가 칠명관, 고하 본사 전시관, 고하 6초등학교의 광산으로 바뀌었다.

오프닝과 마찬가지로 약 1년 동안 엔딩으로 쓰이면서 GX 3기 엔딩인 '태양' 이후 오랜만에 4쿨 동안 같은 엔딩 곡이 유지되었다. 앞으로는 오프닝 엔딩 모두 1년마다 바꾸려는 모양.


1.2.1.1. 13화 특별 엔딩[편집]


미니스케이프(ミニスケープ)
(13화)
작사
eNu
작곡
마부치 나오즈미(馬渕直純)
편곡
아티스트
키리시마 로아(CV: 후루타 카즈키)[13]




13화에만 적용된 스페셜 엔딩. 해당 화의 삽입곡으로도 쓰였다.

(K)NoW_NAME 소속의 eNu가 작사를 맡았으며, 작곡은 디지몬 어드벤처:의 첫 번째 오프닝도 담당한 마부치 나오즈미가 맡았다. 음반으로는 고하 제7초등학교 교가 싱글에 커플링 곡으로 수록된다. #

로아가 부른 것에서 알 수 있듯, 설정상으로는 작중의 밴드인 로아로민의 곡이라는 설정이다.

첫 등장 화 이후로도 로아가 임팩트 있는 듀얼을 할 때면 높은 빈도로 삽입곡으로 나온다. 49화, 61화, 85화 등.


1.2.2. 2기(고하 6형제 편~듀얼의 왕 편)[편집]


Never Looking Back
(53화~86화, 88화~92화)
작사
미치히로 모토키(ミチヒロモトキ)
작곡
편곡
와타나베 타쿠야(渡辺拓也)
아티스트
시즈쿠노메(シズクノメ)[14]




곡은 2021년 6월 21일에 TV판이 디지털 싱글 형태로 발매되었다. 싱글 음반 발매일은 2021년 7월 28일.

초반 영상은 달에 있는 러시 듀얼 로봇이 체조를 하는 영상으로, 본편에서 러시 듀얼 로봇이 강제로 채워진 깁스 때문에 하고 있던 체조와 동작이 같다. 다만 정작 이 전개가 중요하게 쓰였던 고하 6형제 편에서는 코지마 요시오의 코너가 나오는 바람에 초반과 67화를 빼면 엔딩 영상이 거의 전부 편집되었다.

해당 코너는 10화 정도 쉬었다가 77화부터 다시 나오기 시작했는데[15], 이 때부터는 TV 생방에서만 코너가 나오고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제공되는 다시보기에서는 그냥 엔딩 영상만 나와서 인터넷 한정으로는 편집 문제가 없었다.


1.2.2.1. 87화 특별 엔딩[편집]


Are You Re:D?
(87화)
작사
쿠스노키 토모리
작곡
마부치 나오즈미(馬渕直純)
편곡
아티스트
키리시마 로민(CV: 쿠스노키 토모리)




87화에만 적용된 특별 엔딩. 노래 자체는 86화에서 먼저 작중에 등장했는데, 이 때는 일부 파트만 배경음으로만 쓰였기 때문인지 엔딩 크레딧에 나오지 않았다.

키리시마 로민의 성우인 쿠스노키 토모리가 직접 작사를 했다. 이미 작품에 출연 중인 캐릭터의 담당 성우가 직접 가사를 쓴 노래는 유희왕 시리즈에서는 최초[16]. 제작진 측에서 먼저 제안을 했다고 한다.

기존에는 음치 설정에 맞춰 교가를 부를 때도 묘하게 음정이 어긋나던 로민이었으나, 솔로 데뷔를 준비하며 노래를 연습했다는 설정으로 나온 캐릭터송이다. 가사에서는 JAM:P 스타트!가 언급되고 '최고'를 '채광'으로 적는 등의 센스가 돋보인다.

풀버전은 3월 16일에 발매되는 OST 앨범 사운드 러시 3탄에 수록되었다.


2. 한국어 더빙판[편집]


번안곡의 경우 송승은 번역가와 이진영 PD가 번안했다.


2.1. OP[편집]


나나나나나나나
(1화~)
작사
사에키 유스케(佐伯ユウスケ)
작곡
편곡
아티스트
이주승



일본판 곡을 번안해서 사용했다.[17] 번안곡의 제목은 똑같이 '나나나나나나나'이고 나나(なな)는 일본어로 7이라는 의미인데 이걸 굳이 한국어로 하면 칠칠칠칠칠칠칠 정도가 된다.

루크의 성우인 이주승 성우가 노래를 담당했다.


2.2. ED[편집]


고하 제7초등학교 교가
(1화~12화)
작사
사에키 유스케(佐伯ユウスケ)
작곡
편곡
아티스트
황유가(CV: 서반석)
루크(CV: 이주승)
문인학(CV: 임채빈)
[ TV 사이즈 가사 ]
1 2 3 4 5 "6"!
1 2 3 4 5 "6"!
1 2 3 4 5 "6"!
1 2 3 4 5 "6"!
이 땅에 우뚝 선 배움터에 (딩동댕동 딩동댕동)
육련성 빛이 쏟아지네 (1 2 3 4 5 "6")
괴로울 때나 헤매일 때도 (딩동댕동 딩동댕동)
이곳을 찾으면 빛나는 미래에 마음 든든해져
하지만 우리들 마음에 깃든 환한 빛은
언제나
777이라네 777이라네
배움의 터전은 777이라네
1 2 3 4 5 "6"
777이라네 777이라네
어느 때라도 우리가 모이는 장소
영원하라 고하 제7 초등학교




유희왕 ZEXAL僕クエスト 이후로 오랜만에 원판 엔딩의 번안곡이 나왔다. '나나나(777)다' 구절은 '칠칠칠(777)이라네~'로 번역되었다.


2.2.1. 13화 특별 엔딩[편집]


미니스케이프
(13화~)
작사
eNu
작곡
마부치 나오즈미(馬渕直純)
편곡
아티스트
진로아(CV: 장서화)


[18]

원판에서는 13화에만 적용된 특별 엔딩으로 쓰인 로아의 캐릭터송. 가수는 원판과 똑같이 진로아 성우인 장서화가 불렀다. 이유는 불명이지만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13화 이후에도 계속해서 엔딩으로 쓰였다. VOD판에선 잘리고 기존 엔딩인 고하 제7 초등학교 교가로 대체되었다.


[1] 일본어로 7의 발음이 '나나(ナナ)'다. 7777777의 말장난.[2] 본작에 아리스가와 장고 역으로 출현한다.[3] 다만 이 곡이 쓰이는 동안 코로나로 인한 제작 지연 문제로 9주 동안 휴방한 적이 있어, 실제로는 더 길게 쓰였다고 느끼는 시청자가 많다.[4] 일종의 콜라보 이벤트로, 이 변경이 있기 전에 쿠마몬과 TV 도쿄 측 마스코트 캐릭터인 '나나나'가 7번 승부를 하는 이벤트가 있었는데 거기서 쿠마몬이 승리하면서 오프닝에 일시적으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47화에서 원래대로 돌아왔다.[5] 晴れ舞台, 일본어로 '중요한 순간, 중요한 무대, 화려한 무대'에 가까운 뜻을 가지는 관용어. 다만 여기서는 표기를 조금 틀어 ブ가 아닌 ヴ를 사용했다. 참고로 2기 시점에서 고하 유오가 자신의 듀얼에 '무대'라는 말을 자주 붙이곤 한다.[6] 91, 92화에서는 오프닝이 생략되었다. 대신 92화에서 삽입곡으로 쓰였다.[7] 배우 사토 류지(佐藤流司)가 솔로 프로젝트로서 Ryuji라는 명의로 페니실린의 HAKUEI와 함께 결성한 2인조 비주얼계 밴드.[8] 당시에는 존재가 밝혀지지 않아 그냥 역전의 여신으로 인식되었다.[9] 에어 포뮬러 이글(+세븐즈로드 매지션) → 대역전의 여신등번호39 구아황 홈해룡-다이달로스(+테노리 드라코) → 천년 방패 순.[10] 유가→루크→로민→가쿠토, 유로(+유오)→유진→유카→유란. 각자 저 순서에 맞춰서 듀얼한다.[11] 27화부터 추가.[12] 엔딩 곡의 제목 역시 제목 뒤 괄호에 독창한 캐릭터의 이름이 붙는다.[13] 49화 삽입곡으로 쓰였을 때는 '로아로민(키리시마 로아 CV: 후루타 카즈키)'로 표기되었다.[14] 슌(しゅん / 보컬), 미치히로 모토키(ミチヒロモトキ / 기타&보컬), 그렘린(ぐれむりん / 키보드&코러스), 미야모토 테츠(宮本テツ / 드럼&코러스), YAH(카메라맨)의 5인조로 이루어진 록밴드.[15] 81화는 코너와 함께 엔딩 영상이 나왔다.[16] 1기 오프닝인 나나나는 먼저 노래가 나오고 후에 담당 가수가 캐스팅이 된 케이스이다.[17] 제알 1기 오프닝 마스터피스 이후 8년 만에 번안곡을 사용했다.[18] TV 사이즈나 풀버전은 아니고 장서화 성우가 직접 부른 버전을 본인 유튜브에 올린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8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6;"
, 6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8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6;"
, 6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5 06:47:20에 나무위키 유희왕 SEVENS/주제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08:58:37에 나무위키 유희왕 SEVENS/주제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