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훈씨네

덤프버전 : (♥ 0)




JEHOON CINE
제훈씨네
파일:제훈씨네 2024 프로필2.jpg
크리에이터이제훈
장르영화 | 다큐멘터리 | 여행
개설일2023년 12월 18일
시작일2024년 5월 19일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제작MCCOI

1. 개요
2. 업로드 영상
2.1. 2024
3. 여담




1. 개요[편집]


파일:제훈씨네2024배너.jpg
극장과 영화를 사랑하는 배우 이제훈의 특별한 여행
대한민국배우 이제훈의 개인 유튜브 채널.

채널 가입일은 2023년 12월 18일이며, 2024년 5월 19일 제훈씨네라는 유튜브 채널 개설과 동시에 [ENG] EP.1ㅣ원주에서 가장 작은 영화관 고씨네(Go-Cine)라는 영상을 게시했다.

영상이 올라오는 주기는 명확하지 않지만, 지금까지의 본 바로는 주 1회 일요일마다 영상을 게시하고 있다.

2. 업로드 영상[편집]




2.1. 2024[편집]


업로드 날짜제목링크
5월 19일EP.1 ㅣ 원주에서 가장 작은 영화관 고씨네(Go-Cin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 촬영 장소 : 강원도 원주시 뮤지엄 산 · 아카데미극장 · 고씨네 독립영화관|강원도 횡성군 아트영상 김운석 대표 사택[1] * 스페셜 게스트 : 조현경 감독[2], 고승현 감독[3], 영사기사 김운석 * 건축 작품 소개: 안도 타다오 건축가 - 청사과 ‘청춘’[4]
* 영화 소개 : 조현경 감독 - 나의 X언니(2023)|고승현 감독 - 남아있는 순간들(2021)}}}
5월 26일EP.2 ㅣ 인천 미림극장(Milim) / 영화공간주안(Juan)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 촬영 장소 : 인천광역시 미림극장 · 영화공간주안 * 스페셜 게스트 : 미림극장[5] 조점용 영상기사
* 영화 소개 : 존 포드 감독 - 리오그란데(Rio Grande)(1950)|이정홍 감독 - 괴인(A Wild Roomer)(2023)}}}
6월 2일EP.3 ㅣ제주 단편전문 영화관 숏트롱 (Shortrong) / 제주 최초 작은영화관 한림작은영화관 (Hallim)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 촬영 장소 : 제주도 한림읍 북스토어 아떼끄[6] | 제주 단편전문 영화관 숏트롱 · 예술영화관 한림작은영화관[7] * 스페셜 게스트 : 북스토어 아베끄 강수희, 숏트롱 시네마 김민음, 고희영 감독[8], 한림 작은 영화관 한삼희 선임
* 책 소개 : 고명재 시인 - 문학동네 시인선 184 고명재 시집 우리가 키스할 때 눈을 감는 건(2022), 정시우 기자 - 배우 의 방(Presented by a Room of one's Own Actors Room)(2022)[9],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10] - 영화를 찍으며 생각한 것 :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자서전(2017)[11], 박해영 작가 - 나의 해방일지 대본집(2023)[12], 오은 시인 - 문학동네 시인선 038 오은 시집 우리는 분위기를 사랑해(2013), 에바 알버슨( Eva Armisén)[13], 고희영 감독 - 엄마는 해녀입니다(Mom is a Haenyeo)(2017)[14]* 영화 소개 : 고희영 감독 - 물꽃의 전설(Legend of the waterflower)(2023)}}}
6월 9일EP.4 ㅣ 연희동 최초 예술영화관 라이카시네마 (Laika)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 촬영 장소 :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씨네마포[15] |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동 예술영화관 라이카시네마[16] * 스페셜 게스트 : 전방위 예술가 백현진[17], 배우 도정환[18], 정기혁 감독[19], 배우 임정민[20]
* 영화 소개 : 왕가위 감독 - 화양연화(花樣年華, In the Mood for Love)(2000) | 정기혁 감독 - 울산의 별(Star of Ulsan)(2024)}}}

3. 여담[편집]


  • 소속사 인스타그램을 통해 채널명 공모를 받아서 지어진 채널명이다.[21]
  • 2024년 2월 15일 첫 티저영상이 올라왔다.[22]
  • 원래는 2024년 5월 8일 첫 영상이 올라갈 예정이었으나 19일로 바뀐 듯하다.[23]
  • 유튜브 영상 100편을 채우는게 목표라고 인터뷰를 통해 밝혔다.[2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4 18:04:10에 나무위키 제훈씨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횡성군 강림면 강림리 옛 복지회관 건물로, 횡성강림영화박물관 예정.[2] 영화 〈나의 X언니〉 연출.[3] 영화 〈남아있는 순간들〉 연출.[4] 일본의 효고현립미술관과 나카노시마 어린이책 숲 도서관에 이어 세 번째로 제작된 대규모 야외 조각 ‘청춘’으로, ‘청춘은 인생의 시기가 아닌 어떠한 마음가짐’이라는 미국 시인 사무엘 울만의 시에서 영감받아 안도 타다오가 직접 제작한 작품.[5] 1972년부터 2008년까지 근무.[6] 제주시 한림읍 금능리 유일의 제주 책방.[7] 2018년, 문화체육관광부 작은영화관 지역 사업 공모에 선정, 2021년도에 개관.[8] 영화 〈물꽃의 전설〉 연출.[9] 캐릭터에 빠져 사는 배우가 자신으로 돌아가는 공간 그곳에서 듣는 배우의 진짜 목소리 박정민, 천우희, 안재홍, 변요한, 이제훈, 주지훈, 김남길, 유태오, 오정세, 고두심 배우 10인의 ‘자기만의 방’에서 나눈 심층 인터뷰 ‘연기가 끝나면, 배우는 어디로 갈까?’ 『배우의 방』은 캐릭터를 벗고 진짜 배우의 얼굴로 돌아가는 공간에서, 진짜 나로 돌아가는 시간을 묻는 인터뷰집.[10] 일본의 다큐멘터리 연출가, 영화감독. 제66회 칸 영화제 심사위원장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제71회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어느 가족〉.[11] 시대를 영화에 담는다는 문제, 그 과정에서 찾아낸 저자만의 철학과 윤리, 영화를 찍으면서 맞닥뜨렸던 곤경과 위기, 영화를 배우며 깨달은 것, 그리고 앞으로 작품을 계속해 가며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솔직담백한 태도와 목소리로 전하는 『영화를 찍으며 생각한 것』.[12] 「나의 아저씨」 박해영 작가가 쓴 또 하나의 인생드라마. ‘구씨앓이’ ‘추앙’ 신드롬을 일으키며 방영 당시 4주 연속 드라마 화제성 1위에 오른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가 박해영 작가의 오리지널 대본으로 출간.[13] 사라고사에서 태어나 바로셀로나에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세계적인 예술가. 솔직하고 천진난만한 시선, 유쾌하고 사랑스러운 화풍으로 일상을 그려낸 감동과 치유를 선사하며 '행복을 그리는 화가'로 불림.[14] 어느 날 엄마는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되는데 더 깊은 바닷속 전복을 주우려다 그만 숨을 놓칠 뻔했지만 그런 엄마를 끌어올린 할머니의 한 마디. “바다는 절대로 인간의 욕심을 허락하지 않는단다. 바닷속에서 욕심을 부렸다간 숨을 먹게 되어 있단다. 물숨은 우리를 죽음으로 데려간단다. 오늘 하루도 욕심내지 말고 딱 너의 숨만큼만 있다 오거라.” 하는 그런 이야기.[15] 작은 영화관이 있는 영화 카페.[16] 유사 이래 최초로 우주에서 궤도 비행을 한 개 라이카의 이름을 딴 연희동 최초 예술영화관, 2021년도에 개관.[17] '어어부 프로젝트', '방백', '백현진씨'등의 프로젝트와 솔로 앨범을 발매한 뮤지션이자 미술, 음악, 영화/드라마, 무대예술 등 매체를 가로지르며 전방위적으로 활동하는 예술가. 여담으로 배우 이제훈과 tvN 금토 드라마 내일 그대와, SBS 금토 드라마 모범택시에서 함께 출연.[18] 영화 〈울산의 별〉 - 윤화의 도련님 인혁 역.[19] 영화 〈울산의 별〉 연출.[20] 영화 〈울산의 별〉 - 태민 역.[21] 링크#[22] 링크#[23] 제작사 페이스북 링크#[24]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