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 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ngo_Republic_FA.png
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Équipe du Congo de football
정식명칭Équipe du Congo de football[1]
FIFA 코드CGO
FIFA 랭킹106위[2]
협회콩고 공화국 축구 연맹 (FECOFOOT)
연맹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지역연맹중앙아프리카 축구 연맹 (UNIFFAC)
감독파일:프랑스 국기.svg 이자크 은가타 (Isaac N'Gata)
주장아무르 루소쿠 (Amour Loussoukou)
최다출전자조나스 바함불라 (Jonas Bahamboula)
델뱅 은딩가(Delvin N'Dinga) - 56경기
최다득점자티에비 비푸마 (Thievy Bifouma) - 15골
홈 구장스타드 뮈니시팔 데 킨텔레 (Stade Municipal de Kintélé, 60,000석)
스타드 알퐁스 마셈바데바(Stade Alphonse Masemba-Débat, 33,037석)
첫 국제경기 출전VS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카메룬 (5:1 승)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1954년)
최다 점수차 승리VS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11:0 승)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1964년 3월 28일)
VS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11:0 승)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리브르빌 (1976년 7월 7일)
최다 점수차 패배VS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1:8 패)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안타나나리보 (1960년 4월 18일)
별칭Diables Rouges (붉은 악마)
네이션스컵출전 7회, 우승 1회 (1972)

유니폼어웨이
상의빨강노랑
하의빨강빨강
양말빨강노랑

1. 개요
2. 역대전적
3. 현재 선수 명단
4. 연령별 대표팀
4.1. U-20 대표팀
4.1.2. CAF U-20 축구 선수권 대회



1. 개요[편집]


홈구장은 스타드 뮈니시팔 데 케텔레와 스타드 알퐁스 마셈바데바이며 감독은 파울 푸트이다. 붉은 악마(Diables Rouges)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아직까지 월드컵 본선에 출전한 기록은 없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콩고 인민 공화국 시절 1972년에 처음으로 우승하였다. 가장 최근의 성적은 2015년 본선에 진출해 8강에 진출. 현재도 아프리카에서 중위권 수준은 꾸준히 유지하고 있는 대표팀이라 할 수 있다.

국내에서 가장 잘 알려졌던 선수로는 크리스토페 삼바가 있다. 9년동안 대표팀에서 활약했으며 콩고 공화국 출신 빅리거로는 성공적인 선수생활을 했다. 현재 대표팀에는 몽펠리에 HSC에서 뛰었던 베니 마쿠아나, 칼리아리 칼초앙투안 마쿰부, 이태리에서 뛰는 가브리엘 샤르팡티에, 보아비스타 FC가이우스 마쿠타가 활약하고 있다. 이외에는 프랑스에게 식민지를 당했던 다른 국가들처럼 대부분 하부 리그 선수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콩고 공화국 대표팀에 감독으로 있었던 유명한 선수는 바우두다.


2. 역대전적[편집]



2.1. FIFA 월드컵[편집]


연도결과순위경기승점득점실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독립 이전(프랑스의 지배)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1950년 브라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콩고 공화국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불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출전 금지
콩고 인민 공화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불참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예선 탈락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예선 탈락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불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불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불참
콩고 공화국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예선 탈락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예선 탈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예선 탈락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 남아공
실격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예선 탈락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미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 사우디
?????????
합계본선진출 없음0/22[3]



2.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15위

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57년 수단
독립 이전(프랑스의 지배)
파일:시리아 국기.svg
1959년 아랍연합공화국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2년 에티오피아
불참
파일:가나 국기.svg
1963년 가나
불참
파일:튀니지 국기.svg
1965년 튀니지
불참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8년 에티오피아
조별리그7위3003280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70년 수단
불참
파일:Flag_of_Cameroon_(1961-1975).svg
1972년 카메룬
우승1위53119710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1974년 이집트
4강4위52127107
파일:에티오피아 국기 (1975–1987).svg
1976년 에티오피아
예선 탈락
파일:가나 국기.svg
1978년 가나
조별리그7위3012141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80년 나이지리아
예선 탈락
파일:리비아 국기(1977–2011).svg
1982년 리비아
예선 탈락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84년 코트디부아르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svg
1986년 이집트
예선 탈락
파일:모로코 국기.svg
1988년 모로코
예선 탈락
파일:알제리 국기.svg
1990년 알제리
불참
파일:세네갈 국기.svg
1992년 세네갈
8강73021232
파일:튀니지 국기.svg
1994년 튀니지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96년 남아공
예선 탈락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1998년 부르키나파소
예선 탈락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0년 가나/나이지리아
조별리그14위3012021
파일:말리 국기.svg
2002년 말리
예선 탈락
파일:튀니지 국기.svg
2004년 튀니지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6년 이집트
예선 탈락
파일:가나 국기.svg
2008년 가나
예선 탈락
파일:앙골라 국기.svg
2010년 앙골라
예선 탈락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2년 가봉/적도기니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3년 남아공
예선 탈락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5년 적도기니
8강5위4211667
파일:가봉 국기.svg
2017년 가봉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svg
2019년 이집트
예선 탈락
파일:카메룬 국기.svg
2021년 카메룬
예선 탈락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2023년 코트디부아르
?????????
파일:모로코 국기.svg
2025년 모로코
?????????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2027년 케냐/탄자니아/우간다
?????????
합계 우승(1회)7/28[4]267712274028


3. 현재 선수 명단[편집]


포지션등번호한글 성명영문 성명생년월일출장득점클럽비고
GK크리스토페르 마품비Christoffer Mafoumbi1994년 3월 3일350모스타 FC
샹셀 마사Chancel Massa1983년 1월 24일00에투알 뒤 콩고
다르네 조에 옴반자Darnet Joé Ombandza1998년 4월 9일20AS 오토호
DF프랑시스 은자바Francis Nzaba2002년 12월 3일10CSMD 디아블레 누아르
마르빈 바우드리Marvin Baudry1990년 1월 26일343스타드 라발루아 MFC
브래들리 마지쿠Bradley Mazikou1996년 6월 2일60PFC CSKA 소피아
바렐 로장Varel Rozan1992년 9월 9일230AS 비타 클럽
크리스토페르 미실루Christopher Missilou1992년 7월 18일40뉴포트 카운티 AFC
라이언 비둥가Ryan Bidounga1997년 4월 29일20PFC 로코모티브 플로브디프
모르강 포아티Morgan Poaty1997년 7월 15일10RFC 세랭
MF뒤렐 아부누Durel Avounou1997년 9월 25일200르망 FC
앙투안 마쿰부Antoine Makoumbou1998년 7월 18일80NK 마리보르
가이우스 마쿠타Gaius Makouta1997년 7월 25일131PFC 베로에 스타라 자고라
마비 치보타Mavis Tchibota1996년 5월 7일90마카비 하이파 FC
티에비 비푸마Thievy Bifouma1992년 5월 13일3315부르사스포르
아르비 오세테Harvy Ossété1999년 8월 18일180CSMD 디아블레 누아르
FW베니 마쿠아나Béni Makouana1999년 9월 28일90몽펠리에 HSC
딜랑 생루이Dylan Saint-Louis1995년 4월 26일91하타이스포르
엘비아 이파미Elvia Ipamy1994년 9월 27일30TP 마젬베
프레스티주 음붕구Prestige Mboungou2000년 7월 10일161FK 메탈라츠 고르니 밀라노바츠
기 음벤자Guy Mbenza2000년 4월 1일144위다드 AC
프린스 이바라Prince Ibara1996년 2월 7일174벵갈루루 FC
몽 바수아미나Mons Bassouamina1998년 5월 28일10FC 바스티아보르고
실베르 강불라 음부시Silvère Ganvoula M'boussy1996년 6월 22일183VfL 보훔
[5]


4. 연령별 대표팀[편집]



4.1. U-20 대표팀[편집]



4.1.1. FIFA U-20 월드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튀니지 국기.svg
1977년 튀니지
파일:일본 국기.svg
1979년 일본
파일:호주 국기.svg
1981년 호주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3년 멕시코
파일:소련 국기.svg
1985년 소련
파일:칠레 국기.svg
1987년 칠레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9년 사우디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1991년 포르투갈
파일:호주 국기.svg
1993년 호주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5년 카타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97년 말레이시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99년 나이지리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01년 아르헨티나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3년 아랍에미리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5년 네덜란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2007년 캐나다
16강13위4411237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9년 이집트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2011년 콜롬비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13년 터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15년 뉴질랜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대한민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2019년 폴란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23년 아르헨티나 [6]
?????????
합계16강 (1회)1/23[7]4411237


4.1.2. CAF U-20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아프리카 유스 챔피언십
파일:U20-Africa-Cup-of-Nations.png
1979년 개최국 없음
파일:U20-Africa-Cup-of-Nations.png
1981년 개최국 없음
파일:U20-Africa-Cup-of-Nations.png
1983년 개최국 없음
기권
파일:U20-Africa-Cup-of-Nations.png
1985년 개최국 없음
파일:U20-Africa-Cup-of-Nations.png
1987년 개최국 없음
파일:U20-Africa-Cup-of-Nations.png
1989년 개최국 없음
African U-21 Championship
파일:이집트 국기.svg
1991년 이집트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1993년 모리셔스
실격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95년 나이지리아
불참
파일:모로코 국기.svg
1997년 모로코
불참
파일:가나 국기.svg
1999년 가나
예선 탈락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2001년 에티오피아
불참
African U-20 Championship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2003년 부르키나파소
불참
파일:베냉 국기.svg
2005년 베냉
불참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2007년 콩고
우승1위12540151
파일:르완다 국기.svg
2009년 르완다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1년 남아공
예선 탈락
파일:알제리 국기.svg
2013년 알제리
예선 탈락
파일:세네갈 국기.svg
2015년 세네갈
조별리그7위1301259
Africa U-20 Cup of Nations
파일:잠비아 국기.svg
2017년 잠비아
예선 탈락
파일:니제르 국기.svg
2019년 니제르
예선 탈락
합계/22 [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00:58:04에 나무위키 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프랑스어[2] 2023년 10월 기준https://www.fifa.com/fifa-world-ranking/CGO[3]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4]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5] 2022년 3월 29일 기준.[6] 2021년 대회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취소[7] FIFA U-20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8] African U-20 Championship 진출횟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