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고민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 0)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가대표팀 로고.png
콩고민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Équipe de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de football
정식명칭Équipe de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de football[1]
FIFA 코드COD
FIFA 랭킹65위[2]
협회콩고민주공화국 축구 연맹 (FECOFA)
연맹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지역연맹중앙아프리카 축구 연맹 (UNIFFAC)
감독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바스티앵 드사브르 (Sébastien Desabre)
주장마르셀 티세랑 (Marcel Tisserand)
부주장샹셀 음벰바 (Chancel Mbemba)
최다출전자이사마 음페코 (Issama Mpeko) - 81경기
최다득점자듀메르시 음보카니 (Dieumerci Mbokani) - 22골
홈 구장스타드 데 마티르 (Stade des Martyrs, 80,000석)
첫 국제경기 출전VS 파일:북로디지아 국기.svg 북로지디아 (3:2 승)
파일:콩고 독립국 국기.svg 벨기에콩고 (1948년)
최다 점수차 승리VS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10:1 승)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1966-1971).svg 콩고민주공화국 킨샤사
(1969년 11월 22일)
최다 점수차 패배VS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0:9 패)
파일:독일 국기.svg 서독 겔젠키르헨
(1974년 6월 18일)
별칭Les Léopards (표범)
월드컵진출 1회 (1974)[3]
네이션스컵진출 19회, 우승 2회 (1968, 1974)

유니폼 컬러어웨이
상의
하의
양말

1. 개요
2. 역대전적
3. 현재 선수 명단



1. 개요[편집]


콩고민주공화국의 축구 국가대표팀. 표범(Les Léopards)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예전에 국명이 자이르였을 때 1974년 서독 월드컵 16개국 본선에 진출해 이집트, 모로코에 이어 아프리카 우승 진출하여 1장의 월드컵 티켓을 획득하여 아프리카 통산 세 번째로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했지만, 16강 조별리그에서 3전 전패에 무득점 14실점으로 대회 최하위 16위를 기록하며 8강 실패의 성적에 그쳤다. 특히 유고슬라비아전에서 기록한 0:9 패배는 월드컵 역사상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에서의 헝가리 vs 대한민국 경기에서 기록된 9:0,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에서의 헝가리 vs 엘살바도르 전에서 기록된 10:1과 더불어 월드컵 역사상 최다 점수차 경기이자, 해당 국가의 최다 점수차 패배기록으로 남아있다.

여담으로 이 패배에는 한 가지 참 어처구니없는 이유가 있는데, 당시 자이르는 스코틀랜드와의 첫 경기에서 2:0으로 아쉽게 패배했고, 16개국 본선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가 브라질과의 경기였던 만큼 다음 경기인 유고전에서 반드시 승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그런데 유고전 바로 전날 서독 현지에 와 있던 자이르의 체육부 장관이 피파에서 참가국들에게 지급하는 지원금을 전부 국가가 가져간다고 통보했다. 이에 사기가 급락한 선수단은 경기 기권패도 고려했지만 자이르의 군사독재자 모부투 대통령은 본인이 경기를 보고 싶으니 경기를 뛰라고 강요했고, 결국 선수단은 마음에도 없는 유고와의 경기를 억지로 뛰어야 했다.

이런 선수들의 혼란을 극복하지 못한 채 맞이한 유고전에서 자이르 대표팀은 전반 17분까지 3:0으로 끌려다니게 되었고, 이에 코치는 주전 골키퍼를 교체하는 결단까지 내렸지만, 팀 전체가 격랑에 빠진 상황에서 선수 한 명 교체해 봐야 달라지는 것은 없었고, 그렇게 교체되어 들어간 골키퍼가 더 못하는 바람에 6점을 더 내주고 9:0으로 졌다. 이후 유고는 스코틀랜드와의 3차전에서도 0:0으로 비기며 8강에 진출했다. 그렇게 브라질과의 마지막 경기에서도 "3골차 이상으로 진다면 집으로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는 군부의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3:0으로 패하면서 본선 진출 16개국 중 꼴찌인 월드컵 16위를 기록하며 1974 FIFA 월드컵 서독 최악의 팀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이게 더더욱 어이없는건, 당시 자이르가 대회 3달을 앞두고 이집트에서 열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대회에서 해당 유고인 비디니치 감독의 지휘하에 사상 첫 우승을 거뒀기 때문이다. 즉 감독의 지휘 하에서 아프리카 1강으로 조련된 팀이 독재자의 알량한 돈 욕심 때문에 망쳐지고 월드컵에서 패망한 것이다.

여담으로 국내에서는 유고슬라비아인 비디니치 감독이 유고슬라비아에게 져줄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감독을 경질하고 현지에 있던 축구의 축자도 모르는 체육부 장관을 감독 대행으로 앉혀 이런 대참사가 났다는 루머가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며 모든 경기를 비디니치 감독이 지휘했다.#

그 후 2002년부터는 콩고민주공화국이라는 새 이름으로 출전하고 있지만 1974년 이후 현재까지 월드컵 본선에 다시 오르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난한 나라지만 콩고민주공화국 대표팀은 201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준결승에 오르는 기염을 토하며 많은 이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다. 비록 대회 우승팀인 코트디부아르에게 패배하여 결승에 올라가지는 못했지만 3, 4위전에서 개최국 적도 기니를 꺾고 3위를 차지하며 유종의 미를 거뒀다.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최종 예선까지 진출해 튀니지, 기니, 리비아 등과 같은 A조에 배정되었다. 조 1위만 본선에 진출하는데 기니와 리비아를 상대로는 선전했지만 튀니지를 상대로 1무 1패로 패퇴하면서 또 다시 월드컵 본선 복귀를 다음으로 미뤄야 했다.

202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2차예선 비교적 약한 팀만 모여있는 J조에 속해 3차예선 까지는 무난하게 올라갈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탄자니아의 의외의 선전으로 3위로 떨어진 상황이다. 다행히 10월부터 뒷심을 발휘해 조 최종전에서 1위 경쟁을 벌이던 배냉을 이기면서 극적으로 1위를 탈환해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다. 대진운이 따라준다면 이전 국명 자이르 시절 나갔던 1974년 월드컵 이후 48년만의 본선 진출을 이룰 찬스를 잡을 수도 있었지만, 최종예선 상대 모로코는 너무나도 강적이었다. 본인들의 홈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그래도 1대1 무승부라도 했지만, 원정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4대1로 대패하며 본선 진출에는 안타깝게 실패했다.

은근히 스쿼드가 강한 팀이다. 역사적 배경 때문에 벨기에로의 선수 진출이 많아 다수의 유럽파를 보유하고 있는 팀이며[4] 특히 공격수 세드릭 바캄부, 야닉 볼라시, 뒤메르시 음보카니라는 훌륭한 공격자원들을 배출했다. 마르셀 티세랑, 가엘 카쿠타, 아르튀르 마쉬아퀴, 사뮈엘 무투사미, 요안 위사, 네이스컨스 케바노, 사뮈엘 바스티엥, 제던 칼룰루 같은 이민 2세 선수들도 부모의 나라를 선택해 DR 콩고 대표팀에서 뛰고 있다. 본토 출신 선수로는 샹셀 음벰바가 제일 유명하며 그 외에도 조나탕 볼링기, 에도 카옘베, 장 발레케 등의 본토 출신 선수가 있다. 그동안 신원이 불분명했던 본토 출신 분데스리가 VfB 슈투트가르트의 에이스 실라스 카톰파 음붐파의 신원이 회복되고 대표팀에 차출되면서 대표팀 전력이 더 강해졌다.


2. 역대전적[편집]



2.1. FIFA 월드컵[편집]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79위

연도결과순위경기승점득점실점
레오폴드빌 콩고~자이르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없음[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불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출전금지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조별리그[6]16위30003014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기권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예선 탈락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불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예선 탈락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브라질
예선 탈락
콩고민주공화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예선 탈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예선 탈락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예선 탈락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예선 탈락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중미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 사우디
?????????
합계본선진출 1회1/18[7]03003014


2.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10위

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57
독립 이전
파일:시리아 국기.svg
1959
독립 이전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2
불참
파일:가나 국기.svg
1963
불참
파일:튀니지 국기.svg
1965
조별 라운드5위2002280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8
우승1위540110512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70
조별 라운드7위3012251
파일:Flag_of_Cameroon_(1961-1975).svg
1972
4강4위51229115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1974
우승1위641114813
파일:에티오피아 국기 (1975–1987).svg
1976
조별 라운드7위3012361
파일:가나 국기.svg
1978
불참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80
예선 탈락
파일:리비아 국기(1977–2011).svg
1982
예선 탈락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84
기권
파일:이집트 국기.svg
1986
예선 탈락
파일:모로코 국기.svg
1988
조별 라운드7위3021232
파일:알제리 국기.svg
1990
예선 탈락
파일:세네갈 국기.svg
1992
8강6위3021232
파일:튀니지 국기.svg
1994
8강7위3111234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96
8강8위3102233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1998
4강3위631210910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0
조별 라운드12위3021012
파일:말리 국기.svg
2002
8강8위4112344
파일:튀니지 국기.svg
2004
조별 라운드15위3003160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6
8강8위4112364
파일:가나 국기.svg
2008
예선 탈락
파일:앙골라 국기.svg
2010
예선 탈락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2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3
조별 라운드10위3030333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5
4강3위6141777
파일:가봉 국기.svg
2017
8강6위4211757
파일:이집트 국기.svg
2019
16강14위4112664
파일:카메룬 국기.svg
2021
예선 탈락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2023
본선 진출
파일:모로코 국기.svg
2025
?????????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2027
?????????
합계우승(2회)19/29[8]732024298810284


3. 현재 선수 명단[편집]


포지션등번호한글 성명영문 성명생년월일출장득점클럽비고
GK조엘 키아숨부아Joël Kiassumbua1992년 4월 6일190FA
에르베 롬보토Hervé Lomboto1989년 9월 27일60DCMP
바지오 시아디 응귀시아Baggio Siadi Ngusia1997년 7월 21일21JS 그루프 바자노
리오넬 음파시Lionel Mpasi1994년 8월 1일10로데스 AF
DF이사마 음페코Issama Mpeko1989년 4월 30일761TP 마젬베
마르셀 티세랑Marcel Tisserand1993년 1월 10일340알 에티파크 FC 주장
응곤다 무징가Ngonda Muzinga1994년 12월 31일210디종 FCO
디외메르시 아말레 무코코Dieumerci Amale Mukoko1998년 10월 17일110디파 하사니 엘 자디디
이둠바 파시카Idumba Fasika1999년 2월 28일71케이프타운 시티 FC
주마 샤바니Djuma Shabani1993년 3월 16일30영 아프리칸스 SC
에노크 이농가 바카Henoc Inonga Baka1993년 11월 1일20심바 SC
시타 루졸로Sita Luzolo1997년 1월 4일20TP 마젬베
비탈 은심바Vital N'Simba1993년 7월 8일10클레르몽 푸트 63
아르센 졸라Arsène Zola1996년 2월 23일10TP 마젬베
MF네이스컨스 케바노Neeskens Kebano1992년 3월 10일306풀럼 FC
샤드라크 아콜로Chadrac Akolo1995년 4월 1일182아미앵 SC
파브리스 응고마Fabrice Ngoma1994년 1월 22일170라자 CA
사뮈엘 무투사미Samuel Moutoussamy1996년 8월 12일130FC 낭트
에도 카옘베Edo Kayembe1998년 8월 3일90왓포드 FC
조엘 응강두 카얌바Joel Ngandu Kayamba1992년 4월 17일70FC 빅토리아 플젠
사뮈엘 바스티엥Samuel Bastien1996년 11월 26일60스탕다르 리에주
즐로디 리콩자Glody Likonza1998년 5월 10일10스탕다르 리에주
케빈 몽데코Kévin Mondeko1995년 9월 10일10TP 마젬베
소제 제망가Sozé Zemanga1999년 11월 17일00TP 마젬베
FW조나탕 볼링기Jonathan Bolingi1994년 6월 30일318부리람 유나이티드 FC
메샤크 엘리아Meschak Elia1997년 8월 6일216BSC 영 보이즈
벤 말랑고Ben Malango1993년 9월 10일155알 샤르자
자크송 물레카Jackson Muleka1999년 10월 4일91카슴파샤 SK
요안 위사Yoane Wissa1996년 9월 3일42브렌트포드 FC
조나탕 오키타Jonathan Okita1995년 10월 5일10NEC 네이메헌
필리프 킨줌비Phillippe Kinzumbi1997년 6월 30일00TP 마젬베
[9]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03:11:36에 나무위키 콩고민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프랑스어[2] 2023년 10월 기준https://www.fifa.com/fifa-world-ranking/COD[3] 16개국 본선 진출 대회 16위[4] 벨기에, 프랑스, 스위스 국가대표에도 DR 콩고계 선수들이 활약하는 예가 많다.[5] 콩고민주공화국 축구협회 창립 이전[6] 당시 자이르라는 국명이었고 아프리카 예선 우승하여 단 1장의 월드컵 16개국 본선 진출티켓을 확보하여 74월드컵 16개국 본선 진출하였다.[7]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8]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9] 2022년 5월 29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