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니 축구 국가대표팀

(♥ 0)

||




파일:Guinea national football team.png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
Équipe de Guinée de football
정식명칭Équipe de Guinée de football[1]
FIFA 코드 GUI
축구 협회기니 축구 연맹 (FGF)
대륙 연맹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지역연맹서아프리카 축구 연맹 (WAFU-UFOA)
홈 경기장스타드 제네랄 란사나 콩테
(Stade Général Lansana Conté / 30,000석)
별명Syli nationale (국가대표 코끼리)
감독대행
파일:기니 국기.svg

찰스 파킬 (Charles Paquille)
주장
C
나비 케이타
(Naby Keïta)
FIFA 랭킹77위 (2024년 7월 18일 기준 / #)
Elo 랭킹86위 (2024년 8월 7일 기준[2] / #)
공식 웹사이트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대표팀 기록 보기 ]

A매치 최다 출전 파스칼 페인두노 (Pascal Feindouno)
- 85경기 / 30골
A매치 최다 득점 이브라히마 칸디아 디알로 (Ibrahima Kandia Diallo)
- 56경기 / 33골
첫 국제경기 출전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vs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1:2
(토고 / 1962년 5월 9일)
최다 점수차 승리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vs 파일:모리타니 국기(1959–2017).svg 모리타니 14:0
(기니 / 1972년 5월 20일)
최다 점수차 패배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vs 파일:자이르 국기.svg 자이르 0:6
(자이르 / 1972년 7월 2일)

[ 대회별 성적 보기 ]

대륙대회
네이션스컵 [진출] 13회
[최고]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1976)


유니폼 컬러어웨이
상의파일:macron_logo_white.png파일:Guinea national football team.png
9

파일:macron_logo_black.png파일:Guinea national football team.png
10

하의910
양말

1. 개요
2. 현재 선수 명단
3. 역대전적



1. 개요[편집]


기니축구 국가대표팀을 다루는 항목.

홈구장은 제네랄 란사나 콩테 경기장이며, 감독은 카바 디아와라이다. 코끼리들(Syli nationale)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아직까지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1976년에 준우승한 것이 최고의 성적이다.

전체적인 실력은 아프리카 내에서도 약체에 속하나, 아주 가끔씩 고춧가루를 뿌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축구팬들에게 기니란 이름을 처음 알린 시기는 2000년대 초반으로 2004, 2006, 200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연속 8강에 올라가는 저력을 보인 시기다. 생테티엔의 수준급 골잡이 파스칼 페인두노가 대표팀 에이스로 활약하던 시기.

현재 대표팀에 불리는 유명 선수로는 단연 리버풀나비 케이타가 있다. 또 황의조의 동료로 우리에게 친숙한 공격수 프랑수아 카마노도 기니 대표팀 선수[3]. 또한 폴 포그바의 친형들인 플로랑탱 포그바마티아스 포그바 역시 기니 대표팀으로 활약하고 있는데, AS 생테티엔 시절 등의 활약을 기반으로 플로렝탕은 기니 대표팀으로 자주 뽑히는 반면,[4] 많은 팀에서 쉽게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마티아스는 기니 대표팀 명단에도 쉽게 들지 못하고 있는 중(...).

또한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사이두 소우가 있고 이외에도 AS 로마아마두 디아와라, RB 라이프치히일라시 모리바, 발렌시아 CF무크타르 디아카비, VfB 슈투트가르트세루 기라시, LOSC 릴모하메드 바요 마지막으로 아직 대표팀에 발탁되지는 않았지만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압둘라예 카마라가 있다.

현재 한국과 A매치를 가지지는 않았으며 청소년 대표팀까지 모든 매치 범위를 넓히면 2015년 칠레 U-17 월드컵에서 오세훈의 골로 한국이 1:0으로 승리, 대한민국에서 열린 2017년 FIFA U-20 월드컵에서 이승우, 임민혁, 백승호의 골로 한국이 3:0으로 승리한 것이 전부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masita 이다.


2. 현재 선수 명단[편집]


포지션등번호한글 성명영문 성명생년월일출장득점클럽비고
GK이브라힘 코네Ibrahim Koné1989년 12월 5일60하이버니언스 FC
방갈리 실라Bangaly Sylla2002년 11월 30일00AS 생테티엔
무사 카마라Moussa Camara1998년 11월 27일130호로야 AC
DF앙투안 콩트Antoine Conte1994년 1월 29일10CS 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
줄리앙 장비에Julian Jeanvier1992년 3월 31일60AJ 오세르
모하메드 알리 카마라Mohamed Ali Camara1997년 8월 28일152BSC 영 보이즈
사이두 소우Saïdou Sow2002년 7월 4일110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무크타르 디아카비Mouctar Diakhaby1996년 12월 19일110발렌시아 CF
이시아가 실라Issiaga Sylla1994년 1월 1일743몽펠리에 HSC
세쿠 실라Sekou Sylla1999년 1월 9일00SC 캄뷔르
MF나비 케이타Naby Keïta1995년 2월 10일5412SV 베르더 브레멘주장
아마두 디아와라Amadou Diawara1997년 7월 17일230RSC 안데를레흐트
이브라히마 시세Ibrahima Cissé1994년 2월 28일171RFC 세랭
아기부 카마라Aguibou Camara2001년 5월 20일131올림피아코스 FC
일라시 모리바Ilaix Moriba2003년 1월 19일50RB 라이프치히
모리 코나테Mory Konaté1993년 11월 15일30신트트라위던 VV
티에르노 바리Thierno Barry2000년 1월 12일00CD 테네리페
모모 시세Momo Cissé2002년 10월 17일00비스와 크라쿠프
FW모하메드 바요Mohamed Bayo1998년 6월 4일113LOSC 릴
바포데 단소코Bafodé Dansoko1995년 12월 28일00KMSK 데인즈
세루 기라시Serhou Guirassy1996년 3월 12일00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모르강 길라보기Morgan Guilavogui1998년 5월 10일20파리 FC
[5]


3. 역대전적[편집]



3.1. FIFA 월드컵[편집]


연도결과순위경기승점득점실점
프랑스의 식민지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독립 이전(프랑스령 서아프리카)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 기니 공화국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축구 협회 창립 이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기권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불참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지역 예선 탈락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국/일본
예선 도중 실격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지역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중미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사우디
?????????
합계본선진출 없음0/22[6]


3.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14위

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프랑스의 식민지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57년 수단
독립 이전(프랑스령 서아프리카)
※ 기니 공화국
파일:시리아 국기.svg
1959년 아랍연합공화국
축구 협회 창립 이전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2년 에티오피아
파일:가나 국기.svg
1963년 가나
예선 통과 후 실격[7]
파일:튀니지 국기.svg
1965년 튀니지
예선 탈락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8년 에티오피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70년 수단
조별리그6위3021472
파일:Flag_of_Cameroon_(1961-1975).svg
1972년 카메룬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1974년 이집트
조별리그5위3111444
파일:에티오피아 국기 (1975–1987).svg
1976년 에티오피아
준우승2위633011712
파일:가나 국기.svg
1978 가나
예선 탈락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80년 나이지리아
조별리그7위3012351
파일:리비아 국기(1977–2011).svg
1982년 리비아
예선 탈락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84년 코트디부아르
파일:이집트 국기.svg
1986년 이집트
파일:모로코 국기.svg
1988년 모로코
파일:알제리 국기.svg
1990년 알제리
파일:세네갈 국기.svg
1992년 세네갈
파일:튀니지 국기.svg
1994년 튀니지
조별리그11위200213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96년 남아공
예선 탈락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1998년 부르키나파소
조별리그9위3111334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0년 가나/나이지리아
예선 탈락
파일:말리 국기.svg
2002 말리
실격
파일:튀니지 국기.svg
2004년 튀니지
8강7위4121555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6년 이집트
8강6위4301949
파일:가나 국기.svg
2008년 가나
8강8위41125104
파일:앙골라 국기.svg
2010년 앙골라
예선 탈락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2년 적도 기니/가봉
조별리그9위3111734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3년 남아공
예선 탈락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5년 적도 기니
8강8위4031363
파일:가봉 국기.svg
2017 가봉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svg
2019년 이집트
16강16위4112464
파일:카메룬 국기.svg
2021년 카메룬
16강14위4112234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2023년 코트디부아르
8강8위5212477
파일:모로코 국기.svg
2025년 모로코[8]
?????????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2027년 케냐/탄자니아/우간다
?????????
합계준우승(1회)13/29[9]4713171761665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9-08 16:12:22에 나무위키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프랑스어[2] Elo 레이팅스는 상시 나오는 것이므로, 가장 최근 A매치와 그 직전 A매치 사이의 순위변동을 기입함.[3] 2020년 8월에 로코모티프 모스크바로 이적하며 보르도를 떠났다.[4] 물론 동생 만큼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정도는 아니었지만, 플로랑탱 역시 프랑스 청소년 대표팀으로 활약하는 등 기대를 많이 받았던 선수였다.[5] 2022년 5월 19일 기준.[6]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7] 나이지리아와의 최종 예선에서 1승 1무로 본선 진출에 성공했지만 두 번째 경기에서 정치적 중립을 지키지 않은 것이 드러나 실격 처리되고 나이지리아에 본선 티켓을 내줬다.[8] 원래는 기니가 개최국으로 선정되었으나, 개최 자격이 박탈되면서 모로코로 변경되었다.[9]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