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 페덱

덤프버전 :

}}} ||

[ 펼치기 · 접기 ]
#091f40,#a3ceff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91f40><width=20%><colcolor=#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e31e34,#ee2c5f> 17 [[베일리 오버|{{{#091f40,#a3ceff 오버}}}]] · 20 [[크리스 페덱|{{{#091f40,#a3ceff 페덱}}}]] · 22 [[그리핀 잭스|{{{#091f40,#a3ceff 잭스}}}]] · 37 [[루이 발랜드|{{{#091f40,#a3ceff 발랜드}}}]] · 41 [[조 라이언|{{{#091f40,#a3ceff 라이언}}}]] · 49 [[파블로 로페스|{{{#091f40,#a3ceff 로페스}}}]] · 53 [[브렌트 헤드릭|{{{#091f40,#a3ceff 헤드릭}}}]] · 55 [[코디 펀더버크|{{{#091f40,#a3ceff 펀더버크}}}]] · 56 [[케일럽 실바|{{{#091f40,#a3ceff 실바}}}]] · 59 [[조안 두란|{{{#091f40,#a3ceff 두란}}}]] · 61 [[브록 스튜어트|{{{#091f40,#a3ceff 스튜어트}}}]] · 66 [[호르헤 알칼라|{{{#091f40,#a3ceff 알칼라}}}]] · 74 [[조시 와인더|{{{#091f40,#a3ceff 와인더}}}]] · 77 [[콜 샌즈|{{{#091f40,#a3ceff 샌즈}}}]] · 78 [[시메온 우즈 리차드슨|{{{#091f40,#a3ceff 우즈 리차드슨}}}]] · 81 [[조던 발라조비치|{{{#091f40,#a3ceff 발라조비치}}}]] · 83 [[맷 칸테리노|{{{#091f40,#a3ceff 칸테리노}}}]] · # [[조시 스타몬트|{{{#091f40,#a3ceff 스타몬트}}}]] ||
|| '''포수''' || 8 [[크리스티안 바스케스|{{{#091f40,#a3ceff 바스케스}}}]] · 27 [[라이언 제퍼스|{{{#091f40,#a3ceff 제퍼스}}}]] · # [[하이르 카마고|{{{#091f40,#a3ceff 카마고}}}]] ||
|| '''내야수''' || 1 [[닉 고든|{{{#091f40,#a3ceff 고든}}}]] · 4 [[카를로스 코레아|{{{#091f40,#a3ceff 코레아}}}]] · 11 [[호르헤 폴랑코|{{{#091f40,#a3ceff 폴랑코}}}]] · 12 [[카일 파머|{{{#091f40,#a3ceff 파머}}}]] · 23 [[로이스 루이스|{{{#091f40,#a3ceff 루이스}}}]] · 47 [[에두아르드 줄리엔|{{{#091f40,#a3ceff 줄리엔}}}]] · 50 [[윌리 카스트로|{{{#091f40,#a3ceff 카스트로}}}]] · 64 [[호세 미란다|{{{#091f40,#a3ceff 미란다}}}]] · # [[유니오르 세베리노|{{{#091f40,#a3ceff 세베리노}}}]] · # [[오스틴 마틴|{{{#091f40,#a3ceff 마틴}}}]] ||
|| '''외야수''' || 9 [[트레버 라낙|{{{#091f40,#a3ceff 라낙}}}]] · 19 [[알렉스 키릴로프|{{{#091f40,#a3ceff 키릴로프}}}]] · 25 [[바이런 벅스턴|{{{#091f40,#a3ceff 벅스턴}}}]] · 26 [[맥스 케플러|{{{#091f40,#a3ceff 케플러}}}]] · 38 [[맷 월너|{{{#091f40,#a3ceff 월너}}}]] · # [[엠마누엘 로드리게스|{{{#091f40,#a3ceff 로드리게스}}}]] ||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1e34;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s-2.1|{{{#ffffff {{{-2 감독}}}}}}]]}}}'''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로코 발델리|{{{#ffffff {{{-2 로코 발델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1e34;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벤치 코치}}}}}}]]}}}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제이스 팅글러|{{{#ffffff {{{-2 제이스 팅글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1e34;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보조 벤치 코치}}}}}}]]}}} [[도미니카 공화국|[[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height=17]]]] [[토니 디아즈|{{{#ffffff {{{-2 토니 디아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1e34;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투수 코치}}}}}}]]}}}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피트 마키|{{{#ffffff {{{-2 피트 마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1e34;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보조 투수 코치}}}}}}]]}}} [[베네수엘라|[[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height=17]]]] [[루이스 라미레즈|{{{#ffffff {{{-2 루이스 라미레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1e34;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타격 코치}}}}}}]]}}} [[베네수엘라|[[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height=17]]]] [[루디 에르난데스(1968)|{{{#ffffff {{{-2 루디 에르난데스}}}}}}]] {{{#ffffff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데이비드 팝킨스|{{{#ffffff {{{-2 데이비드 팝킨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1e34;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보조 타격 코치}}}}}}]]}}}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데릭 쇼맨|{{{#ffffff {{{-2 데릭 쇼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1e34;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주루 코치}}}}}}]]}}}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토미 왓킨스|{{{#ffffff {{{-2 토미 왓킨스}}}}}}]] {{{#ffffff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행크 콩거|{{{#ffffff {{{-2 행크 콩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1e34;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불펜 코치}}}}}}]]}}}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콜비 석스|{{{#ffffff {{{-2 콜비 석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1e34;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QC 코치}}}}}}]]}}}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네이트 담만|{{{#ffffff {{{-2 네이트 담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1e34;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불펜 포수}}}}}}]]}}} [[베네수엘라|[[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height=17]]]] [[앤더슨 데 라 로사|{{{#ffffff {{{-2 앤더슨 데 라 로사}}}}}}]] {{{#ffffff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7]]]] [[코너 올슨|{{{#ffffff {{{-2 코너 올슨}}}}}}]] ||
||<-2><bgcolor=#eeeeee,#191919> [[파일:MLB 로고.svg|width=20]] [[틀:MLB 구단별 40인 로스터|{{{-1 {{{#e31e34,#ee2c5f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br][[세인트 폴 세인츠|[[파일:세인트 폴 세인츠 엠블럼.svg|width=20]]]] [[틀:세인트 폴 세인츠/로스터|{{{-1 {{{#e31e34,#ee2c5f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크리스 페덱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크리스 페덱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59번
필 휴즈
(2018)

크리스 페덱
(2019~2021)


톰 코스그로브
(2023~)
미네소타 트윈스 등번호 20번
조시 도널드슨
(2021)

크리스 페덱
(2022~)


현역




미네소타 트윈스 No.20
크리스 페덱
Chris Paddack

본명
크리스토퍼 조셉 페덱
Christopher Joseph Paddack
출생
1996년 1월 8일 (28세)
텍사스 주 오스틴
국적
[[미국|

미국
display: none; display: 미국"
행정구
]]

학력
시더 파크 고등학교
신체
193cm / 88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2015년 드래프트 8라운드 (전체 236번, MIA)
소속팀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19~2021)
미네소타 트윈스 (2022~)
계약
2023 - 2025 / $12,525,000
연봉
2024 / $2,525,000

1. 개요
2. 선수 경력
3. 피칭 스타일
4. 연도별 성적
5. 기타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미네소타 트윈스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편집]



2.1. 마이너 리그 시절[편집]


원래는 대학 진학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마이애미 말린스가 그를 8라운드에 지명하며 프로에 입단하게 되었다.

입단하자마자 루키 리그에서 2점대의 ERA를 찍었고, 1년 후 싱글 A 사우스 애틀랜틱 리그에서 28⅓이닝 동안 단 3실점만을 하고 48개의 삼진을 잡아내는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던 중 페르난도 로드니를 얻기 위한 트레이드 칩이 되어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로 트레이드되었다. 하지만 트레이드되고 얼마 후 팔꿈치 인대 파열 판정을 받고 토미 존 수술을 받게 된다.[1]

2017년 무사히 재활을 마친 후 2018년 하이싱글 A와 더블 A에서 2점대의 ERA를 기록하고 90이닝 120삼진을 기록하며 각종 유망주 매체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2019년 개막전 로스터에 들며 메이저리그에 데뷔하게 되었다.

2.2. 샌디에이고 파드리스[편집]



2019년 3월 31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를 상대로 5이닝 1실점 7탈삼진으로 호투하며 데뷔전을 승리로 장식했다. 이후 4월까지 6경기 33이닝 2승 1패 ERA 1.91 35탈삼진을 기록하며 아직까지 긴 이닝을 던지지 않고 90구 내외로 관리 받고있지만 QS를 4번이나 기록하는 등 매우 훌륭한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이후 꾸준히 선발 로테이션을 돌며 좋은 활약을 보여주다가 6월 12일 휴식을 위해 잠깐 마이너에 내려가게 되었다. 6월 22일 다시 메이저에 콜업되며 활약을 이어나갔고, 전반기 최종 성적을 15경기 82⅓이닝 5승 4패 ERA 2.84 87탈삼진으로 끝마쳤다.

후반기에는 크게 흔들리며 ERA가 3점대 후반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이후 경기에서 다시 감을 되찾아 ERA를 크게 낮췄고, 일정대로라면 잔여 등판이 남았지만 가을야구 진출은 진작에 좌절되었던 팀인지라 몸관리를 위해 팀에서 시즌을 조기 종료시키며 최종 성적은 26경기 140⅔이닝 9승 7패 ERA 3.33 153탈삼진을 기록했다.

하지만 2020년 들어 소포모어 징크스에 시달리는지 상승한 구속에도 불구하고 리그 최고 중에 하나로 손꼽히던 체인지업의 제구가 잡히지 않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며 고전했다. 체인지업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는 날은 포수 오스틴 헤지스의 수비력 덕에 패스트볼 원피치만으로 꾸역투를 펼치는 모습을 반복하며 팬들의 똥줄을 타게 하는 중이다.

깨끗한 패스트볼 또는 체인지업만 집요하게 노리는 상대편 타자들로 인해 HR/FB 비율은 무려 25%를 찍었으며[2] 본인도 투피치 투수로의 한계점을 느꼈는지 커브 또는 커터의 구사도를 높이는 선택을 보였지만 오히려 체인지업이나 포심만큼의 완성도를 보이지 못하며 아예 두 구종을 꺼내들지도 못하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최종 성적은 데뷔 시즌보다 거의 모든 면에서 하락한 4승 5패 4.73, 59이닝 58삼진 12볼넷의 성적을 거뒀다. 그나마 긍정적인 면이라 하면 마이너에서 검증된 컨트롤은 여전히 유지하는 정도. 마지막 주에는 포스트시즌을 확정한 팀의 선발 로테이션에서 빠지는 극약처방을 받을 정도. 다만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를 상대한 2020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에서는 디넬슨 라멧마이크 클레빈저가 모두 이두 부상을 호소하고 있어 못 던지면 오프너/잘 던지면 1선발로 출전할 예정이다.

결국 1차전 선발로 출전했으나, 첫 이닝부터 4실점을 허용하는 기대 이하의 피칭을 시작으로 50개도 못 던지고 강판을 당하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2.3. 미네소타 트윈스[편집]



파일:트윈스페덱.webp


2022년 4월 7일, 테일러 로저스브렌트 루커를 상대로 에밀리오 파간과 함께 미네소타로 트레이드되었다. 공교롭게도 이적 후 첫 선발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홈 인터리그 2연전 두 번째 경기로 또 다저스를 상대하게 되었다.

4월 13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전에 등판해 미네소타에서 데뷔했지만 4이닝 3실점을 기록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5월 18일 토미 존 수술을 받으며 시즌아웃되었다.

2023년 1월 13일, 3년 1,250만 달러의 연장계약을 맺었다.

9월 24일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해 당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전 7회초에 등판해 복귀전을 치르려 했으나, 경기가 우천으로 인해 50분간 중단되어 어깨가 식어 공을 던지지 않고 루이 발랜드로 교체되었다.

9월 26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전 6회초에 구원 등판해 복귀전을 치렀다. 6회초에는 선두타자 닉 알렌에게 안타를 허용한 뒤 에스테우리 루이즈, 라이언 노다, 잭 겔로프 세 타자를 연속 헛스윙 삼진으로 잡아내며 위력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7회초에는 아웃카운트를 잡지 못한 채 세스 브라운에게 투런 홈런, 조던 디아즈에게 적시 2루타를 허용하는 등 2이닝 4피안타 1피홈런 1볼넷 4K 3실점을 기록했다.

9월 30일 콜로라도 로키스전 2회말에 오프너 에밀리오 파간의 뒤를 이어 등판해 3이닝 2피안타 4K 무실점의 완벽투를 보이고 승리 투수가 되었다.

3. 피칭 스타일[편집]




95마일 포심 패스트볼


85마일 벌컨 체인지업
평균 90마일 중반에서 형성되는 포심 패스트볼과 80마일 중반에서 형성되는 벌컨 체인지업을 주무기로 사용하고 간간히 커브를 섞어던지는 쓰리피치 유형의 투수로, 신장은 메이저 평균 정도지만 팔길이가 길어 쓰리쿼터와 오버핸드 사이 각도의 높은 타점에서 내려꽂는 체인지업과 패스트볼이 특히 위력적이다.

또한 피칭 특징이라고 하면 초구 스트라이크 확률이 매우 높다. 보통 60% 후반 정도를 기록하며 매우 높았던 2019 시즌엔 무려 71.3%라는 수치를 기록했다. 이게 어느 정도 수준이냐면 2019 시즌 투구수 1800회 이상 기록한 121명의 MLB 투수 중 초구 스트라이크 확률 단독 1위 선수[3]가 바로 크리스 페덱이었다.

다만 패스트볼과 체인지업 외에 나머지 구종은 형편없는 수준으로 이는 2020년에 소포모어 징크스를 제대로 겪은 원인이 되고 말았다.

4. 연도별 성적[편집]


파일:MLB 로고.svg 크리스 페덱의 역대 MLB 기록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19
SD
26
9
7
0
0
140⅔
3.33
107
23
31
6
153
0.981
126
2.4
2.9
2020
12
4
5
0
0
59
4.73
60
14
12
2
58
1.220
89
0.4
0.1
2021
23
7
7
0
0
108⅓
5.07
115
15
22
1
99
1.265
77
1.8
-0.6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22
MIN
5
1
2
0
0
22⅓
4.03
25
0
2
1
20
1.209
97
0.9
0.2
2023
2
1
0
0
0
5
5.40
6
1
1
0
8
1.400
85
0.1
0.0
MLB 통산
(5시즌)
68
22
21
0
0
335⅓
4.21
313
53
68
10
338
1.136
97
5.5
2.7


5. 기타[편집]




6. 관련 문서[편집]


[1] 페르난도 로드니 역시 파드리스에서 28⅔이닝 동안 단 1실점만 하던 모습은 온데간데없고 ERA 5점대의 볼쟁이로 전락하며 말린스의 뒷통수를 거하게 때렸다.[2] 쉽게 말해 타구가 4번 뜨면 한번은 홈런이라는 것[3] 2위는 맥스 슈어저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13:24:02에 나무위키 크리스 페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