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출: 프로젝트 사일런스

최근 편집일시 : (♥ 0)

탈출: 프로젝트 사일런스 (2024)
PROJECT SILENCE
장르재난, 액션, 첩보, 스릴러, 호러, 어드벤처
감독김태곤
각본김태곤, 김용화, 박주석
제작김용화
촬영홍경표
미술한아름[1]
편집허선미, 이건문
음향이민수
음악심현정
무술이건문
시각효과
출연이선균, 주지훈, 김희원
제작사블라드스튜디오, CJ ENM 스튜디오스
배급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J ENM MOVIE
스트리밍
촬영 기간2020년 10월 8일 ~ 2021년 6월 11일
개봉일파일:칸 영화제 아이콘.svg 2023년 5월 2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7월 12일
화면비
상영 타입2D | 4DX
상영 시간101분 (1시간 41분)
제작비200억 원 #
손익분기점
월드 박스오피스
대한민국 총 관객 수
상영 등급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포스터
3. 예고편
4. 시놉시스
5. 등장인물
5.1. 주요 인물
5.2. 주변 인물
6. 줄거리
7. 사운드트랙
8. 평가
9. 흥행
9.1. 대한민국
10. 기타



1. 개요[편집]


짙은 안개 속 연쇄 추돌 사고가 일어나고, 붕괴 위기의 공항대교에 풀려난 통제불능의 군사용 실험견들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극한의 사투를 벌이는 사람들의 이야기

2024년 7월 12일 개봉 예정인 한국 영화. 제76회 칸 영화제 비경쟁 심야 상영 부문 초청작이다.


2. 포스터[편집]




3. 예고편[편집]


인터내셔널 예고편
메인 예고편


4. 시놉시스[편집]


붕괴 위기의 공항대교,

생존자 전원이 타겟이 되었다.

기상 악화로 한치 앞도 구분할 수 없는 공항대교.

연쇄 추돌 사고와 폭발로 붕괴 위기에 놓인 다리 위에 사람들이 고립된다.

이 때 극비리에 이송 중이던 '프로젝트 사일런스'의 군사용 실험견들이 풀려나고

모든 생존자가 그들의 타겟이 되어 무차별 공격당하는 통제불능의 상황이 벌어진다.

공항으로 향하던 안보실 행정관(이선균)부터

사고를 수습하려고 현장을 찾은 렉카 기사(주지훈),

그리고 실험견들을 극비리에 이송 중이던 '프로젝트 사일런스'의 책임연구원(김희원)까지.

사상 최악의 연쇄 재난 발생,

살아남기 위한 극한의 사투가 시작된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5. 등장인물[편집]



5.1. 주요 인물[편집]


재난이 닥친 공항대교에 갇힌 대통령 보좌관.

인생의 대박을 노리는 렉카 기사.

'프로젝트 사일런스' 책임 연구원.


5.2. 주변 인물[편집]









6. 줄거리[편집]




7. 사운드트랙[편집]




8. 평가[편집]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

칸 영화제 심야 상영회 직후 첫 평가가 나왔는데 호불호에도 못 미치게 매우 좋지 않다. 이러한 초기 반응은 2021년에 촬영을 마치고 크랭크업했음에도 왜 2년간이나 개봉이 미뤄지면서 창고 영화로 남았었는지 설명이 되는 부분이기도 했다. 편집 등의 후반 작업 기간을 감안해도 코로나 사태가 끝난 이후에도 개봉이 1년 이상 미뤄진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국내외 기자들의 리뷰 모두 지나치게 편의주의적인 전개와 난잡한 클리셰, 다른 영화를 베낀 듯 기시감이 드는 장면들, 질척하고 늘어지는 신파, 독창성과 서사의 부재 등을 공통적으로 지적하며 영화가 전체적으로 유치하고 조잡하다는 악평이 우세했다. 헐리우드의 유력 매체인 버라이어티는 "Silly(어리석은)"라는 표현으로 혹평을 남겼을 정도였다. 이는 관객 반응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배우들의 연기와 액션 연출이 그나마 괜찮았다고 호평을 받았으며, 덱스터 스튜디오가 시각효과에 참여한 작품답게 CG의 완성도는 대체로 준수했지만 일부 장면들 속 군견들의 CG 모델링이 눈에 띄게 어색했다는 비판도 일부 존재했다.


9. 흥행[편집]



9.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명-명미집계-원-원
1주차2024-07-17. 1일차(수)-명-명-위-원-원
2024-07-18. 2일차(목)-명-위-원
2024-07-19. 3일차(금)-명-위-원
2024-07-20. 4일차(토)-명-위-원
2024-07-21. 5일차(일)-명-위-원
2024-07-22. 6일차(월)-명-위-원
2024-07-23. 7일차(화)-명-위-원
2주차2024-07-24. 8일차(수)-명-명-위-원-원
2024-07-25. 9일차(목)-명-위-원
2024-07-26. 10일차(금)-명-위-원
2024-07-27. 11일차(토)-명-위-원
2024-07-28. 12일차(일)-명-위-원
2024-07-29. 13일차(월)-명-위-원
2024-07-30. 14일차(화)-명-위-원
3주차2024-07-31. 15일차(수)-명-명-위-원-원
2024-08-01. 16일차(목)-명-위-원
2024-08-02. 17일차(금)-명-위-원
2024-08-03. 18일차(토)-명-위-원
2024-08-04. 19일차(일)-명-위-원
2024-08-05. 20일차(월)-명-위-원
2024-08-06. 21일차(화)-명-위-원
4주차2024-08-07. 22일차(수)-명-명-위-원-원
2024-08-08. 23일차(목)-명-위-원
2024-08-09. 24일차(금)-명-위-원
2024-08-10. 25일차(토)-명-위-원
2024-08-11. 26일차(일)-명-위-원
2024-08-12. 27일차(월)-명-위-원
2024-08-13. 28일차(화)-명-위-원
합계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2]




10. 기타[편집]


  • 2023년 10월 19일 이선균마약 투약 의혹이 알려져 개봉에 차질이 생겼고, 2024년 개봉으로 일정을 미룬 뒤 경찰 수사 상황을 지켜보려는 입장을 취했으나 10월 23일 이선균이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되자 패닉 상태에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1 #2거기다 2023년 12월 27일, 이선균이 극단적 선택으로 인해 사망하며 행복의 나라와 함께 사실상 그의 유작이 되었다.



  • 주연 주지훈과 조연 김수안은 《신과함께-죄와 벌》에서 같이 출연한 적 있다.[3]

  • 주지훈이 본인의 모든 헤어와 패션 스타일링을 했다. 장발에 탈색한 헤어스타일 등과 후줄근한 옷차림 등이 인상적인데, 어릴 때 무서운 형을 봤던 때 떠올렸던 이미지를 참고했다고. 인터뷰 기사

  • 초기 제목은 '사일런스'였으나, 제작 과정에서 탈출: PROJECT SILENCE(프로젝트 사일런스)로 변경되었다.



  • 포스터에 적힌 문구 중 타겟의 바른 외래어 표기법은 타깃이다.


[1] 1987의 미술 감독.[2] ~ 2024/07/17 기준[3] 신과함께-죄와 벌에서도 주지훈이 주연, 김수안이 조연이었다. 또한 해당 작품의 감독이었던 김용화는 본작에 제작자 겸 공동 각본가로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