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포트(술)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패스포트 문서
패스포트번 문단을
패스포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Passport Scotch.jpg
파일:Passport Scotch_1.jpg
파일:PASSPORT.jpg
구구형 디자인[1]
구형 디자인
현행 디자인
1. 개요
2. 상세
2.1. 국내 판매

홈페이지

1. 개요[편집]


PASSPORT SCOTCH[2]

시바스 리갈로 유명한 시바스 브라더스(Chivas Brothers) 사의 블렌디드 스카치 위스키이다.

2. 상세[편집]


1965년 마스터 블렌더 지미 랭 (Jimmy Lang)에 의해 출시되었다. 숙성연수 미표기(NAS)으로 나오며 스탠다드급으로 분류된다. 시바스 브라더스가 페르노리카에 인수됨에 따라 패스포트도 자연히 페르노리카 소속 브랜드가 되었다. 같은 시바스 브라더스 사에서 생산하는 시바스 리갈에 스탠더드급이 없기 때문에 패스포트가 그 자리에 있는 게 아닌가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키 몰트가 차이가 크기에 그렇다고 보기는 힘들다. 같은 시바스 브라더스에서 생산돠는 로얄 살루트와는 다르다.[3] 패스포트, 시바스 리갈과 로얄 살루트 모두 스카치 위스키 생산량/판매량 순위 20위 안에 들어가는 인기 브랜드이다.[4]

고대 로마 시대의 통행증(패스포트)을 모티브로 디자인한 사각형 병 모양이 특징이다. 스코틀랜드 스페이사이드 지역의 글렌키스 증류소 시그니쳐 위스키 숙성 원액을 사용하고 있으며 700mL 한 병에 1만원대 후반에서 2만원대 초반의 저렴한 가격이지만 가격 이상의 뛰어난 맛을 보여 주는 위스키다. 훈제 향, 사과, 버터, 웨하스맛이 주를 이루는데, 알코올 향도 잘 안 나면서 신선하게 느껴진다.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청사과, 오렌지, 초콜릿, 바닐라의 향과 시트러스와 호두 계열의 맛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가벼운 스모키와 강렬한 부드러움의 긴 여운이 특징이다.

2020년부터 재수입을 하면서 수입사에서 하이볼을 만들기 좋은 위스키라고 홍보하고 있는데, 스탠다드급치고 알코올 향이 강한 편은 아니어서 스트레이트로 마셔도 나쁘지 않다.

2.1. 국내 판매[편집]



1984년 오비씨그램을 통해 국내에 출시되었다. 국내에 최초로 소개된 정통 100% 스카치 위스키이다[5]. 그 이전까지는 위스키 원액의 수입을 정부에서 통제하였기 때문에 위스키 원액은 최대 30% 이하에 주정과 물 등의 부가물을 최소 70% 이상 넣은 술만이 위스키라고 일반에 판매되었다.

시판 초기에는 원액을 수입하여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국내에서 블렌딩해서 팔았다고 한다. 이렇게 한 이유는 특급(위스키 100%) 위스키 제조·판매 규제가 풀린[6] 뒤로도 한동안 수입물품에 대한 규제로 원액 함량 20%가 넘는 위스키의 직수입은 여전히 금지되었기 때문이다.[7] 그래서 상단 영상 초반에 나오는 패스포트의 광고를 보면 진짜 스카치 위스키임을 강조하기보다는 '시바스 브라더스 사의 원액 사용'이라고 되어 있다. 이 때 블렌딩이 별로라서 인지도를 깎아먹었다는 말이 있다. 심지어 당시를 기억하는 사람들 중에는 이 술을 캪틴큐나폴레온 등의 기타재제주와 같은 급으로 생각하는 이들도 적잖다#.[8] 아무튼 당시의 패스포트도 현재 로컬 위스키와 생산 과정이 같기에 스카치 위스키는 맞다. 당시 워낙 유명한 제폼이었기에 아직도 많은 이들이 기억하고 있다.

1994년 국내시장 점유율 49.3%를 기록한 제품으로서, 한때 썸싱 스페셜과 함께 국내 유흥업계를 장악했으나 2000년대 이후 임페리얼, 윈저, 스카치 블루, 킹덤 등의 국내 유통용 12년급 블렌디드 위스키에 썸싱 스페셜과 함께 밀려났다. 심지어 2010년에는 스카치 문구를 빼버리고[9] 도수를 36.5%로 낮춘 맹물 골든블루까지 나와 국내 위스키 점유율 2위를 차지하는 등 위스키 진열장을 깽판치는 실정이다. 그나마 임페리얼과 윈저가 정통 스카치위스키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지만, 골든블루로 대표되는 싸구려 저도주 위스키의 국내시장 공세는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에스코트와 W 등 비슷한 저도주 위스키가 출시되고 임페리얼도 40도 미만의 35 바이 임페리얼과 임페리얼 스무스 등의 자도주 위스키를 출시하며 유흥업계에서 정통 위스키의 점유율은 계속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10]

경쟁구도가 끝나고 전성기가 지난 후에는 현지에서 블렌딩하여 병째 수입하여 상표만 붙여서 팔았다. 이후 단종되었다 2020년 10월부터 드링크인터내셔널에서 재수입을 시작하였다.# 일부 편의점이나 주류를 다양하게 구비한 대형마트에서 볼 수 있다. 700mL 제품보다는 200mL짜리 힙 플라스크 형태의 미니 보틀이 자주 보인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16:38:07에 나무위키 패스포트(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진에서 보이듯 일본 수출용이며, 1980년대 한국에 수입되었던 것도 이 디자인이다. 한국 수입용에는 한글이 흰색으로 쓰여 있었다.[2] 뒤에 붙는 단어는 각 디자인마다 다르다. 상단 사진 참고.[3] 로얄 살루트는 그냥 시바스 리갈 고급 버전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이 둘의 키 몰트는 스트라스아일라이며, 글렌리벳도 키 몰트로 분류되기도 한다. 패스포트의 키 몰트인 글렌키스도 들어간다.[4] 매년 다르기는 하나 시바스 리갈은 거의 항상 5위 안에 들어가고 로얄 살루트가 대체로 패스포트보다 순위가 높다.[5] 위스키 3사 특급위스키전 - 중앙일보, 1984년 6월 15일.[6] ...이라고 쓰고 1986 서울 아시안 게임1988 서울 올림픽에 대비해 소위 '코리안 위스키'를 제조·판매하여 외화벌이를 이룩하려는 국세청의 점진적 지시라고 읽는다. 그러나 해방 이후 40년씩이나 주세를 비롯한 각종 정책적 규제로 양주의 제조를 막아왔기에 양주 제조에 대한 노하우가 부족했고, 결국 스카치 위스키와 전면 격돌하면서 그대로 시장에서 밀려났다. 애시당초 100% 국산 위스키를 만들 수준도 되지 못하여 스카치 위스키 원액과 주정과 혼합하여 국산 위스키라고 내놓았다.[7] 이 시절 수입 위스키들은 해외여행자 및 재외교포들이 선물 및 자가소비용으로 가져온 것과 보따리상들이 해외 또는 주한미군에게서 소량씩 밀수해서 남대문시장·부평깡통시장 등에 풀린 물품이 전부였다.[8] 이런 처지는 당대 라이벌이었던 썸싱 스페셜과 국내에 일찌감치 들어온 위스키인 딤플, 커티 삭도 마찬가지로 겪었다.[9] 스카치 위스키라고 부르려면 증류주의 표준 도수인 40도 이상의 도수를 가져야 한다.[10] 일반적인 위스키가 캐스크 스트렝스 원액에 물을 섞어 도수를 40도로 맞춰 출고된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이런 저도주 위스키는 물을 미리 섞어 파는 것이나 다름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