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잡이(천하제일상 거상)

덤프버전 :




1. 용병 활잡이
2. 1차 장수 이순신
3. 2차 장수 거북차
4. 3차 장수 개량된 거북차(火)


천하제일상 거상의 용병 클래스의 하나


1. 용병 활잡이[편집]


파일:external/www.gersangjjang.com/character_korea_photo1.gif
파일:gs_old_portrait_045.jpg
현 초상화
구 초상화

기초 스탯
힘 : 20
민첩성 : 20
생명력 : 10
지력 : 0
타격저항력 : 0%
마법저항력 : 0%
보너스스탯 : --

흐미~! 아 걱정 붙들어 매랑께요~!

아~따 형님 활을 싼 거 사주니께 요로코롬 안 맞는 거 아니여~어?[1]

별로 안무서운것들이 덤비는구마잉?

흐미~ 순신이 형님처럼 가야허는 건디..

신용등급 4, 혹은 레벨 9 이상일 경우 고용이 가능하다., 고용시 4800냥이 필요하다. 활 종류 무기를 장착할 수 있으며 원거리 공격 유닛이지만 사거리가 그리 긴 편이 아니고 이동 속도도 느린데다가 공격을 맞으면 땅에 기어다니면서[2] 도망다니기 때문에 같은 활 무기를 낄 수 있지만 기동성이 월등히 좋은 기마궁수에 많이 밀린다.

  • 추천스탯
마법 불화살용
스탯
수치
해당 스탯에 관한 설명

전부
마법의 불화살의 대미지는 공격력에 비례한다.
민첩성
X
생명력
250~375
평타 공격이 기반인 만큼 한 번에 적들을 녹일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체력이 어느 정도 되어야 죽지 않고 버틸 수 있다.
지력
X
마법 불화살은 마법력을 2씩 소모하지만 100렙 이상 제갈공명만 있어도 마법력은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안 찍는게 좋다.


2. 1차 장수 이순신[편집]


파일:external/www.gersangjjang.com/G_korea_photo1.gif
기초 스탯
힘 : 40
민첩성 : 60
생명력 : 50
지력 : 20
타격저항력 : 0%
마법저항력 : 0%
보너스스탯 : 총스탯/5

휘영청 밝은 달빛 아래 칼을 허리에 차고.
이순신입니다. 맡겨만 주십시오!

기공신포의 힘을 보여주마!
백발백중! 내 활맛을 보여주마!

거북선만 있었어도!

활잡이의 레벨이 40 이상이면 전직할 수 있다. 고용시 신용등급 45에 100만냥이 필요하다.
흔히 우리가 이순신 장군님을 떠올릴 때면 생각하는 붉은 갑옷과 투구를 착용한 모습이다. 대기모션에서 칼을 땅에 박고 서있는데, 기공신포를 시전할 때 사용한다. 원작에서는 활로 사용하던 것과 대조적.

  • 기공신포
파일:external/www.gersangjjang.com/skill_50chikou.jpg
마법계 스킬. 힘 스탯에 영향을 받는다.
임진록 2에서부터 이어진 이순신의 고유기술. 50의 마법력이 소모되며 전용 모션이 존재한다.[3] 6시에서 12시 방향으로 쏘면 가장 높은 대미지(3회 타격)를 뽑아낼 수 있다.

대미지 공식: 공격력x15+Lvx15.(1번 시전시 1회~3회 타격. 최대 공식은 공격력x45+Lvx45) 힘 1당 대미지 6~18 증가.

  • 대사
공격시 : 기공신포의 힘을 보여주지! 백발백중! 내 활 맛을 보여주지!
사망시 : 거북선만 있었더라도.. 내 죽음을 적에게 알리지 마라!

  • 추천스탯
기공신포
스탯
수치
해당 스탯에 관한 설명

전부
기공신포의 공격력은 힘이 높을수록 강력해진다.
민첩성
X
기공신포의 공격력은 민첩성과 무관하다.
생명력
X
체력에 투자할 만큼 넉넉한 스탯을 갖고 있지 않다.
지력
X


3. 2차 장수 거북차[편집]


파일:external/www.gersangjjang.com/2general_korea_char1.gif
기초 스탯
힘 : 115
민첩성 : 55
생명력 : 315
지력 : 90
타격저항력 : 60%
마법저항력 : 50%
보너스스탯 : 총스탯/5

휘영청 밝은 달빛 아래 칼을 허리에 차고.

이순신입니다. 맡겨만 주십시오.[4]

가장 먼저 만들어진 메카닉 2차장수들 중에 하나. 이순신의 레벨이 90 이상이면 전직할 수 있다. 거상 홈페이지에서의 설명에 따르면 "이순신 장군에 의하여 고안된 것으로 거북선의 육전형 형태로 제작 되었으며 극히 소수가 시험적으로 전장에서 사용되었다."라고 나와있는데 당연히 역사에는 없는 거상만의 IF 설정이다. 홍글동 퀘스트를 모두 깨면 거북차 증서를 얻을 수 있다.

파일:external/www.gersangjjang.com/ganggang.gif
타격계 스킬. 힘 스탯에 영향을 받는다.
시전하는 데에 200의 마법력이 소모된다. 바닥에 장판같은 모습이 깔리고 용같이 생긴 형상이 주위를 돌아가면서 지속적인 피해를 입힌다. 초기에는 거북차의 주위를 도는 스킬이었기 때문에 효율성이 매우 안 좋은 기술로 꼽혔으나 패치로 원거리 시전이 가능하게 되면서 거북차의 평가가 좋아졌다. 타격계 스킬이기 때문에 허영갑주에 영향을 받는다. 시전 거리가 짧고 힘 스탯에 비례하는 스킬이라는 것이 흠.

대미지 공식: 공격력x5+Lvx3.(1번 시전시 14회 타격하므로 실질적인 공식은 공격력x70+Lvx42.) 힘 1당 대미지 28 증가.

  • 추천스탯
딜러용
표준형 기준
스탯
수치
해당 스탯에 관한 설명

전부
강강수월래의 공격력은 힘이 높을수록 강력해진다.
민첩성
X
생명력
X
지력
X



4. 3차 장수 개량된 거북차(火)[편집]


파일:jKQ33cU.gif
기초 스탯
힘 : 315
민첩성 : 55
생명력 : 315
지력 : 90
타격저항력 : 60%
마법저항력 : 50%
보너스스탯 : 총스탯/5
거북차의 레벨이 100 이상일 때 신기전화살 20개를 모아 시간의 소용돌이에 있는 기술공 용하 npc에게 가면 개조가 가능해진다. 2014년 9월에 추가된 구 2차 메카닉 장수들의 개조된 모습으로 일러스트는 크게 바뀌는 것 없이 투구가 붉은 색으로 되고 테두리에 금색 테두리가 생기며, 전투에서 캐릭터의 외형만 뒤에 신기전을 쏘는 기통이 추가된 모습을 보인다. 개조가 되었다고 하지만 기존의 전직과 마찬가지로 레벨이 초기화되고 20%의 스탯을 보너스스탯으로 받기 때문에 실질적인 3차 전직이라고 보면 된다. 기본 스탯은 똑같지만 스킬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힘 스탯이 200이 추가되게 되고 새로운 스킬인 공중탄이 생겼다.

그리고 2018년 12월 19일, 개조거북차의 상향을 받아 공중탄의 대미지가 1.9배로 상승하고, 강강수월래의 대미지는 2배로 대미지가 상승하여 다른 장수와도 꿀리지 않는 성능을 갖추게 되었다.

  • 공중탄
파일:external/www.gersangjjang.com/lee3.gif
타격계 스킬. 힘 스탯에 영향을 받는다.
메카닉 개조를 한 뒤에 새로 생기는 스킬이다. 공중탄이라는 이름답게 공중몹들을 4차에 걸쳐 공격할 수 있다.

대미지 공식: 힘x8 + 공x6.5 + Lvx10.(1번 시전에 4회 타격되므로 실질적인 공식은 힘x32 + 공x26 + Lvx40.) 힘 1당 대미지 42.4 증가.

  • 추천스탯
딜러용
표준형 기준
스탯
수치
해당 스탯에 관한 설명

전부
강강수월래와 공중탄 모두 힘에 영향을 받는다.
민첩성
X
생명력
X
지력
X

전설장수 재료용
스탯
수치
해당 스탯에 관한 설명

X
민첩성
X
생명력
전부 투자
지력
X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0:22:11에 나무위키 활잡이(천하제일상 거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게임 초기에는 '활 좀 좋은 걸로 바꿔 주시오' 라는 표준어 대사였으며, 말투도 지금처럼 경박한 스타일이 아니라 조용한 말씨였다. 그 외의 대사도 모두 표준어였지만 서남 방언을 쓰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물론 비싼 거 사줘도 이 대사는 바뀌지 않는다. 게다가 쓰러질 때 이 말을 비슷하게 하고 쓰러지기도 한다.[2] 기반 유닛인 임진록2의 조선 궁수의 포복술을 그대로 따다 놓았기 때문인데, 회피율을 올려준다고는 하나 스킬 위주의 게임인 거상에선 회피율은 쓸모없는 능력치일 뿐이다. 이 외에도 창잡이, 검술낭인, 조총낭인 등과 같이 임진록2의 보병을 기반 유닛으로 제작된 용병들은 공격 받으면 자동으로 포복술로 기어다닌다.[3] 본래는 활을 쓰는 모션이었으나 검을 휘두르는 전용 모션으로 바뀌었다. 이순신 외의 용병이 기공신포를 사용할 경우 이순신처럼 별도의 모션이 아닌 평타 모션으로 사용한다.[4] 1차장수인 이순신과 대사가 똑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