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새치자리 S형 변광성

덤프버전 :

분류

항성은하천문학
Stellar & Galactic Astronomy
[ 펼치기 · 접기 ]
항성천문학
항성 ()광도 · 별의 등급 · 색등급도 · 여키스 분류법 · 하버드 분류법 · 별의 종족 · 다중성계(쌍성) · 변광성(세페이드 변광성) · 성단(산개성단의 분류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
항성 진화보크 구상체 · 진스 불안정성 · 하야시 경로 · 갈색왜성 · 황소자리 T형 별 · 주계열성 · 적색거성 · 적색초거성 · 볼프–레이에별 · 행성상성운 · 초신성(중력붕괴 · 좀비별 · 감마선 폭발)
밀집성백색왜성(신성 · 찬드라세카르 한계) · 중성자별(뉴트로늄 · 기묘체) · 블랙홀(에딩턴 광도)
성간물질성운(전리수소영역) · 패러데이 회전
은하천문학
기본 개념은하(분류) · 활동은하핵(퀘이사) · 위성은하 · 원시은하(허블 딥 필드) · 툴리-피셔 관계 · 페이버-잭슨 관계 · 헤일로(암흑 헤일로)
우주 거대 구조은하군 · 은하단 · 머리털자리 은하단 ·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페르세우스자리 은하단) · 섀플리 초은하단 · 슬론 장성 · 헤르쿨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
우리 은하은하수 · 페르미 거품 · 국부 은하군(안드로메다은하 · 삼각형자리 은하 · 마젤란은하(대마젤란 은하 · 소마젤란 은하) · 밀코메다) · 처녀자리 초은하단(처녀자리 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화로자리 은하단 ·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 · 센타우루스자리 은하단 · 거대 인력체) · 물고기자리-고래자리 복합 초은하단
틀:천문학 ·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천문학 관련 정보


파일:20180404_203007.jpg
황새치자리 S형 변광성의 상상도이다.
1. 개요
2. 질량


1. 개요[편집]


황새치자리 S 변광성은 밝은 청색변광성의 또다른 말이다

황새치자리 S형 변광성(LBV)은 불안정적인 초거성,극대거성이다.[1] 가장 어두울 때는 약 태양의 25만배이고 가장 밝을 때는 500만배 까지 올라가며 그 때의 온도는 약 2만5천K(켈빈)까지 올라간다. 심지어 폭발시에는 수천만배까지도 밝아진다. 분광형은 B이며, 독특한 스펙트럼이 나타난다. 색등급도에서는 대략 1만켈빈이다. 밝기가 엄청 밝은데 초신성 폭발 다음으로 밝다. 가장 대표적인 별로는 황새치자리 S용골자리 에타 이/가 있다.

LBV는 불규칙적으로 거대한 폭발이 일어나는데 이 과정에서 광도는 매우 올라가지만, 질량손실의 속도는 더욱 빨라진다. 이 폭발은 너무 강해서 몇몇은 초신성 폭발로 착각되어 기록된 일도 있을 정도이다.[2] 그리고 이런 수많은 폭발들로 인해 LBV 주변에는 성운에 둘려싸여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 질량[편집]


LBV들의 질량은 이론상의 항성 질량 상한선인 태양의 150배 근처이다. 만약 질량이 150배 이상이 되면 자체 중력이 복사압에 의하여 형체를 유지할 수 없는데, 이 LBV들은 항성풍으로 질량을 내보내면서 겨우 150배에 턱걸이하며 유체정역학적 균형을 겨우 유지하고 있다.[3] 또한 너무나도 거대한 질량으로 인해 수명이 수 백만 년 정도로 매우 짧고,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기 전에 볼프-레이에별이 될것으로 예상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3-12 23:55:05에 나무위키 황새치자리 S형 변광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밝은 청색변광성으로도 불리운다.[2] 초신성 폭발과 맞먹는다는 소리인데 이건 엄청난 것이다.[3] 그러나 예외로 R136a1이라 불리우는 항성은 태양의 215(184 ~ 260)배라는 극도로 무거운 질량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