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양궁 선수에 대한 내용은 황진우(양궁) 문서
황진우(양궁)번 문단을
황진우(양궁)#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펼치기 · 접기 ]
#000
||<tablewidth=100%><tablebgcolor=#f1f1f1,#000><bgcolor=#fff><width=2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MC 레이싱.png|width=75%]]}}} ||<width=20%><bg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엑스타 레이싱팀|[[파일:엑스타레이싱_로고.png|width=75%]]]]}}} ||<width=20%><bg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서한 GP|[[파일:서한 GP 어두운 로고.jpg|width=90%]]]]}}} ||<width=20%><bgcolor=#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볼가스 모터스포츠|[[파일:볼가스 레이싱.png|width=100%]]]]}}} ||<width=2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준피티드 레이싱|[[파일:준피티드 레이싱 2022.png|width=90%]]]]}}} ||
|| [[파일:UEFA JPN.png|width=20]][br]'''{{{#000 No. 03}}}'''[br]{{{#000 아오키 타카유키}}} || [[파일:UEFA JPN.png|width=20]][br]'''{{{#000 No.55}}}'''[br]{{{#000 요시다 히로키}}}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6}}}'''[br][[장현진(카레이서)|{{{#000 장현진}}}]]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44}}}'''[br][[김재현(카레이서)|{{{#000 김재현}}}]]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77}}}'''[br]박정준 ||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99}}}'''[br]{{{#000 토니}}}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18}}}'''[br][[이찬준|{{{#000 이찬준}}}]]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5}}}'''[br]김중군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4}}}'''[br][[정의철|{{{#000 정의철}}}]]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12  }}}'''[br] [[황진우(카레이서)|{{{#000 황진우}}}]] ||
|| [[파일:UEFA EURO NED.png|width=20]][br]'''{{{#000 No. 27}}}'''[br]카를로 반 담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24}}}'''[br][[이창욱(카레이서)|{{{#000 이창욱}}}]]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7}}}'''[br]정회원 || || ||
||<bgcolor=#fff><width=20%> {{{#!wiki style="margin: -5px -10px"
[[CJ로지스틱스 레이싱|[[파일:cj로지스틱스 레이싱팀.png|width=100%]]]]}}} ||<bgcolor=#fff><width=20%> {{{#!wiki style="margin: -5px -10px"
[[L&K 모터스|[[파일:L&K 모터스.png|width=80%]]]]}}} ||<width=20%><bgcolor=#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 ||<width=20%><bgcolor=#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
}}} ||<width=20%><bgcolor=#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브랜뉴 레이싱|[[파일:브랜뉴레이싱.png|width=80%]]]]}}} ||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50}}}'''[br]오한솔 ||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br]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br]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87}}}'''[br]{{{#000 이효준}}} ||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36}}}'''[br]박준서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22}}}'''[br][[이은정(교수)|{{{#000 이은정}}}]]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br] || || [[파일:UEFA KOR.png|width=20]][br]'''{{{#000 No. 38}}}'''[br][[박규승|{{{#000 박규승}}}]] ||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47a0><width=12%> 2008년 ||<width=12%> 2009년 ||<width=12%> 2010년 ||<width=12%> 2011년 ||<width=12%> 2012년 ||<width=12%> 2013년 ||<width=12%> 2014년 ||<width=12%> 2015년 ||<width=12%> 2016년||
||<rowbgcolor=#fff,#191919> 파일:캐나다 국기.svg
조항우
현대 레이싱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의수
CJ 레이싱 || 파일:일본 국기.svg
밤바 타쿠
시케인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의수
CJ 레이싱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진우
CJ 레이싱 || 파일:캐나다 국기.svg
조항우
아트라스BX || 파일:독일 국기.svg
팀 베르그마이스터
아트라스BX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의철
엑스타 ||
||<width=12%> 2017년 ||<width=12%> 2018년 ||<width=12%> 2019년 ||<width=12%> 2020년 ||<width=12%> 2021년 ||<width=12%> 2022년 ||<width=12%> 2023년 ||<width=12%> 2024년 ||<width=12%> - ||
||<rowbgcolor=#fff,#191919> 파일:캐나다 국기.svg
조항우
아트라스BX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종겸
아트라스BX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의철
엑스타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종겸
아트라스BX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찬준
엑스타 || 파일:external/images.freeimages.com/laurel-wreath-1159689.jpg ||



파일:황진우 준피티드 12번.png
준피티드 레이싱 No.12
대한자동차경주협회 센추리클럽 제8호 드라이버
황진우(Jin Woo Hwang)
출생
1983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신체
178cm B형
가족
아버지 황운기, 형 황진욱[1]
레이스 데뷔
1999년 코리아 카트 그랑프리
챔피언
2005년 BAT GT 챔피언십 GT1
2006년 코리아 GT 챔피언십 GT1
2013년 CJ헬로비전 슈퍼레이스 슈퍼6000클래스
소속
시그마 PAO 렉서스 레이싱 팀-KIXX 레이싱 팀 (2004~2007)[2]
팀 쉐도우 (2008)
A1 팀 대한민국(2009)
에쓰오일-DM 레이싱 (2010~2011)
발보린 레이싱 (2012)
CJ 레이싱팀 (2013~2015)
팀 코리아 익스프레스 (2016)[3]
CJ로지스틱스 레이싱 (2017~2019)[4]
준피티드 레이싱 - ASA&준피티드 레이싱 - 준피티드 레이싱 (2020~2021,2023~)[5]
엔페라 레이싱팀 (2022)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2005년 BAT GT 챔피언십 GT1클래스 챔피언
2002~2004
김의수
성우 인디고
현대 투스카니

황진우
시그마파오 렉서스
렉서스 IS200


대회 없어짐[6]
2006년 코리아 GT 챔피언십 GT1클래스 챔피언
대회 창설

황진우, 최해민
킥스 렉서스
렉서스 IS200


2007년[7]
조항우
킥스 프라임
렉서스 IS200
2013년 CJ헬로비전 슈퍼레이스 슈퍼6000 챔피언
2011~2012
김의수
CJ 레이싱

황진우
CJ 레이싱


2014
조항우
아트라스BX 레이싱

1. 소개
2. 경력
3. 역대 종합 성적
4. 수상내역
5. 여담
6. 역대 KARA 센추리 클럽 달성자



1. 소개[편집]


대한민국준피티드 레이싱 소속 레이싱 드라이버.

부친은 한국 모터스포츠의 1세대 드라이버 중 1명이자 발보린과 스폰서 계약을 맺으면서 국내 모터스포츠계에 개인 스폰서 개념을 최초로 들여온 황운기 단장으로 황운기 단장의 둘째 아들이다.[8] 전 CJ로지스틱스 레이싱 팀 감독 겸 드라이버이자 현 준피티드 레이싱팀 드라이버로 국내 모터스포츠계 2세대 드라이버이면서 대한민국 카트 레이싱 1세대 드라이버.


2. 경력[편집]


1998년 국내 모터스포츠의 1세대 드라이버 중 1명이자 부친인 황운기 단장이 문막에 카트장을 오픈한 것에서부터 그의 모터스포츠 커리어가 시작된다. 이 문막 카트장이 지금은 없어진 문막 발보린 파크의 전신으로 황진우와 황진욱 형제는 이곳에서 카트를 1년간 타다가 형제가 모두 1999년 카트 그랑프리에 나간 것이 그 시작, 이후 2000년 두 형제가 모두 한국모터챔피언쉽시리즈 MBC 그랑프리 포뮬러 1800에 나갔다.

실질적 경력은 2004년부터라 할 수 있는데, 2004년 김정수 감독[9]이 이끈 시그마파오 렉서스의 창단 멤버로 합류, 이해 GT1 클래스에 참전하면서 꽃미남 레이서로 이름을 날렸다. 이후 2005년 시즌 챔피언을 차지했고, 팀명이 킥스 프라임으로 바뀐 2007년까지 드라이버로 활동했다.

2008년, 일본 슈퍼 GT와 A1 그랑프리에 진출했지만 2009년에 국내에 복귀, 현대레이싱과 S-OIL DM레이싱팀에서 활동하기도, 2011년에는 KSF에 참전하면서 영역을 잠시 옮겼지만, 2012년 부친인 황운기 단장이 이끄는 발보린 팀으로 이적해 시즌 1승을 올렸다. 2013년에는 김의수 감독이 이끌던 CJ레이싱으로 이적, 김의수 감독과 투톱 체제로 활동하다가 2013 시즌 정상을 차지했다.

2016년, CJ그룹의 정책 변화로 인해 김의수 감독이 팀을 떠나 제일제당 레이싱을 창단하면서 팀명이 팀코리아익스프레스로 바뀌면서 2대 감독으로 취임, 팀명이 CJ로지스틱스 레이싱으로 변경된 2019년까지 팀 감독 겸 드라이버로 활동했다.

2020년 시즌에는 CJ그룹의 내부 사정 등으로 인해 팀이 사실상 리빌딩 체제로 접어들게 되면서 팀을 떠나 박정준 선수가 이끄는 준피티드 레이싱으로 이적하게 되었다.

2022년,엔페라 레이싱팀으로 이적했다.

3. 역대 종합 성적[편집]


2000, 2003년은 국제대회인 INTERNATIONAL FORMULA 3 SUPER PRIX만 참전한 관계로 본 내용에서는 제외한다.
연도
대회명
클래스
소속 팀
경주차
성적
2004년
BAT GT 챔피언십
GT1
시그마파오 렉서스
렉서스 IS200
3위
2005년
1위
2006년
CJ 코리아GT 챔피언십
킥스 렉서스
2007년
CJ슈퍼레이스챔피언십
GT
5위
2008년
슈퍼 GT
GT300
팀 쉐도우
포르쉐 911 GT3 996
20위
2009년
A1GP
대한민국

19위
2010년
CJ Tving.com 슈퍼레이스챔피언십
제네시스쿠페
S-Oil 디엠레이싱
현대 제네시스 쿠페
2위
2011년
코리아 스피드 페스티벌
제네시스쿠페 클래스
4위
2012년
헬로모바일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SUPER6000
발보린레이싱
스톡카
2위
2013년
CJ헬로비전 슈퍼레이스 챔피언쉽
CJ레이싱
1위
2014년
CJ헬로모바일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2위
2015년
6위
2016년
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SUPER 6000[10]
팀코리아익스프레스
5위
2017년
CJ로지스틱스 레이싱
공동 10위[11]
2018년
Cadillac 6000
12위[12]
2019년
ASA 6000
12위
2020년
ASA 600
준피티드 레이싱
7위

4. 수상내역[편집]



  • 2013년 CJ 헬로비전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종합시상식 MVP
  • 2013년 제8회 한국모터스포츠 어워즈 올해의 드라이버 대상
  • 2013년 제8회 한국모터스포츠 어워즈 포토제닉상
  • 2006년 제1회 한국모터스포츠 어워즈 올해의 드라이버 대상
  • 2005년 BAT GT 챔피언십 종합 챔피언


5. 여담[편집]


  • BAT GT 챔피언십 GT 클래스에서 활동하던 2004년~2005년에는 꽃미남 레이서로 유명세를 떨쳤다. 선배이기도 한 김의수 감독도 2018년 당시 자신의 유투브 방송에서 직접 검색해서 예전 사진 찾아보라고 하면서 왜 이리 많이 쪘냐고 대놓고 태클을 날릴 정도다.

  • 바로 위의 BAT GT 챔피언십에서 활동할 당시 경주차는 바로 토요타의 고급 브랜드인 렉서스의 스포츠 세단인 IS200. 당시 성우 인디고 레이싱팀의 드라이버로 활동하면서 GT1 클래스의 제왕으로 군림하던 김의수 감독[13]과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피튀기는 경쟁을 벌인 것으로도 유명했다. 특히 국산차 vs. 일본차의 경쟁이 치열했던 때라 화제를 모았을 정도.[14] 또한 토요타의 명기인 3S-GE 엔진에 맞서 인디고팀은 초기에 현대자동차의 베타엔진을 활용했으나, 출력 부족의 한계로 인해 황진우의 IS200에 압도적으로 밀리다가, BAT GT의 규정이 동일 메이커의 규정 내 배기량 엔진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정됨에 따라, 세타 엔진을 튜닝하여 대등한 경기를 펼치게 되었다.[15]

  • 2016년부터 2019년까지 각각 다른 팀의 감독을 역임한 것 같지만, CJ로지스틱스 레이싱 항목에서 보듯 사실 같은 팀이다. 팀명이 한차례 바뀌었기 때문.

  • 2018년 6월 3일 영암에서 열린 슈퍼레이스 제3라운드에서 KARA 공인 경기 100경기 출장[16]을 달성해 KARA 센추리 클럽 회원이 되었다. 이 기록을 달성한 드라이버는 이재우, 김의수, 조항우, 장순호, 오일기, 김중군, 류시원으로 황진우까지 총 8명. 특히 황진우는 2세대 드라이버 중 처음으로 달성했다.

  • 슈퍼레이스에 합류한 이래, 2019년까지 통산 포디움 1위 진출은 15회로, 20회의 조항우 다음으로 많은 기록을 냈다. 영암과 용인, 태백에서 안정적인 기록을 냈고, 영암이 5승, 용인이 4승, 태백에서 3승을 거두었고 나머지 3승은 모두 해외 기록이란게 특이점이다.

  • 슈퍼레이스란 이름으로 열린 2007년 슈퍼레이스 제1라운드 GT클래스의 우승자이다. 정작 황진우 드라이버 본인은 슈퍼레이스 측에서 말을 해주고서야 알아차린 것을 보면 꽤 오래전 일이란 생각이 들은거 같다.

  • 2023시즌 제6전을 통해 94경기에 출장하면서 단일 클래스 출장 100경기 카운트다운에 돌입했다. 만일, 2024년에도 시트가 확보되면 2024년 시즌 제4전에서 국내 모터스포츠 역사상 최초로 단일 클래스 100경기 출장 드라이버라는 기록을 세우게 된다. 선배 드라이버인 김의수가 심판으로 나서면서 사실상 은퇴하고, 조항우가 2023년 시즌 해외에 집중하는 만큼 기록을 따라잡는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정의철도 2023년 시즌 최종전까지 출전한다 해도 80경기가 안되는 만큼[17] 당분간 이 기록은 깨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6. 역대 KARA 센추리 클럽 달성자[편집]


1995년부터 계산해 KARA가 공인한 대회 결승경기에 참가한 것을 기준으로 하며, 참전 및 우승은 2020년 시즌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드라이버
달성 경기
(날짜)
달성 당시 클래스
달성 당시 소속 팀
현재 소속
총 참전 횟수
우승 횟수
제1호
이재우
2010년 슈퍼레이스 제4전
(2010년 10월 17일)
슈퍼2000
쉐보레 레이싱팀
쏠라이트 인디고 레이싱(감독)
151회
50회
제2호
조항우
2013년 코리아 스피드 페스티벌 제5전
(2013년 8월 31일)
제네시스 10
아트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
153회
25회
제3호
김의수
2014년 슈퍼레이스 제6전
(2014년 9월 13일)
슈퍼6000
CJ레이싱팀
팀 ES
134회
32회
제4호
장순호
2014년 슈퍼레이스 제7전
(2014년 10월 12일)
슈퍼6000
팀 106
-
105회
23회
제5호
오일기
2015년 코리아 스피드 페스티벌 제1전
(2015년 4월 26일)
제네시스 10
쏠라이트 인디고 레이싱
플릿-퍼플모터스포트
145회
19회
제6호
김중군
2016 슈퍼레이스 제5전
(2016년 9월 4일)[18]
GT-1 클래스
서한-퍼플모터스포츠
서한 GP
135회
12회
제7호
류시원
2017 슈퍼레이스 제2전
(2017년 5월 14일)
슈퍼6000
팀 106
128회
5회
제8호
황진우[19]
2018 슈퍼레이스 제3전
(2018년 6월 3일)
슈퍼6000
CJ로지스틱스 레이싱
엔페라 레이싱팀
123회
23회
제9호
정의철
2021 슈퍼레이스 제4전
(2021년 10월 24일)
슈퍼6000
엑스타 레이싱팀
볼가스 모터스포츠
96회
12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2:37:24에 나무위키 황진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1년 시즌 3전부터 참가한 엔페라 레이싱팀의 초대 감독이었다.[2] 시그마 PAO 팀의 팀명 변경[3] 감독 겸 드라이버[4] 감독 겸 드라이버[5] 준피티드 레이싱의 팀의 팀명 변경[6] 2005년 시즌을 끝으로 대회가 없어졌다.[7] 이때부터 슈퍼레이스 체제로 접어든다.[8] 황운기 단장의 큰아들이자 황진우의 형인 황진욱(1979년생)도 카레이싱을 했던 드라이버 출신인데, 한동안 선수 활동을 하지 않다가 2019년 슈퍼챌린지 2전과 4전에 동생이 감독으로 있던 CJ로지스틱스 레이싱 소속으로 참가했다. 슈퍼챌린지 4전 피트인 후 차에서 내린 황진욱 선수. 이후 형 황진욱은 2021년 넥센타이어의 워크스 레이싱팀인 엔페라 레이싱팀의 초대 감독으로 모터스포츠계에 복귀했다.[9] 김동은 선수의 부친[10] 당시 명칭은 SK ZIC 6000[11] 김동은과 동 순위[12] 정연일과 동 순위[13] 그도 그럴수 밖에 없는게 당시 김의수는 라이벌팀이던 오일뱅크의 윤세진을 따돌리고 2002년부터 GT1 클래스의 제왕으로 군림하고 있었다.[14] 일본제 경주차라면 GT2를 평정하던 펠롭스-레드라인의 김한봉 단장이 몰던 S2000도 있었으나 GT1만 올라오면 힘을 못 썼다는 슬픈 뒷 이야기가 있다.[15] 그런데 당시 이 IS200에 함정이 숨어 있는데, 사실 이 차가 원래는 슈퍼 다이큐 시리즈에서 쓰이던 토요타 알테자를 가져온 뒤, 국내 규정에 맞춰서 에어로 파츠를 추가하고 렉서스 로고를 붙여서 내보냈다. 더군다나 2023년 쏠라이트 인디고 레이싱에서 공개한 영상에 의하면 당시 인디고는 일본에서 차를 만들어서 온 오일뱅크와는 달리 GT 클래스 차량을 국산화 했으니, 그만큼 쉬운 상대는 아니었던 셈.[16] KARA 공인 국내 온로드 서킷 레이스 결승 참가 횟수를 기준으로 삼는다. 해외 및 비공인 대회는 제외.[17] 2023년 제6전 기준으로 김의수는 81경기 참전, 조항우는 80경기 참전, 정의철이 76경기에 참전했다.[18] 슈퍼 6000의 해외 경기 일정으로 인해 당시 GT클래스 일정과 슈퍼 6000 일정이 달랐다. 즉 GT클래스 제5전인 셈.[19] 2세대 드라이버 중 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