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FIFA U-20 여자 월드컵 일본

덤프버전 :



2012 FIFA U-20 여자 월드컵 일본
FIFA U-20 Women's World Cup Japan 2012
2012 FIFA U-20女子ワールドカップ
파일:2012 FIFA U-20 Women's World Cup Official Logo.png
대회기간8월 19일 ~ 9월 8일
개최국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참가팀16개팀
대회 결과
우승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번째 우승)
준우승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3위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4위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수상
골든볼파일:독일 국기.svg 제니페르 머로잔
골든부트파일:북한 국기.svg 김은화 (7점)
연표
이전 대회2010 FIFA U-20 여자 월드컵 (독일)
다음 대회2014 FIFA U-20 여자 월드컵 (캐나다)

1. 개요
1.1. 개최지 변경
2. 예선
2.1. 본선 진출팀
3. 개최 도시 및 경기장
4. 대회 진행
4.1. 조별 리그
4.1.1. A조
4.1.2. B조
4.1.3. C조
4.1.4. D조
4.2. 결선 토너먼트
4.3. 우승
5. 이야깃거리



1. 개요[편집]


2012년 8월 19일에서 9월 8일까지 일본에서 개최된 FIFA U-20 여자 월드컵의 여섯 번째 대회.


1.1. 개최지 변경[편집]


개최국 선정 과정에서 개최국이 한 번도 아니고 무려 세 번이나 바뀐 흔치 않은 일이 일어났다.

원래는 베트남이 유치 경쟁에서 승리했지만 정부의 지원 문제로 개최권을 반납했고, 뉴질랜드는 처음에 예비 개최국으로 선정되었지만, 역시 개최권을 반납하고 2015 FIFA U-20 월드컵 개최권을 대신 따냈다. 그렇게 해서 우즈베키스탄이 개최국으로 거론되었으나 개최 준비 및 시설이 부실하다고 판단되어, FIFA 집행위원회는 2011년 12월에 일본 도쿄에서 회의를 열어 우즈베키스탄의 개최권을 박탈하고 새로운 개최국으로 일본을 선정하게 되었다.


2. 예선[편집]




2.1. 본선 진출팀[편집]


대륙팀명진출 자격
UEFA(유럽)파일:독일 국기.svg 독일2011 UEFA U-19 여자 챔피언십 우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2011 UEFA U-19 여자 챔피언십 준우승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2011 UEFA U-19 여자 챔피언십 4강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CONMEBOL(남미)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2012 남미 U-20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브라질 우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2012 남미 U-20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브라질 준우승
CONCACAF(북중미&카리브)파일:미국 국기.svg 미국2012 CONCACAF U-20 여자 챔피언십 파나마 우승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2012 CONCACAF U-20 여자 챔피언십 파나마 준우승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2012 CONCACAF U-20 여자 챔피언십 파나마 3위
CAF(아프리카)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아프리카 지역예선 승리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AFC(아시아)파일:일본 국기.svg 일본2011 AFC U-19 여자 챔피언십 베트남 우승
개최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2011 AFC U-19 여자 챔피언십 베트남 준우승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2011 AFC U-19 여자 챔피언십 베트남 3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011 AFC U-19 여자 챔피언십 베트남 4위[2]
OFC(오세아니아)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오세아니아 지역예선 승리


3.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4. 대회 진행[편집]



4.1. 조별 리그[편집]


1위 (결선 진출)2위 (결선 진출)3위 (탈락)4위 (탈락)
A조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B조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C조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D조파일:독일 국기.svg 독일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4.1.1. A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일본 국기.svg일본321010 - 3+77
2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32017 - 4+36
3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31114 - 7-34
4파일:스위스 국기.svg스위스30031 - 8-70
결선 진출 | 탈락

일자팀명점수팀명장소
2012.08.19.(일) 16:20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2 : 1스위스파일:스위스 국기.svg미야기
2012.08.19.(일) 19:20파일:일본 국기.svg일본4 : 1멕시코파일:멕시코 국기.svg
2012.08.22.(수) 16:20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2 : 0스위스파일:스위스 국기.svg
2012.08.22.(수) 19:20파일:일본 국기.svg일본2 : 2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12.08.26.(일) 19:00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4 : 0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고베
파일:스위스 국기.svg스위스0 : 4일본파일:일본 국기.svg도쿄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9, JST) 기준임.


4.1.2. B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32107 - 1+67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32014 - 2+26
3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30212 - 4-22
4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30121 - 7-61
결선 진출 | 탈락

일자팀명점수팀명장소
2012.08.19.(일) 15:00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1 : 1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사이타마
2012.08.19.(일) 18:00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2 : 0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08.22.(수) 15:00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1 : 1나이지리아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12.08.22.(수) 18:00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0 : 2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08.26.(일) 16:20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0 : 4나이지리아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고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2 : 0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도쿄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9, JST) 기준임.


4.1.3. C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북한 국기.svg북한330015 - 3+129
2파일:노르웨이 국기.svg노르웨이32018 - 6+26
3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31028 - 4+43
4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30031 - 19-180
결선 진출 | 탈락

일자팀명점수팀명장소
2012.08.20.(월) 16:00파일:북한 국기.svg북한4 : 2노르웨이파일:노르웨이 국기.svg고베
2012.08.20.(월) 19:00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0 : 6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
2012.08.23.(목) 16:00파일:북한 국기.svg북한9 : 0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2.08.23.(목) 19:00파일:노르웨이 국기.svg노르웨이2 : 1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
2012.08.27.(월) 19:00파일:노르웨이 국기.svg노르웨이4 : 1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미야기
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1 : 2북한파일:북한 국기.svg사이타마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9, JST) 기준임.


4.1.4. D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독일 국기.svg독일33008 - 0+89
2파일:미국 국기.svg미국31115 - 4+14
3파일:중국 국기.svg중국31112 - 5-34
4파일:가나 국기.svg가나30030 - 6-60
결선 진출 | 탈락

일자팀명점수팀명장소
2012.08.20.(월) 16:00파일:가나 국기.svg가나0 : 4미국파일:미국 국기.svg히로시마
2012.08.20.(월) 19:00파일:독일 국기.svg독일4 : 0중국파일:중국 국기.svg
2012.08.23.(목) 16:00파일:가나 국기.svg가나0 : 1독일파일:독일 국기.svg
2012.08.23.(목) 19:00파일:미국 국기.svg미국1 : 1중국파일:중국 국기.svg
2012.08.27.(월) 16:00파일:미국 국기.svg미국0 : 3독일파일:독일 국기.svg미야기
파일:중국 국기.svg중국1 : 0가나파일:가나 국기.svg사이타마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9, JST) 기준임.


4.2. 결선 토너먼트[편집]


8강전준결승전결승전 / 3위 결정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 : 1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08.30.(목) 19:30 - 도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0 : 3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2012.09.04.(화) 19:30 - 도쿄
결승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0 : 1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2012.09.08.(토) 19:20 - 도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4 : 0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2012.08.31.(금) 16:00 - 사이타마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1 (연) 0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2012.08.30.(목) 16:00 - 도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0 : 2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2012.09.04.(화) 16:00 - 도쿄
3위 결정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 : 1 나이지리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12.09.08.(토) 15:30 - 도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 (연) 2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2012.08.31.(금) 19:30 - 사이타마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9, JST) 기준임.


4.3. 우승[편집]


2012 FIFA U-20 여자 월드컵 우승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세 번째 우승)


5. 이야깃거리[편집]


  • 노르웨이의 헤게르베르그 자매(안드리네, 아다)도 이 대회를 통해 처음으로 FIFA 국가대항전에 출전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16:03:56에 나무위키 2012 FIFA U-20 여자 월드컵 일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라운드 로빈으로 진행되었다.[2] 원래 아시아 출전권은 3장이지만, 우승팀인 일본이 새로운 개최국으로 지정됨에 따라 남은 출전권 하나를 승계받았다.